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일관계

덤프버전 :












1. 개요[편집]


소련일본의 관계에 대한 문서.


2. 역사[편집]



2.1. 러시아 내전[편집]


러시아 혁명으로 러시아 제국이 무너지고 세력을 확장한 적군(볼셰비키)와 백군(반대파)의 내전이 일어났다. 일본은 백군에 편에 참가하여 개입하지만 진정한 목적은 시베리아와 극동 지방을 차지하는 것이었다. 이 사건을 시베리아 출병이라고 한다. 하지만 적군이 이기면서 소련이 성립되고, 백군은 감옥으로 가거나 추방당했다. 일본은 더 이상 시베리아에 있을 명분이 없었고, 주둔 지역의 격렬한 반발에 결국 극동 지방에서 철수한다.[1]


2.2. 전간기[편집]


1931년 일본 제국이 만주 사변을 일으켰을 때 소련은 중립적인 입장을 취했다. 소련과 이후 수립된 만주국의 국경을 놓고 양국간 의견 차이가 있었으나 아무런 의미 없는 좁은 황무지였기 때문에 직접적인 충돌은 없었다. 하지만 일본군 육군은 소련을 가상 적국으로 여기고, 소련도 일본 육군의 일탈적인 행위를 경계하고 있었다. 양측은 경쟁적으로 군비를 확장했고, 1930년대 중후반에는 소련-일본 국경분쟁이 발생했다.

1937년, 소련의 지도자 스탈린은 일본과의 마찰에 강력한 대응책을 실시했다. 당시 일본 영토에서 소련으로 넘어와 거주하던 일본인, 즉 한국인중앙아시아로 보내버리는 것이었다. 일본 국민이면서 일본 본토 출신인 순수 일본인들은 러일전쟁 이후 본국으로 돌아갔으나, 한반도 출신들은 소련에 남아있었다. 당시 조선은 일본의 일개 지명이었고, 조선 거주자는 전부 일본인으로 취급되었기 때문에 소련은 이들을 정치적으로 이용한 것이다. 중일전쟁이 발발하고, 소련은 연해주에 여행 금지 조치를 내리고 일본인(한국인)들을 이주시킨다. 이들이 훗날의 고려인이다.

일본과 소련은 수 차례의 국경 분쟁을 겪었으며, 이는 결국 1939년 할힌골 전투라는 큰 사건으로 이어졌다. 이 전투에서 일본이 패하며 소련에 대한 적극적인 군사 개입을 중단하게 되었다. 소련 역시 예상 외로 인명피해가 컸을 뿐 아니라 이 시점에서는 나치 독일과의 불가침 조약을 보험삼아 폴란드, 핀란드 등 유럽 공략에 관심이 있었기 때문에 일본과의 갈등은 대충 마무리해야 하는 상황이었다.


2.3. 제2차 세계 대전[편집]


방공협정 동맹인 독일이 일본과의 상의없이 할힌골 전투의 적국 소련과 독단적으로 독소 불가침조약을 맺는 것을 보고 충격을 받은 일본 제국은 다다음해인 1941년 소일 불가침조약을 맺는다. 같은 해 독소전쟁태평양전쟁이 발발한 이후에도 양국은 거의 전쟁 기간 내내 서로를 자극하지 않았다. 스탈린은 장교들에게 만주국, 몽골과의 국경에서 충돌을 피할 것을 지시했고 일본과 교전하는 미군이 소련의 영공에 들어오는 것조차 허용치 않았으며 이로 인해 일본 제국은 태평양 전쟁을 후방의 부담없이 치를 수 있었다. 일본 역시 적국인 미국이 블라디보스토크항을 통해 소련에 보급하는 랜드리스에 대해서는 건드리지 않았다. 물론 서로를 자극하지 않으려고 한 것일 뿐이지 양국 모두 이것만으로 방심하진 않았다. 만주와 몽골에 주둔한 일본 관동군 병력은 항상 대소련 작전을 우선 과제로 삼고 이를 수행했다. 소련군 역시 독일군에게 수도 모스크바가 위협받는 다급한 상황에서도 극동 지역에 주둔시킨 병력 중 일부를 동부전선에 차출해 재배치했을 뿐 독소전쟁 내내 수십개 사단을 상설 배치해서 일본을 견제했다. 이러한 1941~45년 사이 연합국 소련과 추축국 일본의 관계는 소위 '기묘한 중립'에 가까웠다.

일본의 대소 중립 정책은 서방 추축국 입장에서 보면 악수였다. 독일은 일본이 동쪽에서 소련을 공격함으로서 바르바로사 작전을 도울 것이라는 전제 하에 소련을 침공했으나, 소일 불가침조약이 맺어짐으로써 독일은 혈혈단신으로 소련을 상대해야 했고 일본은 일본대로 미국이라는 강력한 적을 끌어들이는 바람에 양국은 동해인 1945년 패전하고 말았다.[2]

하지만 일본의 진주만 공습이 자살행위였다는 평가야 백번 맞지만 그렇다고 위의 주장처럼 일본을 도와 미국에 선전포고한 독일과 달리 소일불가침조약을 준수하며 소련을 침공하지 않은 일본의 결정을 비난(?)하는 것은 전지적 독일 시점이다. 애초의 타 추축국에 통고없이 소련과 먼저 불가침조약을 체결한 것은 상술했듯 독일이었다. 이는 반공산주의 동맹인 방공협정을 사실상 위반하는 행위이자 조약 체결 시점인 8월 23일 아직 할힌골 전투에서 소련과 교전 중이었던 일본의 뒤통수를 때리는 정책이었다. 또한 독소전쟁의 발발 역시 일본에 대한 사전 통고가 없었던 것은 물론이며 일본이 독일을 따라서 소일 불가침조약을 체결한지 불과 2개월 후의 일이었다. 당연히 독소전쟁 시점 일본은 소련과 전쟁할 이유도, 여력도 없었다. 일본 입장에서 독일을 신뢰할 수 없었음은 둘째 치더라도 시시각각 바뀌는 히틀러의 장단에 맞추기란 불가능이었다.

게다가 모스크바 공방전 시점 소련이 극도의 수세에 몰렸던 상황과 별개로 일본 입장에서 시베리아를 횡단해 모스크바를 치라는 독일의 요구는 터무니 없었다. 일본에서 가까운 블라디보스토크를 침공하는 것은 어렵지 않았으나 이는 모스크바 시가전을 벌이는 소련 입장에서 눈 깜짝 할 일도 아니었으며 오히려 일본의 태평양 전쟁 안전보험인 소일 불가침조약을 깨는 자충수였을 것이다. 그렇다고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모스크바까지 병력을 진격하고 이들을 보급하는 것은 더더욱 불가능한 과제였는데 일본보다 육군력이 훨씬 강한 독일조차 동유럽 보급에서 어려움을 겪었고 이것이 결과적으로 직접적인 패인으로 작용한 와중에 일본 육군력으로 동유럽보다 훨씬 넓고 혹독한 시베리아 한복판으로 들어가는 것은 그냥 자살행위나 마찬가지였다. 더군다나 각종 자원의 창고인 동남아시아와 달리 동부 시베리아는 석유 외 자원도 부족했고 지정학적 이점이 떨어졌던 것은 덤이다. 따라서 일본의 소련 침공이라는 가상 역사는 후대 호사가들의 흥미거리일 뿐 그 이상의 역사학적 가치를 지닌 주제가 아니다.

양국 간에 불가침 조약이 있었으나 유럽전선이 마무리되는 1945년이 되면 소련 수뇌부도 얄타 회담의 합의에 따라 대(對)일본 전쟁에 참여할 것을 결정했다. 이로써 5년짜리 소일 불가침조약은 결국 만 4년이 조금 넘는 시점에서 파기되었고 만주 작전을 비롯한 소련의 대대적인 공세로 인해 일본은 만주, 몽골[3], 조선 등의 괴뢰국식민지는 물론 북해 지방으로 분류되던 남사할린쿠릴 열도 전역을 상실했다. 소련은 일본의 무조건 항복 후에도 평화협정에 서명하지 않았고, 양국은 현재까지도 휴전 상태를 유지하는 중이다.


2.4. 일-소 공동선언 [편집]


1956년 일-소 공동선언으로 외교관계가 회복되었다. 하지만 공동선언 제9항에서 소련은 하보마이 군도와 시코탄 섬을 평화 조약 체결 후 일본에 넘기는 것에 동의한다는 것에 서명했다는 점에서 다시 북방 영토 분쟁이 불거졌다.

여기에는 복잡한 사정이 있는데 바로 미국이 일본과 소련의 외교에 개입하였기 때문이다. 이 선언은 흔히 일본에게 유리한 편으로 알려져 있지만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다. 미국은 일본에게도 상당히 골때리는 여지들을 남겨줬는데 단적으로 일본이 소련과 독단적으로 평화 협정을 맺고 쿠나시르와 이투루프를 포기하는 대가로 시코탄과 하보마이를 넘겨받을 경우 오키나와를 절대 반환하지 않겠다고 압박을 가한 것이다.[4] 일본으로서도 시코탄, 하보마이 따위 하나를 얻으려고 오키나와까지 포기할 수는 없었기 때문에 결국 소일 간의 평화 협정은 좌절되었고 현재까지도 러일 양국은 종전을 맺지 못했다.

이후 미국이 공식적으로는 쿠릴 열도에 대해 일본의 편을 들어주고 있으며 이에 대해 적잖은 일본의 우파들은 미국의 지지는 러시아와의 쿠릴 열도 분쟁에서 일본이 우위를 점할 수 있는 요소라고 보기도 하지만 이는 오판인데 이러한 미국의 일본을 편드는 태도는 오히려 러시아가 쿠릴 열도에 대해 더 강경한 외교 태도를 취하게 하기 때문이다.[5]

또 일본은 소련을 사실상의 주적으로 규정해 소련군의 상륙을 대비해서 홋카이도에 전차를 집중적으로 배치했다. 이는 소련 붕괴 후에도 한동안 이어졌다가 2010년에야 중국의 부상에 따라 이 틀을 뜯어고쳤다. #

1991년 4월 16일에 소련의 미하일 고르바초프 대통령이 소련의 지도자로서 첫번째이자 마지막으로 일본을 방문했다.# 이때 북방 4섬을 영토 문제의 협상 대상으로 하는 것을 처음으로 문서로 확인했고 북방 영토 출생 일본인들에게 무비자 제도를 실시하는 성과를 냈다.


2.5. 소련 붕괴[편집]


러일 양국은 소련 붕괴 후에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정식으로 평화 협정을 맺지 않았다.

소련 붕괴 후 소일관계는 러일관계로 승계되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5 13:21:12에 나무위키 소일관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제정 러시아 시절 대량으로 수입한 30년식 소총이나 38식 소총 등은 러시아 내전 당시 백군과 적군을 가리지 않고 쓰였다. 심지어 러시아로부터 독립한 폴란드 제2공화국에도 유입되어 민병대용 무장으로 보관되었을 정도였다.[2] 단, 당시 일본과 독일의 관계는 진정한 의미의 동맹이라기보다 같은 적에 맞서 싸우는 관계에 더 가까웠다.[3] 몽강국[4] 1950년대까지만 해도 일본 정치권은 쿠나시르와 이투루프는 포기하고 본래 쿠릴 열도와 식생이 다른 시코탄과 하보마이만 돌려받겠다는 입장이었으며 소련 역시 이 두 섬의 반환은 진지하게 검토 중이었다. 하지만 미국의 대일 압박으로 일본 정치권은 현재의 4개 섬 일괄 반환 입장으로 선회한 것이며 이러한 쿠릴 열도 분쟁은 여전히 해결되지 못했다. 다만 일본도 미국과의 신뢰 외교를 바탕으로 쿠릴 열도 전체를 합친 것보다 훨씬 중요한 오키나와를 반환받았으니 전반적으로 마냥 실패한 것만은 아니다.[5] 일본에서 쭉 미국의 지지를 부각시켜오다가 뒤늦게서야 일본 아베 총리 집권시기 미국 지지가 쿠릴 열도 분쟁에 하등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것을 인식하고 점차 미국에 대한 언급을 줄여가기 시작해서, 급기야 아베 총리 본인이 쿠릴 열도에서는 일본의 허락없이 일방적인 미군 주둔은 없을 것이라고 공식 거론하기까지 한다. 그럼에도 러시아는 "일본이 미군기지 결정권을 가지고 있긴 하냐"고 불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