재령군주

덤프버전 :


조선 군주 · 현주
{{{-1 [[틀:조선 군주 · 현주|

진안대군 ~ 사도세자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44945, #CA5E59 20%, #CA5E59 80%, #C44945); color: #ffd400; min-height: 31px"
[ 펼치기 · 접기 ]

>

{{{#fff 1
회인현주
폐세자
양녕대군
]]

{{{#fff 1
전의현주

{{{#fff 1
중모현주 ·
2
청하현주

국왕 · 추존 국왕 · 왕비 · 추존 왕비 · 왕세자 · 왕세자빈
후궁 : 환조 ~ 연산군 · 중종 ~ 고종
왕자 : 목조 ~ 연산군 · 중종 ~ 고종
왕녀 : 익조 ~ 연산군 · 중종 ~ 철종
※ 작호가 있거나 성년까지 생존한 사람만 기재







조선 양녕대군의 딸
전의현주 | 全義縣主


파일:재령군주묘.jpg

재령군주묘 전경
출생
1409년(태종 9년)
사망
미상[1]
능묘
재령군주묘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덕소리 산34
본관
전주 이씨
부모
부친 - 양녕대군
모친 - 수성부부인
배우자
이자(李孜)
자녀
슬하 2남 3녀 [ 펼치기 · 접기 ]
장남 - 이증석(李曾碩)
차남 - 이증약(李曾若)
장녀 - 정비(鄭秠)의 처
차녀 - 송석손(宋碩孫)의 처
삼녀 - 신윤범(申允範)의 처

봉호
재령군주(載寧郡主)
전의현주(全義縣主)
1. 개요
2. 생애
3. 가족관계



1. 개요[편집]


조선의 폐세자 양녕대군과 폐세자빈 수성부부인의 장녀.

2. 생애[편집]


당시 세자였던 아버지 이제(李褆)와 세자빈 숙빈 김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1418년(태종 18) 6월 3일에 아버지가 폐세자가 되어 광주(廣州)로 추방당하고, 어머니도 궁에서 쫓겨나게 된다. 이때 폐세자 부부가 같이 궁에서 쫓겨난 것으로 보아 전의현주를 포함한 자녀들도 같이 광주에서 산 것으로 보인다.#

그 후 1425년(세종 7)에 대제학 이행(李行)의 손자 이자(李孜)와 혼인했다.

1431년(세종 13) 10월 18일에 ‘재령군주(載寧郡主)’에 봉해졌다.

시기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군주(郡主) 호를 받은 후 ‘전의현주(全義縣主)’에 새로 봉해졌다.[2][3]

3. 가족관계[편집]


  • 친정(조선 왕실)
    • 조부 : 태종
    • 조모 : 원경왕후
      • 부 : 양녕대군
      • 모 : 수성부부인
        • 형제 : 순성군
        • 형제 : 함양군 이포(咸陽君 李布)
        • 형제 : 서산군 이혜(瑞山君 李譿)
        • 여동생 : 이번(李蕃)의 처
        • 여동생 : 영평현주(永平縣主)
        • 여동생 : 박수종(朴壽宗)의 처
        • 여동생 : 영천군주(永川郡主)

  • 배우자 / 자손
    • 남편 : 이자(李孜) - 이행(李行)의 손자
      • 아들 : 이증석(李曾碩)
      • 아들 - 이증약(李曾若)
      • 딸 - 정비(鄭秠)의 처
      • 딸 - 송석손(宋碩孫)의 처
      • 딸 - 신윤범(申允範)의 처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5 15:10:11에 나무위키 재령군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세종실록 1444년 12월 28일 자 기사에 ‘양녕대군의 딸이 죽었다’는 내용이 있지만, 이 딸이 전의현주인지는 확실치 않다.[2] 선원록/태종자손록에 기록이 남아있다.[3] 1440년(세종 22년)에 종실 여자들의 관제를 개정하였는데, 대군 정실의 딸은 ‘현주(縣主)’라고 칭하라고 하였다. 아마 이후 봉작된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