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연공주

덤프버전 :



조선 군주 · 현주
{{{-1 [[틀:조선 군주 · 현주|

진안대군 ~ 사도세자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44945, #CA5E59 20%, #CA5E59 80%, #C44945); color: #ffd400; min-height: 31px"
[ 펼치기 · 접기 ]

>

{{{#fff 1
회인현주
폐세자
양녕대군
]]

{{{#fff 1
전의현주

{{{#fff 1
중모현주 ·
2
청하현주

국왕 · 추존 국왕 · 왕비 · 추존 왕비 · 왕세자 · 왕세자빈
후궁 : 환조 ~ 연산군 · 중종 ~ 고종
왕자 : 목조 ~ 연산군 · 중종 ~ 고종
왕녀 : 익조 ~ 연산군 · 중종 ~ 철종
※ 작호가 있거나 성년까지 생존한 사람만 기재







청연군주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조선 사도세자의 딸
청연군주 | 淸衍郡主


[ 기타 타이틀 펼치기 · 접기 ]

조선 장조의 왕녀
청연공주 | 淸衍公主


대한제국 장조의 황녀
청연공주 | 淸衍公主


출생
1754년(영조 30년) 7월 14일[1]
사망
1821년(순조 21년) 7월 7일
(향년 68세)

[ 펼치기 · 접기 ]
본관
전주 이씨
부황
장조 의황제
모후
헌경의황후 홍씨
부군
광은위 김기성(光恩尉 金箕性)
자녀
슬하 2남 1녀(7남 2녀)[1]
장남 - 김재창(金在昌)
장녀 - 조재규(趙在奎)의 처
차남 - 김재삼(金在三)
봉호
청연군주(淸衍郡主), 청연공주(淸衍公主)

1. 개요
2. 생애
2.1. 탄생
2.2. 혼인 생활
2.3. 죽음
3. 유물
4. 가족 관계
5. 청연 공주를 연기한 배우



1. 개요[편집]


조선 사도세자혜경궁 홍씨의 적장녀. 정조동복 동생으로, 청선공주의 언니가 된다.

본래 작위는 세자의 적녀에게 주어지는 정2품 군주(郡主)였으며, 1899년(고종 36) 대한제국 시기에 고종이 사도세자를 추존하면서 청연군주에서 청연공주로 추증되었다.

보통 일궁자가(一宮自家) 또는 일군주자가(一郡主自家)라고 불렸다.[2][3]

2. 생애[편집]



2.1. 탄생[편집]


1754년(영조 30) 7월 14일, 당시 세자빈이었던 혜경궁 홍씨가 낳았다. 한중록에 따르면, 원래 출산 예정일은 6월이었으나 달을 넘기는 바람에 한산부부인 이씨[4]가 대궐에서 50여 일을 머물렀다고 한다.

그해 7월 14일에 내 청연을 낳으니, 영조께서 "백여 년 만에 군주(郡主)가 처음 나니 귀하다" 하시며 기뻐하시더라.[5]

《한중록》[6]


여기서 영조의 편협함이 드러나는데, 청연군주와 같은 해 2월에 태어난 은언군을 비롯해서 사도세자의 서출들은 전혀 신경쓰지 않았다.[7] 반면에 영조는 청연에 대해서는 어릴 적에 역질을 앓았다가 회복했을 때도 직접 보러 왔고, 혼인하여 일가를 이룬 뒤에도 사저에 들르는 모습이 보인다.[8]

2.2. 혼인 생활[편집]


1765년(영조 41) 참의 김상익의 아들 김기성[9]의 아들이 간택되어 같은 해 4월 11일에 혼인하였다. 그런데 정조가 남긴 존현각일기를 보면 김상익에 대해 좋은 평을 찾아볼 수 없다. 홍인한정후겸이 겨루는 형세를 관망하다가 권세를 독점할 생각을 한 사람으로 보고 있고, 왕세손으로 있을 때는 "소조(小朝)의 차대(次對)에 한번도 들어오지 않았고" 라고 말하기도 하였다.[10]

20세이던 1773년, 동생 청선공주, 궁녀였던 후궁 의빈 성씨와 소설 《곽장양문록》을 필사하였다. 어린 나이에 혜경궁 홍씨의 궁녀로 들어온 의빈 성씨와의 인연이 작용했을 것이다. 이때는 청연이 이미 혼인하여 궁 밖에서 생활하던 때였는데, 독서와 필사가 당대 왕실 여성들의 취미 생활로 추측된다.[11]

2.3. 죽음[편집]


1821년(순조 21) 사망하였다. 혜경궁 홍씨의 자녀들 중 유일하게 어머니보다 오래 산 자녀이다. 청연은 남편과의 사이에 7남 2녀의 자녀를 낳았지만, 그 중 2남 1녀만 성인으로 성장하는데 훗날 수원화성으로 능행할 때, 그녀의 두 아들도 동행한 외빈 명단에 있다.

아버지왕세자 신분으로 죄를 지어 죽었고 추존되지 못하였기 때문에 내내 '청연군주'로 살았다.[12] 1899년(고종 36) 고종이 5대조를 추존하면서 아버지 사도세자가 장조의황제로 추존되면서 공주(公主)로 추증되었다. 따라서 살아생전에 '공주'로 살았던 순간은 단 한 순간도 없는 셈.

3. 유물[편집]


  • 《청연군주 노의》: 우리나라 복식사에서 빠트릴 수 없는 유물로, 1963년 경기도 광주에서 청연군주와 김기성의 합장묘를 이장하던 중 발굴한 200여점 중 하나다. 노의(露衣)는 왕비, 세자빈, 대군의 정실인 부부인, 군의 정실인 군부인 등이 착용하였다.

  • 《청연군주 당의》: 18세기 궁중용 당의의 모양을 알 수 있으며, 금실을 넣어 짠 석류와 칠보, 겉저고리와 안저고리 2겹으로 한 벌을 이루는 당의다.

  • 《청연군주 토황색 명주저고리》: 겹저고리 두 점이 끼워져 있는 4겹의 '두벌저고리' 형태다.

4. 가족 관계[편집]



  • 남편 : 광은위 김기성(光恩尉 金箕性, 1752 ~ 1811) - 김상익(金相翊)의 아들[13]
    • 장남 : 김재창(金在昌, 1770 ~ 1849)
    • 장녀 : 광산 김씨(光山 金氏, 1771 ~ 1787) - 조재규(趙在奎, 1772 ~ 1843)에게 출가
    • 차남 : 김재삼(金在三, 1776~1837)
    • 그 외 5남 1녀 일찍 죽음

5. 청연 공주를 연기한 배우[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8 21:19:45에 나무위키 청연공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승정원일기, 영조 30년 7월 14일. #[2] 훈국등록에 청연군주의 동생인 청선군주를 이군주자가(二郡主自家)라고 부른 기록#과 일본 동양문고소장 현숙전 주기사항에 '장헌세자의 딸 청연군주일궁김기성부인(莊獻世子之女淸衍郡主 一宮金箕性夫人)'#이라는 기록이 있다.[3] 일부 작품을 통해 자가의 표기가 慈駕라고 알려졌으나, 이는 잘못 알려진 것이다. 조선왕실 왕족 경칭 자가는 自家가 맞다. 자가 항목 참고.[4] 혜경궁 홍씨의 어머니이자 홍봉한의 아내. [5] 숙종인경왕후에게서 공주 둘을 얻었지만 요절하였고, 경종이나 영조는 왕비에게서 자식을 얻지 못했다. [6] 혜경궁 홍씨, 정병설 편역, 『한중록』, 문학동네, 2010. [7] 혜경궁 홍씨는 《한중록》에서 "이 그것이라도 손자라 하시며, 영조나 선희궁께서 약간이라도 봐주시거나 또는 경모궁께서 이것에게 혹하시면, 내 비록 도량이 있다 해도 부녀자의 마음으로 어찌 편안하리오. 그러나 이는 그렇지 않아서 영조와 선희궁께서 알은체 않으시고" 라고 언급했다. 즉, 영조와 영빈 이씨 모두 사도세자의 서출에 대해서는 관심이나 애정을 주지 않았다.[8] 영조실록 105권, 영조 41년 4월 12일 정사 2번째기사. # [9] 문묘에 배향된 김장생의 셋째 아들인 김반의 6대손이며, 경신환국의 주도했던 음모가 김익훈의 5대손이다.[10] 영조실록 127권, 영조 52년 2월 27일 기사 4번째기사. # [11] 숙명공주의 후손인 심익운의 문집 '백일집(百一集)'에서 효종인선왕후가 함께 《삼국지연의》를 번역, 필사했다는 기록이 있고, 현재까지 남아있는 유물 중 《손방연의》라는 책에는 영빈 이씨의 영빈방 인장이 찍혀있으며, 정조의 왕비인 효의왕후도 《만석군전》과 《곽자의전》을 필사한 유물이 남아있다. [12] 당시 왕세손이던 오빠 정조가 백부인 효장세자의 양자로 입적되었고 영조 사후 효장세자진종으로 추존되었다.[13] 원래 광은부위(光恩副尉)였으나 청연군주가 청연공주로 추증되면서, 광은부위도 광은위로 추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