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술공주 밍키(1982년 애니메이션)

덤프버전 :


파일:마법의 프린세스 밍키모모 로고.png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0 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transparent 45%, #ffffff 45%, #ffffff 55%, transparent 55%); width: 90%"

주인공 · 1982년판 · 1991년판 · 기타



파일:마법의 프린세스 밍키모모(1982) 로고 300x125.png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0 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transparent 45%, #ffffff 45%, #ffffff 55%, transparent 55%); width: 90%"

등장인물 · 음악 · 회차 목록 · 해외 공개 · 평가
꿈속의 윤무 (밍키모모 VS 크리미마미) · 눈동자의 별자리



요술공주 밍키 (1982~1983)
魔法のプリンセス ミンキーモモ




1. 개요
2. PV
3. 특징
4. 줄거리
5. 등장인물 및 주요 성우진
7. 회차 목록
8. 에피소드 가이드
8.1. 밍키모모와 마법
8.2. 제작 중단과 최종화
9. 해외 공개
9.1. 대한민국
9.2. 기타 국가
10. 평가
10.1. 마법소녀물에 미친 영향
11. 미디어 믹스
12. 기타



1. 개요[편집]


요술공주 밍키 시리즈 중에서 1982년 3월 18일부터 1983년 5월 26일까지 방영한 TV 애니메이션. 원제는 마법의 프린세스 밍키모모.

일본 TV도쿄계 네트워크[1]를 통해 방영되었으며, 제작사는 아시 프로덕션. 1982년 1기 밍키모모는 2기와 구별하기 위해서 '하늘 모모(空モモ)'라고 한다. 이는 팬이 만든 것이지만 작가 슈도 타케시도 공인한 명칭이다.

감독은 유야마 쿠니히코. 캐릭터 디자인은 아시다 토요오. 시리즈 구성 슈도 타케시. 1982년작 밍키모모 성우는 코야마 마미.


2. PV[편집]






첫방송 예고편



3. 특징[편집]


로봇 애니메이션을 주로 제작하면서 꼬마탐정 안제 정도나 만들었던 아시 프로덕션이 갑자기 도전한 마법소녀물. 아시 프로덕션은 소녀들에게 팔아먹기 좋은 마법소녀물을 의뢰받게 되었고, 이 작품의 스토리를 각본가 슈도 타케시에게 의뢰했다. 슈도는 소녀 취향 작품의 각본을 한 번도 쓴 적 없고 마법소녀물도 한 번도 본 적 없었지만, 이 건을 듣는 순간 소년을 주인공으로 해서 자신이 학생 시절부터 구상하던 스토리가 떠올랐고, 의뢰를 수락한 후 그 즉시 자신이 구상하던 이야기를 소녀를 주인공으로 한 내용으로 고치면서 마법소녀물 스타일로 만들어냈다. 그리고 밍키모모는 전설이 되었다.

보통 애니메이션에서 각본가의 위치는 보조격인 자리에 위치하게 되지만, 밍키모모에서는 작품의 세계관부터 설정 하나까지 전부 슈도 타케시의 머리에서 나왔다. 결국 작품 전체를 이끌어가는 것도 슈도 타케시였다.

한편 완구회사 측에서는 매 화 변신장면이 들어가기만 하면 어떤 내용으로 전개하든 전혀 간섭을 안 했고[2], 제작진은 스폰서의 반응에 대해 슬슬 간을 보다가 8화를 기점으로 폭주를 개시, 이후 밍키모모는 첩보물부터 패러디물에 로봇물까지 오가며 별 거 별 거 다 나오는 작품이 되어갔다.

밍키모모라는 작품이 만들어져 갈수록 제작진들은 불타올랐다. 밍키모모의 아버지 격인 슈도 타케시도 그러했고, 슈도 이외의 다른 각본가들조차도 밍키모모에 불타올랐다. 다른 제작진들도 '밍키모모를 그려내는데 이걸로는 안 돼' 하는 식으로 빠져들어서는 만들어갔고, 주요 성우진들 역시 불타올라서 게스트로 참여하는 성우들이 적응이 안 될 정도였다. 그리고 와타나베 히로시, 마츠시타 히로미를 중심으로 한 작화진들 또한 이 작품에 푹 빠져서는 무시무시한 작화와 연출을 구사해 영상미를 표현했고 당시 애니메이션 잡지에서 작화 원탑 애니로 소개될 정도에 이르렀다.[3] 제작비 관리해야 하는 프로듀서조차 제작비 오버 상황이 나오는데 그냥 OK하고 넘어가버렸다. 밍키모모는 제작 내내 모든 제작진들의 열광이 이어진 작품이었으며 훗날 제작진은 "모든 제작진이 슈도 타케시와 밍키 모모를 숭배하는 종교단체 같은 상태였다." 라고 회고하였다.




옥탑방의 문제아들에 소개된 46화

하지만 시청자의 호응에도 불구하고 아시 프로덕션의 작품답게 완구 매상이 별달리 올라가지가 않았고,[4] 결국 밍키모모는 조기종영되는 걸로 결정이 났다. 52화까지는 만들 예정이었다가 42화로 조기종영이 결정났다가,[5] 다시 광고사 쪽 프로듀서가 죽어라 노력한 끝에 4화분을 더 만들 수 있게 되었다. 그 덕에 어느 정도 여유는 있게 최종화를 만들 수 있었으며, 그래서 슈도 타케시가 각본을 쓰고 제작진이 애정과 총력을 기울여 최종화 전에 밑밥을 적절히 깔수 있었다. 다름 아닌 마법 도구가 악당의 총에 맞아서 파괴되는 것, (사실 다른 마법소녀물에서도 이런 일이 많지만 그런 경우 대부분 스폰서가 새 제품 출시때문에 나오는 설정이다.) 그리고 마법도구 부활없이 여주인공이 차에 치어죽고 환생한다는 최종화가 완성, 이 최종화는 두고 두고 애니메이션 팬들에게 회자되는 에피소드가 되었다. 마지막에 밍키모모의 주제가를 합창하는데 성우인 코야마 미미를 비롯해 제작진들이 직접 합창을 했을 정도로 제작진들은 밍키모모에 대한 애정이 가득했다. 한국 더빙은 당연히 이 주제가 합창부분은 그냥 음악으로 덮었다.

... 였는데, 최종화 다 만들어 놓고 보니 갑자기 연장 방영이 결정되면서, 스스로 만들어낸 마무리에 감동하던 제작진들이 몽땅 충공깽하는 상황이 벌어졌다. 스폰서인 포피 측에서 새로 완구를 만들었다며[6] 이 완구 광고용으로 밍키를 이어가라고 나온 것. 이미 만들어 놓은 에피소드상 도저히 뒷 내용을 만들 수 없는 상황이었지만, 밍키모모가 꿈속에서 보는 이야기라는 식으로 어떻게 상황을 짜 맞추고 작품을 이어갔고, 46화 이후 시간벌이로 총집편 두 편을 넣고는 총 63화로 작품은 끝이 났다.

스폰서 메이커의 트럭 장난감으로 치여 죽게 했다는 얘기도 있는데 애니메이션이 그렇게 뚝딱 결말을 바뀔 수 있는 것은 아니고 당시에 완구 판매 실적에 따라 후반 제작이 짤리는 경우는 비일비재해서 제작진들도 40화 쯤 되면 '언제 짤려도 마무리가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었다. 스폰서에 의해 42화로 연내 방영 중단이 결정되는데, 42화 '문제투성이의 대작전'은 스탠리 큐브릭 감독의 '닥터 스트레인지 러브'의 패러디였다. 그래서 폭격으로 지구가 멸망하고 마법의 나라가 내려오는 엔딩까지 염두에 뒀다는데 요미우리 광고사가 스폰서를 설득해서 4회 연장했다고 한다. 52화 예정의 원래 기획에서는 43화 부터 후반부에서는 악몽의 세계와 싸우고, 힘을 다해 1000년의 잠에 빠져드는데 꿈속에서 마법의 왕국이 내려온다는 결말이었다고 한다. 원래 계획도 좀 꿈도 희망도 없는 엔딩이었던 것이다. 그래서 46화의 시점에서 교통사고 엔딩이라는 충격적인 결말을 낸다.

각본가 슈도 타케시는 월간 OUT에 "작품은 오직 스폰서의 것이라, 시청자와 제작자를 무시하고 마음대로 중단을 결정 괜찮습니까?"라는 분노의 성명문을 실었는데. 해당 잡지가 발매 되기 전에 연장 방영이 결정되었다. 스폰서인 완구회사에서 밍키모모와 상관없이 발매한 카질라라는 완구가 있었다. 모양대로 잘라주는 가위 같은 완구인데, 이걸 따로 애니로 만들기 애매하니 밍키 모모를 연장 시켜 거기에 새로 등장시키자는 스폰서의 요구. 방영 연장도 방영 단축만큼이나 스폰서 마음대로였던 것. 게다가 스폰서의 요구는 밍키 모모와 같이 다니는 동물 삼총사를 모두 카질라로 바꾸라는 것이었다. 이미 제작 스튜디오는 46화 완결치고 해체한 상태인데, 스폰서 입장에서는 알게 뭐냐는 식이었다고 한다. 유야마 쿠니히코 감독이 스폰서와 담판을 지어서 연장 방영 대신 등장하는 카질라는 1마리만 삼총사에 포함 시키는 것으로 노선을 수정했다고 한다.

47화 부터 62화까지 연장된 부분은 메인 각본가인 슈도 타케시를 제외하면 각본가가 완전히 물갈이 되었는데. 원래 제작에 참여한 각본가들은 이미 다른 작품으로 넘어 갔기 때문. 슈도 타케시도 이미 제작 들어간 '사스가노 사루토비' 극본과 전국 고쇼군 소설판 제작이 겹쳐서 아주 고생했다고. 그래서 후반부 각본은 의도치 않게 신인 각본가 들이 주도해서 실험적이고 진취적인 에피소드가 많았다고 슈도 타케시는 추억하고 있다. 그리고 총집편도 2편이나 있었고. 결국 밍키모모 완구가 안 팔려서 46화로 엔딩 쳤고, 새로운 완구 팔아먹으려고 62화로 연장했을 뿐이었던 것.출처슈도 타케시씨의 칼럼 '누구라도 할 수 있다 각본가'에서 인용

4. 줄거리[편집]


하늘의 왕국 페나리나사는 지구의 인간들이 점점 꿈과 희망을 망각하게 되자 지구에서 떨어져 나가며 페나리나사의 근원이 되게 해 주는 에너지가 점차 고갈되기 시작한다. 결국 왕과 왕비는 자신의 딸인 밍키모모와 그녀의 동료들을 지구에 보내 인간 자신들이 잃어버린 꿈과 희망을 되찾는 순간 페나리나사가 다시 지구에 다가설수 있도록 임무를 맡긴다.


5. 등장인물 및 주요 성우진[편집]


등장인물
성우
일본
한국
일본
한국
밍키모모
밍키
코야마 마미
주희
신드북(개)
뭉뭉
타노나카 이사무
노민
피피루(새)
피필
미타 유코
나수란
모차(원숭이)
코코
키토 레이코
강연숙
페나리나사의 왕
피나리아의 왕
마스오카 히로시
황원
페나리나사의 왕비
피나리아의 왕비
츠카다 에미코
나수란[7]
인간 세계의 아빠
나야 로쿠로
백진
인간 세계의 엄마
도이 미카
강연숙
카지라(용)
치바 시게루



6. 음악[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요술공주 밍키(1982년 애니메이션)/음악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7. 회차 목록[편집]


  • KBS 2TV를 통해 방영된 회차의 경우 1화부터 52화까지만 방영하다가 종영되었다.
  • 방영일 항목에 삽입된 유튜브 아이콘은 아시 프로덕션 공식 유튜브 채널에 등록된 영상을 기준으로 한다.
회차
제목[8]
각본
콘티
연출
작화감독
방영일
제1화
ラブラブ・ミンキーモモ
러브러브 밍키모모
하늘에서 내려오다

슈도 타케시
유야마 쿠니히코
타나카 야스시
(田中 保)

日: 1982.03.18.
韓: 1983.03.25.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제2화
メガネでチャームアップ
안경으로 매력 업
안경의 매력

츠치야 토키오
(土屋斗紀雄)

코지마 마사유키
오오바 쥬타로
(大庭寿太郎)

시바사키 케이
(柴崎 計)

日: 1982.03.25.
韓: 1983.03.31.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제3화
走れスーパーライダー
달려라 슈퍼 라이더
오토바이 경주

토다 히로시
(戸田博史)

니시무라 준지
카미조 오사무
(上條 修)

日: 1982.04.01.
韓: 1983.04.07.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제4화
青い鳥をみた少年
푸른 새를 본 소년

슈도 타케시
유야마 쿠니히코
야마다 유조
(山田雄三)

진구 사토시
(神宮 慧)

日: 1982.04.08.
韓: 1983.04.14.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제5화
ワルガキ王子大混戦
악동 왕자 대혼란전
개구장이 왕자

츠츠이 토모미
(筒井ともみ)

노다 사키
(野田作樹)

오오바 쥬타로
타나카 야스시
日: 1982.04.15.
韓: 1983.04.21.

제6화
テニスコートに赤いバラ
테니스 코트의 붉은 장미
테니스 챔피언

사기야마 쿄코
(鷺山京子)

요시다 켄지로
(吉田健次郎)

日: 1982.04.22.
韓: 1983.04.28.

제7화
ナイチンゲールはお好き
나이팅게일은 좋아해
나이팅게일이 좋아요

와타나베 유지
(渡辺由自)

노무라 카즈후미
(野村和史)

야마다 유조
진구 케이
日: 1982.04.29.
韓: 1983.05.05.

제8화
婦人警官ってつらいのネ
부인 경찰관이란 괴롭구나
여성경찰은 힘들어

츠치야 토키오
니시무라 준지
카미조 오사무
日: 1982.05.06.
韓: 1983.05.19.

제9화
森の音楽祭
숲의 음악제
신인 음악회

토다 히로시
후루사와 히데오
(古沢日出夫)

타나카 야스시
日: 1982.05.13.
韓: 1983.05.26.

제10화
ハイウエイ大追跡
하이웨이 대추적
구두쇠 할머니

와타나베 유지
오오바 쥬타로
진구 케이
日: 1982.05.20.
韓: 1983.06.02.

제11화
恋の美容師よ子猫ちゃん
사랑의 미용사 아기고양이
두 고양이

콘파루 토모코
(金春智子)

코지마 마사유키
야마다 유조
시바사키 케이
日: 1982.05.27.
韓: 1983.06.09.

제12화
怪盗ルピン大反撃
괴도 루핀 대반격
괴도루팡

츠치야 토키오
노다 사키
이시다 쇼헤이
(石田昌平)

타나카 야스시
日: 1982.06.03.
韓: 1983.06.16.

제13화
魔術師と11人の少年
마술사와 11명의 소년
11명의 소년

토다 히로시
쿠사카베 미츠오
(日下部光雄)

오오바 쥬타로
효도 케이
(兵頭 敬)

日: 1982.06.10.
韓: 1983.06.23.

제14화
ゴールはいただき激走レーサー
골은 받아먹자 격주 레이서
자동차 경주

사토 시게루
(佐藤 茂)

요시다 켄지로
타나카 야스시
日: 1982.06.17.
韓: 1983.06.30.

제15화
暴走列車が止まらない
폭주열차가 멈추지 않아
등산열차

사기야마 쿄코
니시무라 준지
야마다 유조
카미조 오사무
日: 1982.06.24.
韓: 1983.07.07.

제16화
荒野のミンキーモモ
황야의 밍키모모
가자 서부로

토다 히로시
쿠사카베 미츠오
오오바 쥬타로
효도 케이
日: 1982.07.01.
韓: 1983.07.14.

제17화
おばけ屋敷でラブアタック
귀신 저택에서 러브 어택
구출작전

토다 히로시
슈도 타케시

쿠사카베 미츠오
이이무라 카즈오
(飯村一夫)

日: 1982.07.08.
韓: 1983.07.28.

제18화
南の島の秘宝
남쪽 섬의 비보
남쪽섬의 보물

츠치야 토키오
岡田宇敬
타나카 야스시
日: 1982.07.15.
韓: 1983.08.25.

제19화
機械じかけのフェナリナーサ
기계투성이의 페나리나사
천재소년의 컴퓨터

야마자키 쇼조
(山崎昌三)

야마다 유조
오오바 쥬타로
카미조 오사무
日: 1982.07.22.
韓: 1983.09.01.

제20화
密林の王者
밀림의 왕
밀림의 왕자

토다 히로시
후루사와 히데오
타나카 야스시
日: 1982.07.29.
韓: 1983.09.08.

제21화
前編 00モモ危機いっぱい
전편 00모모 위기 한가득
남극의 펭귄

츠치야 토키오
쿠사카베 미츠오
이이무라 카즈오
日: 1982.08.05.
韓: 1983.09.15.

제22화
後編 00モモは勝利の暗号
후편 00모모는 승리의 비밀번호
위기일발

日: 1982.08.12.
韓: 1983.09.22.

제23화
ころがりこんだ王様
굴러들어온 임금님
쫓겨난 임금님

사기야마 쿄코
후루사와 히데오
타나카 야스시
日: 1982.08.19.
韓: 1983.10.06.

제24화
さすらいのユニコーン
자그마한 유니콘
외로운 유니콘

콘파루 토모코
이시다 쇼헤이
日: 1982.08.26.
韓: 1983.10.27.

제25화
がんばれミラクルズ
힘내라 미라클즈
야구경기

츠치야 토키오
쿠사카베 미츠오
오오바 쥬타로
타카하시 마사무네
(高橋正宗)

日: 1982.09.02.
韓: 1983.10.20.

제26화
妖魔が森の花嫁
요마가 숲의 신부
숲속의 요괴

안자이 아유코
(安斎あゆ子)

쿠사카베 미츠오
야마다 유조
와타나베 히로시
日: 1982.09.09.
韓: 1983.11.03.

제27화
魔のトライアングル
마의 트라이앵글
마의 삼각지

토다 히로시
岡田宇敬
타나카 야스시
日: 1982.09.16.
韓: 1983.11.10.

제28화
激走タマゴレース
격주 알 레이스
안전운송

츠치야 토키오
쿠사카베 미츠오
이시다 쇼헤이
카미조 오사무
日: 1982.09.23.
韓: 1983.11.17.

제29화
UFOがやって来た
UFO가 찾아왔다
비행접시

슈도 타케시
사토 시게루

오오바 쥬타로
타나카 야스시
日: 1982.09.30.
韓: 1983.11.24.

제30화
ふるさと行きの宇宙船
옛 마을행 우주선
우주선

타니모토 케이지
(谷本敬次)

야마다 유조
카미조 오사무
日: 1982.10.07.
韓: 1983.12.01.

제31화
よみがえった伝説
되살아난 전설
남쪽섬의 전설

토다 히로시
쿠사카베 미츠오
이이무라 카즈오
日: 1982.10.14.
韓: 1983.12.22.

제32화
大きすぎた訪問者
너무 큰 방문자
괴물출현

츠치야 토키오
후루사와 히데오
카와바타 렌지
(川端蓮司)

타나카 야스시
日: 1982.10.21.
韓: 1983.12.08.

제33화
アンドロイドの恋
안드로이드의 사랑
사랑하는 로보트

토다 히로시
코구레 테루오
(木暮輝夫)

岡田宇敬
日: 1982.10.28.
韓: 1983.12.15.

제34화
地底の国のプリンセス
지저나라의 프린세스
지하의 나라

타니모토 케이지
쿠사카베 미츠오
오오바 쥬타로
효도 케이
日: 1982.11.04.
韓: 1984.01.12.

제35화
夢見るダイヤモンド
꿈꾸는 다이아몬드
꿈의 다이아몬드

안자이 아유코
쿠사카베 미츠오
이이무라 카즈오
日: 1982.11.11.
韓: 1984.01.05.

제36화
大いなる遺産
위대한 유산
소녀와 할아버지

콘파루 토모코
노다 사키
이시다 쇼헤이
와타나베 히로시
日: 1982.11.18.
韓: 1984.01.19.

제37화
愛の空中ブランコ
사랑의 공중목마
서커스단의 소녀

츠츠이 토모미
쿠사카베 미츠오
사카가미 리쿠
(坂上 睦)

타나카 야스시
日: 1982.11.25.
韓: 1984.02.02.

제38화
雪のめぐり逢い
눈과의 해후
눈사람이 되어 만나다

츠치야 토키오
오오바 쥬타로
카미조 오사무
日: 1982.12.02.
韓: 1984.01.26.

제39화
突撃ミンキーママ
돌격 밍키마마
아빠 구출작전

토다 히로시
노다 사키
이시다 쇼헤이
효도 케이
日: 1982.12.09.
韓: 1984.02.09.

제40화
夢の戦士
꿈의 전사
엄마의 꿈

콘파루 토모코
쿠사카베 미츠오
이이무라 카즈오
日: 1982.12.16.
韓: 1984.02.16.

제41화
お願いサンタクロース
부탁해 산타클로스
선물

슈도 타케시
쿠사카베 미츠오
오오바 쥬타로
타나카 야스시
日: 1982.12.23.
韓: 1984.02.23.

제42화
間違いだらけの大作戦
엇갈림 투성이의 대작전
잘못된 작전

츠치야 토키오
이시다 쇼헤이
와타나베 히로시
日: 1982.12.30.
韓: 1984.03.01.

제43화
いつか王子さまが
언젠가 왕자님이
만화가

슈도 타케시
츠치야 토키오

쿠사카베 미츠오
사카가미 리쿠
효도 케이
日: 1983.01.06.
韓: 1984.03.08.

제44화
天使が降りてきた
천사가 내려왔다
천사가 가져다준 행복

타니모토 케이지
오오바 쥬타로
타나카 야스시
日: 1983.01.13.
韓: 1984.03.15.

제45화
魔法の消えた日
마법이 사라진 날
목걸이를 추격하라

콘파루 토모코
쿠사카베 미츠오
이이무라 카즈오
日: 1983.01.20.
韓: 1984.03.22.

제46화
夢のフェナリナーサ
꿈의 페나리나사
꿈의 나라 피나리아

슈도 타케시
유야마 쿠니히코
카미조 오사무
日: 1983.01.27.
韓: 1984.03.29.

제47화
(총집편)

MINKY MOMO GRAFETY part-1
밍키의 추억(전편)

-
日: 1983.02.03.
韓: 1984.04.05.

제48화
(총집편)

MINKY MOMO GRAFETY part-2
밍키의 추억(후편)

日: 1983.02.10.
韓: 1984.04.12.

제49화
桃とモモの謎
복숭아와 모모의 수수께끼
악마섬

슈도 타케시
토다 히로시

쿠사카베 미츠오
이이무라 카즈오
日: 1983.02.17.
韓: 1984.04.19.

제50화
リンゴに御用心
사과에는 주의를
백설공주

츠츠이 토모미
유야마 쿠니히코
와타나베 히로시
日: 1983.02.24.
韓: 1984.04.26.

제51화
ラストアクション
라스트 액션
마지막 서부영화

츠치야 토키오
쿠사카베 미츠오
오오바 쥬타로
효도 케이
日: 1983.03.03.
韓: 1984.05.03.

제52화
モチャーとペンギン
모차와 펭귄
펭귄도둑

타니모토 케이지
이시다 쇼헤이
타나카 야스시
日: 1983.03.10.
韓: 1984.05.17.

제53화
お花畑を走る汽車
꽃밭을 달리는 열차

콘파루 토모코
쿠사카베 미츠오
이이무라 카즈오
日: 1983.03.17.
제54화
飛べアルバトロス号
날아라 알바트로스 호

츠치야 토키오
쿠사카베 미츠오
오오바 쥬타로
카미조 오사무
日: 1983.03.24.
제55화
(ラブ・アップルでもう一度
꿈 사과를 또다시

츠츠이 토모미
유야마 쿠니히코
와타나베 히로시
日: 1983.03.31.
제56화
木もれ陽の少女
코모레비의 소녀

콘파루 토모코
오오바 쥬타로
타나카 야스시
日: 1983.04.07.
제57화
人力飛行機ラプソディー
인력비행기 랩소디

타니모토 케이지
쿠사카베 미츠오
이이무라 카즈오
日: 1983.04.14.
제58화
ペテン師のノクターン
사기꾼의 녹턴

안자이 아유코
오오세키 마사유키
(大関雅幸)

미노구치 카츠미
(箕ノ口克己)

-
日: 1983.04.21.
제59화
ある街角の伝説
어떤 길모퉁이의 전설

츠치야 토키오
슈도 타케시

쿠사카베 미츠오
오오바 쥬타로
타나카 야스시
日: 1983.04.28.
제60화
時は愛のゆりかご
시간은 꿈의 요람

콘파루 토모코
야마다 유조
(やまだゆうぞう)

미노구치 카츠미
日: 1983.05.05.
제61화
(ラブ・アップルよ永遠に
꿈 사과여 영원히

츠츠이 토모미
유야마 쿠니히코
와타나베 히로시
日: 1983.05.12.
제62화
しのびよる影
숨어드는 그림자

츠치야 토키오
쿠사카베 미츠오
이이무라 카즈오
日: 1983.05.19.
제63화
さよならは言わないで 最終回
안녕이라 말하지 말아줘 최종회

슈도 타케시
유야마 쿠니히코
카미조 오사무
日: 1983.05.26.


8. 에피소드 가이드[편집]



8.1. 밍키모모와 마법[편집]


주인공이 마법으로 사람들의 소원을 풀어주는 작품이 밍키모모지만, 결국 중요한 건 마법이 아니라 사람이란 사실이 밍키모모에는 담겨 있다.

이런 부분을 직접적으로 드러내는 게 43화. 여기서 밍키는 애니메이터 지망생이 만드는 애니메이션을 돕기 위해 마법을 쓰지만, 이후 영사기로 돌렸을 때 마법의 힘으로 만들어낸 장면들은 아무 것도 찍혀 있지 않은 상태로 나온다. 마법이란 자신의 꿈을 이루기 위해 전진하는 사람들에게는 필요없는 것.

또한 인간의 유한성을 강조한 에피소드도 있는데 불치병에 걸린 유명 영화배우의 최후의 유작을 촬영하는 것을 돕기 위해서 밍키가 상대 여배우로 변신해서 활약하는데 영화 마지막 크레딧이 오르고 그 남자 배우가 영화 촬영후 사망했다는 이야기와 함께 마법으로도 어떻게 할 수 없는 인간의 유한성을 양초로 표현하는 게 명장면.

하여간 이런 부분을 가장 구체화한 게 충격적이기까지 한 밍키모모의 (최종화가 될 뻔한) 46화이다.


8.2. 제작 중단과 최종화[편집]


슈도 타케시는 밍키가 조기종영될지도 모른다는 사실을 알게 되자 우주전사 발디오스 꼴이 나지 않게 언제든 끝낼 수 있는 준비를 하게 되었다.

슈도 타케시의 구상상 처음 생각했던 마무리는, '인간의 꿈과 희망을 가로막는 악몽같은 존재가 나타나고 밍키가 그것을 물리치지만 상처입은 끝에 긴 잠에 빠지고 꿈 속에서 페나리나사가 지구로 내려오는 것을 본다'라는 내용이었다.

그런데 42화로 종영된다는 소식을 듣게 되자 원래 42화의 각본이었던 내용을 최종화로 쓸 생각을 하게 된다. 원래 닥터 스트레인지러브의 패러디인 각본상에는 핵폭탄이 결국 폭발하지 않는 내용이지만, 이걸 고쳐서 그냥 핵이 터지고 지구가 멸망하는 걸로 마무리할 생각이었던 것.

만약 이렇게 끝났으면 본격 꿈도 희망도 없는 밍키가 되었겠지만, 당시 스폰서 관련해 조정을 맡고 있던 요미우리 광고사의 오노 미노루 프로듀서가 필사적인 설득에 나선 끝에 42화에서 4화 늘어난 46화에서 마무리할 수 있었고, 이 분량상으로는 원래 슈도 타케시가 구상한 최종 이야기를 처리할 수가 없었기에 (최종화가 될 뻔한) 46화가 나오게 되었다.

그런데 앞선 내용에 있듯이 그렇게 끝내고 보니 연장 방영에 들어갔고, 그 덕에 원래 슈도 타케시가 구상했던 마무리 스토리는 고쳐진 후 연장된 부분에 쓰이게 된다.

밍키의 (최종화가 될 뻔한) 46화가 이후 만들어낸 반향을 생각해보면 그야말로 찬양하라 오노 미노루인 셈. 최종화의 끔찍함은 당장 구글에서 'ミンキーモモ 死亡', 'ミンキーモモ 交通事故死', 'Minky Momo hit by Truck' 등의 유도 검색어가 나오는 것만 봐도 알 수 있다.

관련글


9. 해외 공개[편집]



9.1. 대한민국[편집]


일본에서 방영 막바지에 이르던 1983년 3월 31일부터[9] KBS2에서 <요술공주 밍키>라는 제목으로 방송되었고, 1984년 5월 17일까지 매주 목요일 오후 7시대에 방송됐다. 방영 초기에는 7시 10분이었다가 1984년 4월 5일부터 7시로 재편됐다. 1985년에도 KBS1에서 매주 일요일 아침 '명작만화' 시간대에 1회당 2편씩 방송한 바 있다.

밍키가 방송되는 동안은 길거리에서 아이들이 사라져 버렸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엄청난 인기를 끌었다. 이런 인기 덕에 밍키 이후 스튜디오 피에로가 만든 마법소녀물이 이어서 지상파를 타게 된다. 방영 당시엔 신문에 적힌 방송 편성표를 보고 옛날 TV 특유의 드르륵거리는 원통형 손잡이 채널로 맞춰 틀어야지만 이 애니메이션을 제대로 시청할 수 있었으며, 일본과 달리 아직 VCR 보급율도 낮아 방영시간을 놓치게 된다면 재방송을 기다려야만 했다. 그리고 밍키 자체도 재탕해서 지상파를 타기도 했다.

한국어판 오프닝은 정여진이 불렀으며, 밍키 방영 시기를 보낸 1960~70년대생이라면 어린 시절 애니메이션 팬이고 아니고를 떠나 기억하는 사람이 많은 곡이다.

워낙 마지막화(라고 알려진 46화)가 악명이 높아서 '밍키의 마지막회는 너무 충격적이어서 한국에서는 방영되지 않았다.'라는 루머(짱구는 못말려 결말 괴담의 원조)가 있고 디시인사이드에도 비슷한 글이 올라올 정도인데. 도시전설이다. 한국에서도 단 한 장면도 잘리지 않고 온전히 방영되었고 당연히 한국의 시청자들 또한 충격과 공포에 빠졌다. 그리고 밍키가 죽고도 이어지는 내용 때문에 혼란을 느낀 사람도 여럿 있었고, 아직까지도 밍키 마지막이 어떻게 된 건지 제대로 모르는 사람들도 많이 있다. 실은 이게 전부 그 충격과 공포를 전해준 46화 때문. 이 에피소드만 본 사람들은 당연히 이게 마지막 화라고 생각했을 테고, 후속작인 바다 모모를 하늘 모모의 환생이라고 해석하는 경우까지 나와버렸다. 워낙에 임팩트가 컸던 사건인지라 이런 이야기가 퍼져나간 것. 세월이 지나 같은 방송사에서 방영한 옥탑방의 문제아들 11회 (2019년 1월 16일 방영분)에서도 해당 내용이 소개되었다.[10]

출처는 불명이지만 한국 신문의 어느 칼럼에서 밍키 이야기를 하면서 한국에서는 밍키 부활편이 방영이 안되었다라는 이야기도 했는데 총집편과 부활부분도 방영했다. 설정상 밍키 아빠가 물 먹으러가다가 주웠던 보석을 왕관에 넣으니 부활했다 그리고 꿈이었다라는 설정.

tvN 드라마 응답하라 1988에서 진주가 좋아한다. 그리고 진주가 이 노래에 맞춰 춤을 추면서 동일이 아저씨가 대박으로 이길 수 있던 고스톱 판을 뒤집어 엎어버렸다.


9.2. 기타 국가[편집]


  • 미국에서는 1984년 하모니 골드를 통해 수입되면서 The Magical World of Gigi란 이름으로 영어 더빙판이 방영되었다.


10. 평가[편집]



10.1. 마법소녀물에 미친 영향[편집]


밍키모모는 마법소녀물의 흐름 자체를 바꾸어 놓았다. 변신이란 요소만 치면 큐티하니도 있긴 했고 다른 세상에서 왔다는 것도 전혀 새로울 것 없지만. 화려한 변신 장면과 노출, 조력자 격인 동물들, 마법소녀물 임에도 외려 마법을 경계하고 일상을 중시하게 되는 마무리 등의 요소들은 마법소녀물을 이전과는 다른 길로 이끌 수 있는 도구들이 되었다.

밍키모모로 인해 마법소녀물토에이 애니메이션 스타일의 마법소녀물을 넘어서 새로운 장으로 나아가게 된다. 사실상 마법소녀물은 이 작품으로 인해 하나의 독자성을 갖는 장르가 되었다. 밍키모모 이후의 마법소녀물 중 밍키모모의 영향을 벗어날 수 있는 작품이 없다. 마법소녀물의 본가 토에이 애니메이션에서 만든 마법소녀물도 예외가 아니다.

그런데 정작 아시 프로덕션은 밍키모모 이후 로봇물로 돌아가 버렸다. 그리고 스튜디오 피에로가 마법소녀물 제작에 뛰어들어 밍키가 만들어낸 요소들을 계승하고 파고들게 된다.


11. 미디어 믹스[편집]



11.1. 극장판 OVA: 꿈속의 윤무[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극장판 요술공주 밍키: 꿈속의 윤무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1.2. 음악 OVA: 눈동자의 별자리[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요술공주 밍키 송 스페셜 눈동자의 별자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2. 기타[편집]


  • 주인공이 트럭에 치인 후 환생한다는 전개는 이 작품이 최초이다. 일본 창작물에서 이세계에 환생하는 주인공들은 십중팔구 트럭에 치이는데, 밍키모모가 남긴 트라우마가 상당히 뿌리 깊었던 모양.

  • SOS 조난 사건과 관련하여 조난자의 유품에 관련 스티커가 붙어있었기에 이 만화의 팬이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 밍키나사가 등장하는 31화는 통으로 같은 슈도 타케시 작품 전국마신 고쇼군 패러디이다. 음악까지 똑같다. 같은 아시 프로덕션 작품인데다 그 음악의 저작권 소유자가 아시 프로덕션이라 가능했던 개그.

  • 완구는 주로 반다이의 자회사였던 포피(ポピー)[11]에서 발매했다.

[1] 당시 TXN 계열국은 TV 도쿄와 이제 막 개국한 테레비 오사카 뿐이었다. 테레비 아이치, 테레비 세토우치, 테레비 홋카이도, TVQ 규슈방송은 개국 전이었기 때문에 후지 테레비 계열국인 도카이 테레비, 오카야마 방송, 홋카이도 분카 방송, TV 니시닛폰을 통해 방영되었다. 여담으로 이 4개의 TXN 계열 방송국이 개국한 건 종영 이후의 일이다.[2] 그탓에 밍키가 탐정으로 변신할 때 말려든 엄마가 하드보일드 탐정이되는 (밍키는 페이크 주인공이되는) 에피소드라든지 군인으로 변신한 밍키가 악당에게 바로 털리고, 숨겨진 슈퍼 로봇이 등장하는등 변신씬만 들어갈뿐 어디가 밍키모모인가 싶은 에피소드들이 나온다.[3] 지금이랑 채색이나 작화 유행 같은 게 달라서 구려보일지도 모르지만 변신 신이나 액션 신에는 극장판 급으로 동화 컷수를 사용해서 무서울 정도로 움직임이 부드럽다.[4] 요즘 같으면 피규어, 각종 소품, 오디오 드라마, 캐릭터송, 미디어믹스, 심지어 다키마쿠라까지 다양한 상품을 전개했겠지만 당시에는 그런 아이템이 없던 시절이다. 남아용의 경우는 변신로봇 장난감 등 매출을 끌어올릴 수단이 많았으나 이런 여아용 애니메이션은 기껏해야 요술봉 정도밖에 없었다.[5] 그래서 제 42회 '엇갈림 투성이의 대작전'은 대놓고 닥터 스트레인지러브의 패러디로 핵폭탄을 실은 B-52가 출격한다는 내용으로 나왔으며, 원안 중에는 밍키가 핵폭격을 막지 못해 이대로 핵전쟁이 터지면서 지구가 멸망한다는 원안도 있었다고 한다.[6] 이 완구가 다름 아닌 '카지라'라고 부르는 악어괴물 인형이다. 뒷 내용 이전에 총집편이나 뒷 내용에서 잠시 나오는 갑툭튀 괴물이 바로 이런 이유.[7] 피피루와 중복 캐스팅[8] 한국어 번역 제목에서 두번째 줄은 임의로 번역된 제목, 세번째 줄과 47, 48화의 두번째 줄은 정식 방영사인 KBS 2TV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9] 그 이전에는 해당 시간대에 <KBS 뉴스쇼>가 편성됐으며, 종영 뒤에는 <개구리 왕눈이>가 차지했던 6시 만화시간대와 맞바꿨다.[10] 다만 49화 이후 연장 방영 관련 내용은 빠진 상태로 방영되었다.[11] 1971년 설립, 1983년 반다이에 흡수 합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13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13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30 00:03:25에 나무위키 요술공주 밍키(1982년 애니메이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