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힌골 전투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문서가 생성된 전투만 기재
둘러보기 : 유럽 및 아프리카 전선 전투목록
전투 이름
교전국
공격 측
방어 측

중일전쟁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만주국 국기.svg 만주국
파일:몽강연합자치정부 국기.svg 몽강연합자치정부
파일:왕징웨이 정권 국기.svg 왕징웨이 정권
파일:대만 국기.svg 중화민국
파일:중국 공산당 당기.svg 중국공산당
파일:영국 국기.svg 대영제국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파일:몽골 인민공화국 국기.svg 몽골 인민 공화국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
루거우차오 사건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대만 국기.svg 중화민국
제2차 상하이 사변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대만 국기.svg 중화민국
장인 전투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대만 국기.svg 중화민국
우쑹 전투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대만 국기.svg 중화민국
난징 전투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대만 국기.svg 중화민국

충칭 대공습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대만 국기.svg 중화민국

1939년 동계공세작전
파일:대만 국기.svg 중화민국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할힌골 전투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만주국 국기.svg 만주국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파일:몽골 인민 공화국 국기(1924–1940).svg 몽골 인민 공화국
창사 전투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대만 국기.svg 중화민국

백단대전
파일:중국 공산당 당기.svg 중국공산당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코 창 해전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국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진주만 공습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남방작전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파일:영국 국기.svg 대영제국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제1차 괌 전투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웨이크섬 전투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싱가포르 전투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영국 국기.svg 대영제국
말레이 해전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영국 국기.svg 대영제국

마셜-길버트 공습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다윈 공습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로스엔젤레스 전투
공격측 불명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자바 해전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파일:영국 국기.svg 대영제국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엘우드 포격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실론 해전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영국 국기.svg 대영제국
둘리틀 특공대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산호해 해전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미드웨이 해전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알류샨 열도 전역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코코다 트랙 전투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과달카날 전역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파일:영국 국기.svg 대영제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연방
툴라기 전투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테나루 전투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파일:영국 국기.svg 대영제국
사보섬 해전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마타니카우 작전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동부 솔로몬 해전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에스페란스 곶 해전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산타크루즈 해전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과달카날 해전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타사파롱가 해전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비스마르크해 해전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일-독 잠수함 합동작전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파일:영국 국기.svg 대영제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연방
타라와 전투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콜롬방가라 해전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창더 전투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대만 국기.svg 중화민국
부건빌 전역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글로스터 곶 전투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파일:영국 국기.svg 대영제국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헤일스톤 작전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임팔 전투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자유 인도 임시정부 국기.svg 자유 인도 임시정부
파일:버마국 국기.svg 버마국
파일:영국 국기.svg 대영제국
파일:영국 국기.svg 인도 제국
파일:대한민국 임시정부 국기.svg 대한민국 임시정부
대륙타통작전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대만 국기.svg 중화민국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사이판 전투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필리핀 해 해전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제2차 괌 전투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펠렐리우 전투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앙가우르 전투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오보에 작전
파일:영국 국기.svg 대영제국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대만 항공전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필리핀 탈환전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레이테 만 해전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일본 본토 공습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풍선폭탄 공격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람리 섬 전투
파일:영국 국기.svg 대영제국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페낭 해전
파일:영국 국기.svg 대영제국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도쿄 대공습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이오지마 전투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오키나와 전투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파일:영국 국기.svg 대영제국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구레 군항 공습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시탕 굽이 전투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영국 국기.svg 대영제국
히로시마·나가사키 원자폭탄 투하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만주 전략 공세 작전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파일:몽골 인민공화국 국기.svg 몽골 인민 공화국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파일:만주국 국기.svg 만주국
파일:몽강연합자치정부 국기.svg 몽강연합자치정부
남사할린 침공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슘슈 섬 전투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시기 구분은 전투 및 교전 발생 일자 기준, 전투 기간(및 결과)는 개별 문서 확인





[ 펼치기 · 접기 ]
#000,#999
||<tablewidth=100%><width=10%><colbgcolor=#536349><rowbgcolor=#536349><tablebgcolor=#FFF,#1f2023> {{{#FFF '''연표'''}}} || {{{#FFF '''사건'''}}} ||
|| [[제2차 세계 대전/연표#1936년|{{{#FFF 1936년}}}]]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999; color:#fff; font-size: 0.88em"
3월}}} [[라인란트 재무장]]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999; color:#fff; font-size: 0.88em"
7월}}} [[스페인 내전]] 발발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999; color:#fff; font-size: 0.88em"
12월}}} [[방공 협정]] ||
|| [[제2차 세계 대전/연표#1937년|{{{#FFF 1937년}}}]]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999; color:#fff; font-size: 0.88em"
7월}}} [[중일전쟁]] 발발([[루거우차오 사건]]) · [[국공합작#s-3|제2차 국공합작]]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999; color:#fff; font-size: 0.88em"
8월}}} [[상하이 전투]]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999; color:#fff; font-size: 0.88em"
12월}}} [[난징 전투]]([[난징 대학살]]) · [[파나이 호 사건]] ||
|| [[제2차 세계 대전/연표#1938년|{{{#FFF 1938년}}}]]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999; color:#fff; font-size: 0.88em"
3월}}} [[오스트리아 병합]]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999; color:#fff; font-size: 0.88em"
6월}}}  [[1938년 황허 홍수]]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999; color:#fff; font-size: 0.88em"
7월}}} [[하산 호 전투]]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999; color:#fff; font-size: 0.88em"
9월}}} [[뮌헨 협정]] ||
|| [[제2차 세계 대전/연표#1939년|{{{#FFF 1939년}}}]]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999; color:#fff; font-size: 0.88em"
4월}}} [[스페인 내전]] 종결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999; color:#fff; font-size: 0.88em"
5월}}} [[할힌골 전투]]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999; color:#fff; font-size: 0.88em"
8월}}} [[독소 불가침조약]]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999; color:#fff; font-size: 0.88em"
9월}}} [[폴란드 침공]]('''[[제2차 세계 대전]] 발발''') · [[가짜 전쟁]]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999; color:#fff; font-size: 0.88em"
11월}}} [[겨울전쟁]] ||
|| [[제2차 세계 대전/연표#1940년|{{{#FFF 1940년}}}]]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999; color:#fff; font-size: 0.88em"
4월}}} [[노르웨이 침공]]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999; color:#fff; font-size: 0.88em"
5월}}} [[프랑스 침공]] · [[됭케르크 철수작전]]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999; color:#fff; font-size: 0.88em"
7월}}} [[영국 본토 항공전]]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999; color:#fff; font-size: 0.88em"
9월}}} [[삼국 동맹 조약]]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999; color:#fff; font-size: 0.88em"
10월}}} [[그리스 침공]] ||
|| [[제2차 세계 대전/연표#1941년|{{{#FFF 1941년}}}]]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999; color:#fff; font-size: 0.88em"
5월}}} [[비스마르크 추격전]]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999; color:#fff; font-size: 0.88em"
6월}}} [[바르바로사 작전]]([[독소전쟁]] 발발) · [[계속전쟁]]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999; color:#fff; font-size: 0.88em"
9월}}} [[레닌그라드 공방전]]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999; color:#fff; font-size: 0.88em" 
10월}}} [[모스크바 공방전]]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999; color:#fff; font-size: 0.88em"
12월}}} [[진주만 공습]]([[태평양 전쟁]] 발발) · [[말레이 해전]] · [[남방작전]] ||
|| [[제2차 세계 대전/연표#1942년|{{{#FFF 1942년}}}]]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999; color:#fff; font-size: 0.88em"
4월}}} [[둘리틀 특공대]]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999; color:#fff; font-size: 0.88em"
6월}}} [[청색 작전]] · [[미드웨이 해전]]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999; color:#fff; font-size: 0.88em"
7월}}} [[엘 알라메인 전투]]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999; color:#fff; font-size: 0.88em"
8월}}} [[스탈린그라드 전투]] · [[과달카날 전역]]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999; color:#fff; font-size: 0.88em"
11월}}} [[과달카날 해전]] · [[횃불 작전]] · [[노르웨이 중수 사건]] ||
|| [[제2차 세계 대전/연표#1943년|{{{#FFF 1943년}}}]]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999; color:#fff; font-size: 0.88em"
1월}}} [[카사블랑카 회담]]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999; color:#fff; font-size: 0.88em"
2월}}} [[제3차 하르코프 공방전]]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999; color:#fff; font-size: 0.88em"
4월}}} [[바르샤바 게토 봉기]]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999; color:#fff; font-size: 0.88em"
7월}}} [[쿠르스크 전투]] · [[연합군의 시칠리아 침공]]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999; color:#fff; font-size: 0.88em"
9월}}} '''[[이탈리아 전선(제2차 세계 대전)|이탈리아 왕국의 항복]]'''([[이탈리아 내전]] 발발)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999; color:#fff; font-size: 0.88em"
11월}}} [[카이로 회담]] · [[테헤란 회담]] ||
|| [[제2차 세계 대전/연표#1944년|{{{#FFF 1944년}}}]]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999; color:#fff; font-size: 0.88em"
4월}}} [[대륙타통작전]]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999; color:#fff; font-size: 0.88em"
6월}}} [[바그라티온 작전]] · [[노르망디 상륙작전]] · [[필리핀 해 해전]] · [[사이판 전투]]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999; color:#fff; font-size: 0.88em"
7월}}} [[금본위제도#s-5.3|브레턴우즈 회의]] · [[히틀러 암살 미수 사건]]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999; color:#fff; font-size: 0.88em"
8월}}} [[바르샤바 봉기]]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999; color:#fff; font-size: 0.88em"
9월}}} [[마켓 가든 작전]]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999; color:#fff; font-size: 0.88em"
10월}}} [[레이테 만 해전]]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999; color:#fff; font-size: 0.88em"
12월}}} [[벌지 전투]] ||
|| [[제2차 세계 대전/연표#1945년|{{{#FFF 1945년}}}]]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999; color:#fff; font-size: 0.88em"
2월}}} [[얄타 회담]] · [[드레스덴 폭격]] · [[이오지마 전투]]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999; color:#fff; font-size: 0.88em"
3월}}} [[도쿄 대공습]] · [[연합군의 독일 본토 침공]]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999; color:#fff; font-size: 0.88em"
4월}}} [[베를린 공방전]] · [[오키나와 전투]]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999; color:#fff; font-size: 0.88em"
5월}}} [[승리의 날#VE Day|'''나치 독일의 항복''']]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999; color:#fff; font-size: 0.88em"
7월}}} [[포츠담 회담]]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999; color:#fff; font-size: 0.88em"
8월}}} [[히로시마·나가사키 원자폭탄 투하]] · [[만주 전략 공세 작전]] · '''[[일본의 항복|일본 제국의 항복]]'''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border-radius: 4px; background: #999; color:#fff; font-size: 0.88em"
9월}}}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
||<-2> {{{-1 {{{#FFF ※ 매년 전황·추세 등 상세한 내용은 연표 해당 연도 참고}}}}}} ||

[각주]

파일:attachment/Khalkhin_Gol_Soviet_offensive_1939.jpg
할힌골 전투 당시의 소련군BT-7
파일:external/4d4d0c23602225293800314f1492394b56ea6d16c1e0e5c67d2cd091ea311491.jpg
파일:external/jjtaro.cocolog-nifty.com/s.jpg
진군하는 일본군전차 부대
격파된 소련군 장갑차와 일본군 기관총 부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Battle_of_Khalkhin_Gol-Mongolian_cavalry.jp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Khalkhin_Gol_Captured_Japanese_guns_1939.jpg
전투에 참가한 몽골 인민군 기병대
전투 이후 소련군이 노획한 92식 70mm 보병포

할힌골 전투
소련-일본 국경분쟁의 일부
파일:attachment/funsou2.png
할하 강, 장고봉 일대가 표시된 지도
날짜
1939년 5월 11일 ~ 9월 16일
장소
몽골, 할하 강
교전국
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 소련
파일:몽골 인민 공화국 국기(1924–1940).svg 몽골 인민 공화국
[[일본 제국|

일본 제국
display: none; display: 일본 제국"
행정구
]]

[[만주국|

만주국
display: none; display: 만주국"
행정구
]]

지휘관
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 게오르기 주코프(극동군 사령관)
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 그리고리 시테른(극동군 참모장)
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 야코프 스무시케비치(공군사령관)[1]
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 니콜라이 페클렌코(~6월 6일)[2]
파일:몽골 인민 공화국 국기(1924–1940).svg 허를러깅 처이발상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우에다 겐키치(관동군 총사령관)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고마쓰바라 미치타로(관동군 제23사단장)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야스오카 마사오미(관동군 제1전차단장)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72px-Flag_of_Manchukuo.svg.png 가르만 우르진(만주군 총사령관)[3]
병력
병력 61,860-73,961명
전차 498-550대
장갑차 385-450대
항공기
- 최대 전력 580대
- 총 투입량 900대 이상
대포 500-634문
트럭 4,000대
군마 및 낙타 1,921필(몽골군)
병력 30,000-38,000명
전차 73대
장갑차 75대[4]
항공기
- 최대 전력 200대
- 총 투입량 400대 이상
대포 약 300문
트럭 1,000대
군마 2,708필
피해규모
◆ 인명 손실
사망 및 실종 10,240명[5]
부상 15,952명
질병 2,225명
◆ 장비 손실
항공기 208대
전차 253대[6]
장갑차 133대
야포 및 박격포 96문
트랙터 및 견인차 49대
트럭 등 군용차량 652대
군마 등 다수 손실
◆ 인명 손실
사망 및 실종 8,440
부상 8,764명
질병 2,350명
포로 약 3,000명[7]
◆ 장비 손실
항공기 162대
전차 30대
장갑차 투입량 대다수
야포 72문[8]
군마 2,330필
군용차량 다수 손실
결과
소련 - 몽골 연합군의 승리
영향
소련-일본 제국 국경분쟁의 최종해결
소련-일본 중립조약 체결

몽골어: Халхын голын байлдаан
러시아어: Бои На Халхин-Голе
일본어: ノモンハン事件、ノモンハン事変
영어: Battle of Khalkhin Gol

1. 개요
2. 서론
3. 배경
3.1. 건차자도 사건(1937)
4. 제1차 전투
5. 제2차 전투
5.1. 주코프 참전
5.2. 관동군의 무모한 선공
5.3. 소련군의 8월 공세
6. 공중전에 관한 잡설
7. 결과와 영향
7.1. 연구위원회의 패배 원인 보고서
8. 기타
9. 매체에서
10.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노몬한은 일본인의 비근대적인 전쟁관, 세계관이 소비에트라는 새로운 전쟁, 세계관에 철저히 격파, 유린당한 체험이다."

무라카미 하루키


할힌골 전투는 1939년 5월 11일부터 동년 9월 16일까지 몽골 인민 공화국 영토에서 발생한 소련군, 몽골군일본군, 만주군 사이의 무력 충돌이다. 본 문서에서는 1939년 5월에서 9월까지 벌어졌던 '할힌골 전투'뿐만 아니라, 소련-일본 제국 국경분쟁의 일부였던 건차자도 사건 및 하산 호 전투(=장고봉 전투)를 모두 묶어 다룬다.

일본 측에서는 "노몬한 사건"이라는 명칭으로 부르지만 사실상 소련일본 제국의 제한전에 가깝다. 봉소전쟁 당시 중국군을 격파한 소련군의 두번째 승전이기도 하다.

중국 국민당국민혁명군[9]이나 중국 대륙에 있는 군벌의 군대처럼 완전히 현대화된 군대라고 볼 수 없었던 구식 군대만을 상대하다가 갑자기 수준급의 열강의 군대를 상대하면서 일본군의 문제점이 부각된 전투였다. 예를 들어 일본군은 치하 전차를 비롯한 주력전차들은 보병 서포트로 만들어졌기에 대전차에 약했고 설상가상으로 보병들은 대전차 장비도 없었고 대전차포도 화력이 빈약했다. 이에 전차를 폭파시키기 위해 일반 보병이 총에 맞으면 전차 밑에 엎드려 수류탄으로 폭파시키라는 명령을 주로 내렸으며 이런 문제는 태평양 전쟁 발발 이후에도 개선되지 않아 미군, 영국군을 상대로 한 카미카제 전술로까지 이어졌다. 그리고 러일전쟁 때 이겼다고 자만하던 일본군은 '러시아 제국이나 소련이나 거기서 거기겠지.' 라고 생각하여 신병으로 이뤄진 부대만을 전투에 투입했고 정예사단은 거의 투입도 하지 않았다. 게다가 당시 어느 나라와도 전쟁을 치르지 않던 소련과 달리 일본은 중화민국중일전쟁을 하며 전면전을 한참 벌이고 있었다.


2. 서론[편집]



[다큐] 무책임한 전투 - 할힌골(노몬한)[10]

할힌골(노몬한) 전투는 소련군 상대 전력을 경시한 낙관적인 전망과 물량보다 우선시했던 정신주의(근성론) 등 일본군이 태평양 전쟁에서 반복되었던 "실패의 본질"이 응축된 전투였다. 그러나 일본군은 실패의 책임을 야전의 장병들에게 물어 자결을 강요한 반면, 작전을 주도한 관동군의 엘리트 참모들[11]은 전후 주요 자리에 복직하여 이후 태평양 전쟁 발발 이후 같은 실패를 반복해 간다.

이 영상은 러시아 기록 보관소에서 2시간에 걸친 소련군의 기록 영상을 발굴하여 세밀하게 스캔한 영상을 AI에 의한 자동 채색 기술로 착색하여 전장의 실태를 복원, 또한 일본군의 판단의 경위가 증언된 150시간 이상의 일본 관동군 간부의 육성 테이프도 입수하여 할힌골(노몬한)의 패배는 어떻게 숨겨져 왔으며 실패는 왜 반복되는 것인지에 대해 자세히 다룬 다큐멘터리이다. 좀 더 자세한 전투 배경은 하단의 문서 참조.


3. 배경[편집]


파일:external/1.bp.blogspot.com/Area+map.jpg
▲ 소련, 몽골, 만주 간 국경과 할힌골이 표시된 지도[12]

파일:external/www.pacificwrecks.com/kg-river-view-south.jpg
▲ 현재 할하 강의 사진

사건은 1932년, 만주국 성립시 일본 관동군만주국몽골 사이의 국경을 할하 강[13]으로 정하면서 시작됐다. 이에 대해 전통적으로 할하 강 동쪽 16km 지점에 있는 노몬한[14] 언덕을 경계선으로 간주하던 몽골이 반발하면서 갈등이 빚어졌다. 일본의 주장대로 국경선을 정하면 기존의 국경선에서 뾰족하게 튀어나온 돌출부를 형성하는데 그것이 몽골에는 잠재적 위협이 되었기 때문이다.

해당 지역 자체는 모래와 잡초 투성이인 황무지여서 가치가 없었다. 또 만주국/일본과 몽골/소련이 주장하는 국경선의 차이는 약 10~20km 정도의 사소한 거리에 불과했다. 한 줌에 불과한 황무지를 놓고 굳이 무익한 싸움을 일으킬 필요는 없었으므로 협상으로 잠정적 국경선을 정하려는 움직임도 초기에 있었다. 그러나 당시 일본 육군은 소련을 제1의 가상 적국으로 여겼으며, 소련 또한 러일전쟁에서 겪은 패배의 경험을 기억했던 데다가 적백내전 당시 개입했던[15] 일본의 야욕을 충분히 인지했으므로 이 부근을 매우 중시했다. 특히 일본군 육군만주사변[16]이나 중일전쟁에서 보듯이 중앙의 명령을 따르지 않고 독자적으로 모험주의적인 충돌을 일삼았으므로,[17] 소련은 망나니와 같은 일본군을 경계했다.

그동안 일본의 군사적 야욕은 관동군을 확장하면서 점점 노골화되었다. 소련은 관동군이 극동에서 어떤 깽판을 칠지 알 수 없었으므로 군비를 계속해서 증강했고, 관동군도 마찬가지로 소련의 군비 확장을 근거로 병력을 늘려 나갔다.
  • 1931년~1939년 양 군의 군비 확장 통계[18]

파일:소련 국기.svg 극동 지방 소련군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관동군
연도
총 병력
보병사단
항공기
전차
총 병력
보병사단
항공기
전차
1931
불명
6개
불명
불명
6만 5천 명
1개
불명
불명
1932
10만 명
7개
160기
250대
9만 4천 명
4개
100기
50대
1933
불명
8개
300기
300대
11만 4천 명
3개
130기
100대
1934
23만 명
11개
500기
650대
14만 4천 명
3개
130기
120대
1935
24만 명
14개
950기
850대
16만 4천 명
3개
220기
150대
1936
30만 명
16개
1,200기
1,200대
19만 4천 명
3개
230기
150대
1937
37만 명
20개
1,560기
1,500대
20만 명
5개
250기
150대
1938
45만 명
24개
2,000기
1,900대
22만 명
7개
340기
170대
1939
57만 명
30개
2,500기
2,200대
27만 명
9개
560기
200대

1935년 1월에는 할하먀오 사건, 1935년 12월에는 오라호도가 사건, 1936년 1월 말엽에는 금창구 사건, 같은 해 3월에는 타우란 사건이 발생했는데 해당 사건들 모두 양측에서 몇십 명 정도의 피해만 입었을 뿐 그다지 주목할 만한 사건들은 아니었다.[19] 이 때까지는 그냥저냥 흔한 국경분쟁이었다.

그러나 1937년 이오시프 스탈린대숙청을 시작하여 미하일 투하쳅스키 등 유능한 장성들을 대거 처형함에 따라 일본은 소련의 군세를 과소평가하기 시작했다. 지치부노미야 야스히토의 부관으로 유럽을 방문 중이던 일본군 참모본부 소속 혼마 마사하루(1888~1946)[20] 소장이 모스크바를 방문하고 귀국하여 "소련군의 고위 지휘관이 숙청당했으며 이런 결과로 인해 소련군은 일본군에 상대가 되지 못할 것"이라는 내용의 보고서를 올림에 따라 일본은 소련과 비교적 큰 규모의 군사적 충돌을 일으키는 것 또한 주저하지 않았다. 이후 비교적 큰 규모였던 2번의 무력 충돌이 연달아 터졌다.


3.1. 건차자도 사건(1937)[편집]


이 부분은 영어 위키백과Kanchazu Island incident, 일본어 위키피디아乾岔子島事件(건차자도 사건), FC2 블로그만주국-소련 국경 분쟁에 관해 포스팅한 블로그(일본어), Axis History Forum, 《Nomonhan, 1939: The Red Army's Victory That Shaped World War II》의 내용을 참조하여 작성했습니다.
파일:external/www.pro-classic.com/lys_II48.jpg
▲ 건차자도 사건을 설명한 지도. 지도에 표시된 강은 흑룡강, 즉 아무르 강이다. 강에 떠 있는 3개의 방추형 물체는 소련 해군 건보트, 하중도 중에서 검은색 점 같은게 찍혀있는 2번째 섬은 소련군이 상륙한 지점이라고 표기되어 있다.

건차자도 사건은 1937년 6월 19일부터 동년 7월 4일까지 벌어졌던 소규모 국경분쟁으로, 교전 및 피해 규모는 적지만 사건의 발발 시기가 한창 2차 대전의 전운이 고조되던 때였던 데다가 이후 소련과 관동군의 행보를 정하는 데 적잖은 영향을 끼친 사건으로 중요성이 높다.

건차자도(乾岔子島/Kanchatzu Island)[21]는 중국 아이후이 구(愛輝區) 동남쪽 100km 지점에 있는 아무르 강[22]하중도로서, 만주와 소련의 공식 국경선이었다. 러시아에서는 볼쇼이 우수리스키 섬(Bolshoy Ussuriysky Island/Острова Большой Уссуриский)이라고 했다(줄여서 우수리스키 섬).

당시는 1858년 아편전쟁 도중 체결한 불평등조약아이훈 조약,[23] 전쟁 후인 1860년 체결한 베이징 조약으로 아무르 강 이북 지역과 연해주가 모두 러시아로 넘어간 상황이었다. 즉 엄밀히 말하면 아무르 강 내에 있는 하중도인 건차자도도 러시아 제국의 후예인 소련의 영토였던 것. 그러나 만주국은 자기네 배가 다니는 항로가 아무르 강이라며 국제법을 내세워 건차자도의 영유권을 주장했고 소련은 당연히 아이훈 조약을 들먹이며 영유권 확보에 나섰다. 이 당시 건차자도에는 만주국에서 보낸 사람들이 거주 중이었다.

분쟁이 벌어진 배경을 좀 더 상세히 서술하면 다음과 같다. 아이훈 조약, 베이징 조약으로 국경을 정한 것은 조약 체결 당시 아무르 강의 수로 위치에 따라 정한 것이었다. 그러나 조약이 체결된 1858, 1860년에서 70여 년이 지난 상황이었으므로 폭우, 홍수 등 자연적 요인으로 인해 지형이 그 당시와 다르게 바뀌어 있던 것이 분쟁의 발단이 되었다. 원래 조약에서 아무르 강의 주요 수로를 기준으로 북쪽에 위치한 섬은 러시아 소유, 남쪽에 위치한 섬은 중국의 소유로 규정해 놓았는데 1930년대가 되자 수로의 위치가 바뀌어 버린 것이다. 건차자도는 조약 체결 당시 아무르 강의 수로 북쪽에 있어 본래 러시아 소유였으나 이때 수로가 섬 북쪽으로 흐르게 되어 수로의 남쪽에 위치하게 된 건차자도는 중국, 즉 만주국 소유로 해석될 여지가 있었다. 당시에는 건차자도 말고도 여러 곳에서 이와 유사한 국경 획정 문제가 야기되었는데 건차자도는 그 중 가장 큰 섬이었다. 소련은 조약 체결 당시의 상황이 중요하며 수로의 위치 변동은 일시적인 것으로 섬의 소유권에는 아무런 영향이 없다고 주장했고 만주국은 현재의 상황을 조약의 내용에 따라 해석해야 한다며 맞섰다.

1937년 6월 19일, 2척의 소련군 건보트가 강 중앙선을 넘어 건차자도에 접근해 소련군 병사 20명을 상륙시켜 섬에 살던 만주국 공무원 등 거주민들을 내쫓고 노동자를 납치했으며 강을 지나던 만주국 소속 선박을 위협하였다. 다음날인 6월 20일, 만주국 경찰이 소련군의 월경 행위를 조사하다가 소련군의 기관총 세례를 받기도 했다. 조사 결과 이미 40명의 소련군이 건차자도를 요새화하고 있었다. 만주국 외교부는 소련 측에 계속 항의했으나 소련에서는 6월 28일까지 묵묵부답으로 일관했고 이에 우에다 겐키치 관동군 총사령관은 관동군 참모본부의 동의를 얻어 관동군 제1사단을 아무르 강 인근에 파견했다.[24]

관동군 제1사단은 이 섬을 점령할 계획을 세우고는 6월 29일 야습을 감행하기로 했으나, 관동군 참모본부에서 외교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기로 결정하는 바람에 계획이 지연되었고, 같은 날 소련도 건차자도에서의 철군에 동의했다. 그러나 6월 30일 아침 소련군 건보트 3척[25]이 선제 공격을 해오자[26] 가나에 미하라 중좌가 지휘하는 1사단 제49연대는 37mm 포로 응사했다. 관동군은 포상을 급조해서 고폭탄, 철갑탄을 사용해 소련군 건보트에 포격을 퍼부었다. 이 포격으로 건보트 1척이 침몰하고[27] 1척은 파손되었다. 소련군 사망자는 37명으로 집계되었으며 일본군 사망자는 없었다. 침몰한 건보트에 타고 있던 소련군이 강에 빠져 강둑으로 도망칠 때 일본군이 기관총 난사를 퍼부으면서 사망자가 많이 발생했다. 어처구니가 없는 것은 이때 이미 시게미츠 마모루 일본 대사와 막심 리트비노프 외무인민위원 사이에 이미 정전 협정이 결정되었는데 관동군이 해당 전보를 수신하지 못해 양 군 간에 교전이 일어나버린 것이다.

시게미츠 대사는 소련 측의 선제 공격에 대해 엄중히 항의했고 7월 4일 소련군은 건차자도에서 철군했다. 관동군은 얼씨구나 하며 건차자도를 점거했고 이후 건보트 7척이 더 접근해 왔지만 관동군은 무대응으로 일관했다. 그리고 1941년부터는 소련도 건차자도를 내버려두었다. 그 이유는 바로 독소전쟁이 시작되었기 때문이었다.

소련이 이러한 명백한 도발 행위에 더 강력하게 대응하지 않은 이유는 알 수 없지만 그 당시 강하게 불어닥치던 대숙청의 피바람 때문에 소련군이 일본군을 압살할 것이란 보장도 없었고, 무엇보다도 소련군이 철수한지 3일 뒤인 7월 7일 루거우차오 사건이 발생하자 소련 정보부에서는 중국과 일본 제국 사이에 대규모 전쟁이 발발할 것이라 예측하여 추가적인 보복을 가하지 않으면 일본이 중국 전선으로 눈을 돌릴 것이라 생각하고 교전을 일으키지 않았던 것으로 추측된다.[28] 이윽고 중일전쟁이 터지자 소련의 예측대로 관동군은 건차자도에 별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고 그저 형식상으로 만주국이 소유하게 되었다.

그러나 관동군은 소련군이 쫄아서 반격하지 못한 것이라 단단히 착각했고 관동군 참모 츠지 마사노부는 향후 일어날 소-일 간 전투에서 "우리의 자랑스런 병사들이 중앙의 명령 때문에 반격을 못하는 일은 없어야 한다"고 큰소리를 치고 다녔다. 심지어 주중 미국 대사마저도 소련의 군사력이 약해서 반격을 못한 것이라고 믿었다고 한다.

2차 대전 종전 후 건차자도는 소련의 영토가 되었다. 아마도 만주 작전 때 소련군에게 점령된 것으로 추측된다.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에 해당 사건을 보도한 동아일보의 기사가 남아있다(링크).


3.2. 하산 호 전투(1938)[편집]


이 부분은 영어 위키백과의 Battle of Lake Khasan, 일본어 위키백과의 張鼓峰事件(장고봉 사건), 유용원의 군사세계 - 장고봉 전투, 장고봉 전투를 다룬 네이버 블로그, 다음 블로그 봉달이의 삐딱한 전쟁사,[29] 하산 호 답사를 기록한 블로그(일본어)[30]를 참조하여 작성했습니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Battle_of_Lake_Khasan-Red_Army_cavalry_on_patrol.jpg
▲ 정찰 중인 소련군 기병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Battle_of_Lake_Khasan-Soviet_aerial_bombardment_against_Zaozernaya_Hill.jpg
▲ 소련 항공대에 의해 폭격당하는 장고봉
파일:external/www.korean.com.cn/464cdbf53431c96eeb642bd68ccebb88.png
▲ 장고봉의 위치를 나타낸 약도. 영토는 왼쪽부터 오른쪽으로 조선, 만주, 소련이며, 강 이름인 도문강(圖門江)은 두만강, 봉우리 3개는 위에서부터 사초봉(沙草峰), 장군봉(將軍峰), 장고봉(張鼓峰)이다. 봉우리 근처에 위치한 호수인 합상호(哈桑湖)가 바로 하산 호(Lake Khasan)이다.


장고봉 전투 및 중일전쟁 당시의 모습. 25초 부분까지가 장고봉 지역의 모습이다. 공격을 받아 파괴된 마을, 한글 및 한자와 로마자로 적힌 '홍의'라는 마을 안내판, 폐허를 살펴보고 순찰하는 일본군과 포로로 잡힌 소련군 보병이 보인다. 26초부터는 장고봉과는 관련 없는, 중화민국과의 격전이 한창인 남중국의 모습이다. 70기에 달하는 일본 육군 항공대의 폭격을 받아 완파된 핑한 철도[31] 주변의 중국 마을의 처참한 모습이 보여진다.

일명 장고봉 사건(張鼓峰事件). 주로 영어권에서는 '하산 호 전투(Battle of Lake Khasan)', 일본에서는 '장고봉 사건'이라고 부른다.

1938년 7월 29일부터 동년 8월 11일까지 약 2주 간 소련군과 일본군(조선군, 관동군) 사이에 벌어졌던 전투로, 소-일 국경분쟁 중 할힌골 전투 다음으로 컸던 전투였다.

장고봉(張鼓峰, 러시아명 сопка Заозёрная/Zaozyornaya)은 두만강 근처에 있는 해발고도 약 150m의 언덕으로, 그 자체로는 흔해빠진 언덕이어서 별다른 쓸모가 없는 곳이었다. 그런데 그 위치가 지도에 보이다시피 만주, 조선, 소련 사이에 절묘하게 걸친 탓에 소유권을 두고 분쟁이 시작되었다. 분쟁이 있던 장고봉의 정상 부분을 소련, 만주국 양국은 서로 점령하지 않고 그냥 무주공산으로 방치하고 있었다.

당시 이쪽의 국경선에 대해서 소련과 만주국 간 의견이 엇갈렸다. 소련은 베이징 조약에 근거하여 국경선은 장고봉 정상을 통과하고 있다고 주장하는 한편, 일본은 장고봉 정상 일대는 만주국에 속한다고 보고 있었다. 소련은 일본이 국경선을 왜곡하고 있으며 만주국에 설치된 국경 표지판은 조작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허나 어쨌든 해당 구역의 방위를 담당했던 조선군 제19사단은 이곳을 국경 불확정 지대로 보고 무력 충돌을 막기 위해 장고봉 정상에 병력을 배치하지 않았다. 그런데 7월 12일 소련군이 파견되어 장고봉 정상에 진지를 구축하는 것이 발견되었다.[32] 다음날 13일에는 일본군 감시병이 소련군에 의해 사살되었다. 이에 놀란 일본은 대사관을 통해 항의했으나 소련은 시크하게 씹었다. 이로써 건차자도 사건이 끝난 지 거의 1년이 다 되어 가던 때 또 다른 무력 충돌이 예고되었다.

일본은 장고봉에 정찰대를 파견했는데 이들은 소련군에게 사격을 받고 도망치다가 인솔하던 하사가 죽는 등 사상자가 발생했다. 당시 관동군은 중국 전선에서 공세를 준비하느라 비교적 중요도가 떨어지는 장고봉에서의 사태를 악화시키기 싫어서 적극적으로 대응하지 않으려 했지만, 관동군 작전참모들이 '좁은 곳이라 전투가 확대되지도 않을 것이고 소련군이 전차까지 끌고 오지도 않을 듯'이라고 하여 제19사단을 동원해서 소련군을 격퇴하기로 했다. 조선군 사령관 고이소 구니아키는 제19사단의 출동을 명령했다.

7월 29일 확인 결과 소련군은 장고봉 북쪽에 위치한 사초봉(沙草峰, 러시아명 сопка Безымянная/Bezymyannaya)에도 진지 공사를 하고 있었다. 이를 본 제19사단이 공격을 가했지만 이미 대규모로 증강된 소련군을 격퇴하지는 못했는데, 7월 31일 19사단 휘하 제75연대[33]가 야습을 가해 소련군 제40사단을 격퇴하였다. 덕분에 제19사단은 장고봉과 사초봉을 탈환할 수 있었다. 이후 8월까지 소련군이 여러 번 반격을 시도했으나 일본군은 의외로 선전해서 이를 막아냈다.[34]

그런데 그 이후로 일이 꼬이기 시작했다. 8월 1일 소련군 항공대가 나타나 두만강 인근 지역에 폭격을 가한 것이다.[35] 8월 2일에는 당시 극동 군관구 사령관 바실리 블류헤르 원수가 참전했다. 그리고 소련군은 슬금슬금 병력을 증강시켜 나갔다. 반면 일본군은 장고봉 일대의 19사단에 이렇다할 중장비나 추가병력 지원을 하지 않았고 그러다 결국 일이 크게 터졌다.

건차자도 사건 이후 제대로 열받은 소련이 1개 군단과 1개 기계화여단, 연해주 항공대를 동원해서 8월 6일 대반격을 가해왔다.[36] 무장이 상대적으로 빈약했던 19사단은 막대한 피해를 입었고 장고봉에서 간신히 버티고는 있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전멸 위기에 처했다. 그러나 19사단 장병들은 분투하여 장고봉과 사초봉을 빼앗기는 것만은 막을 수 있었고, 소련군 측도 상당한 사상자가 나왔다.[37]

그러나 소련은 피의 대숙청의 여파로 인해 생긴 내부문제 해결을 더 중요시했고, 일본은 소련에 상당한 피해를 입혔으나 과거 러시아 제국과는 달리 만만치 않다는 점과 중일전쟁도 바쁜데 양면전선으로 확대되는 것을 우려하였다. 이에 소련과 일본은 이 이상의 확전을 원하지 않았고, 결국 일본의 시게미츠 마모루 대사와 소련의 막심 리트비노프 외무인민위원 간 회담으로 8월 11일, 모스크바에서 정전 합의가 이루어졌다. 합의 내용은 11일 정오로 전투를 중지하고 소련의 주장대로 국경선을 확정한다는 것이다. 19사단은 두 고지를 점령했지만 이를 소련측에 내줘야 했다. 이에 일본군의 조 이사무(長勇)[38] 대좌와 소련 극동군 참모장인 그리고리 시테른(Григорий Михайлович Штерн) 대장이 회견하여 정전이 발효되었다. 8월 12일 양 군은 문서를 통해 장고봉 이북의 국경선 문제를 매듭지었고 160m 정도의 간격을 유지하기로 합의했다.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군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군
피해 규모
출처, 출처2
사망 및 실종 792명
부상 및 질병 3,279명
전차 96대/화포 30문 손실[39]
사망 525명
부상 913명

표에서 확인되다시피 소련군의 피해가 더 컸으며, 격분한 이오시프 스탈린은 책임을 물어 바실리 블류헤르 원수를 숙청했다. 블류헤르 원수는 모스크바로 압송되어 수감된 후 고문을 당했고, 18일 후 감옥에서 사망했다.[40][41][42]

여기서 일본군은 소련군의 우수한 화력을 체감했으며, 이때 정신을 조금이라도 차렸다면 무언가 달라질 수 있었겠지만 그랬다면 할힌골 전투 항목이 이렇게 길어질 이유가 없었다. 사실 이 시점에 일본 군부가 정신을 차렸으면 이 항목도 없었을 것이다.


4. 제1차 전투[편집]


하산 호 전투 이후 양측 간에는 한동안 군사적 충돌이 없었으나 1939년 5월 11일에 70~90명의 기병으로 이루어진 몽골군 소부대가 만주국군 주둔지를 기습했다. 양측의 전투 일지에 '적의 월경을 격퇴했다'는 정도로만 기술되어 피해도 별로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국경에 구멍이 났다는 이유만으로 관동군은 할하 강을 건너 보복에 나섰다. 사실 1938년에 있었던 하산 호 전투의 복수전을 기도하고 있던 관동군은 '만소국경분쟁처리요강(満ソ国境紛争処理要綱/번역)'이라는 작전 지침을 참모본부의 허가도 없이 만들어 두었던 터라 "야 신난다"하며 전면전에 나선 것이었다.[43] 이에 소련군도 기다렸다는 듯이 전력을 집결시켰다. 이로 인해 벌어진 전투가 제1차 할힌골 전투이다.

일본군은 제23사단 예하 제64연대 제3대대와 아즈마 야오조(東八百蔵) 중좌수색대와 만주국 기병을 포함해 2천 명을 웃도는 병력이었고 소련군은 제11기계화여단 예하 병력 1,500명 정도였지만 장갑차와 야포의 수는 더 많았다. 소련군의 병력을 과소평가한 일본군은 5월 28일 오전에 선공을 걸어 소련군의 방어선을 돌파하는데 성공했으나 재빠르게 우회 포위에 들어간 소련군이 아즈마 지대를 저녁 때까지 섬멸하였다. 이후 소강 상태가 이어지다가 전투 속행이 어렵다고 판단한 관동군의 결정에 의해 6월 1일 일본군은 퇴각했다. 하지만 지상전과는 달리 공중전은 일본군이 우세였다.

이 전투는 이후 7월의 제2차 할힌골 전투로 이어진다.

한편 비슷한 시기(1939년 5월 26일~27일) 아무르 강 상류 편검자도(偏瞼子島) 부근에서 만주국 강방함대 소속 건보트 2척[44]이 소련군에게 공격을 받아 1척이 파손되고 1척이 나포되는 이른바 동안진 사건이 발생했다. 이에 관동군 소속 제4사단이 보복을 계획했으나, 제1차 할힌골 전투에서의 충돌이 격화되면서 반격 준비가 무산되었다고 한다.[45]


5. 제2차 전투[편집]



5.1. 주코프 참전[편집]


제1차 전투의 의미가 향후 이 지역 국경선 확립에 중요하다고 본 뱌체슬라프 몰로토프 외무인민위원의 주장을 받아들인 국방장관 클리멘트 보로실로프 원수는 일본군에게 패하면 시베리아의 방위가 위험하다는 사실을 고려하여 이전부터 능력을 인정받던 당시 벨라루스 관할군 부사령관 게오르기 주코프를 극동 관할군 사령관으로 임명하였고, 1차 전투를 큰 피해 없이 마무리지은 전임자 니콜라이 페클렌코(Николай Владимирович Фекленко) 소장과 교체했다.[46][47]
파일:attachment/902v.jpg
▲ 할힌골에서 소련 극동군 참모장 그리고리 시테른(왼쪽), 몽골 국가주석 허를러깅 처이발상(가운데)[48]과 함께 작전 계획을 짜는 게오르기 주코프(오른쪽)

소련군은 1개 차량화보병사단, 2개 보병사단, 1개 차량화여단, 2개 기갑여단, 2개 기계화여단, 4개 포병연대, 2개 항공여단, 6개 항공연대에 달하는 엄청난 병력을 투입했는데, 이는 주코프가 당초 요청한 전력의 2배가 넘는 것이었다. 일본군 역시 기존의 제23사단 이외에 군 직할 2개 전차연대에다 정예라 불리우는 제7사단 병력(1개 차량화연대, 1개 공병연대, 1개 보병대대, 1개 포병대대)을 추가, 강화된 야스오카 지대를 전선에 투입하는 등 전력을 증강시켰다.

그렇지만 이러한 전력 증강에도 불구하고 관동군은 객관적인 전력 면에서 이미 소련군의 상대가 되지 못했다. 병력, 대포전차, 차량 모두 압도적으로 열세였다. 제23사단 자체가 불과 1년 전에 만들어진 신편 사단이라 병력의 대부분은 신참 징집병이었고, 장비는 다른 보병사단들보다 훨씬 모자랐다. 증강되었다고는 하지만 말뿐이라 차량이 턱없이 부족하여 대부분의 병력이 230km나 되는 거리를 도보 행군하여 전선에 도착할 정도였다. 대포는 76문에 불과한 데다 100mm 이상의 대구경포는 불과 10문도 되지 않았고 대전차포도 충분치 않았다.[49] 게다가 일본군의 주력 전차는 대전차전이 불가능할 정도로 성능이 크게 뒤떨어졌다. 그럼에도 정작 관동군은 소련군의 전력을 1차 전투와 비슷한 수준인 1개 보병사단과 2개 기갑여단이라고 오판했다.

즉, 소련군은 자기들보다 더 약한 적을 얕보지 않고 오히려 약간의 과대평가와 함께 충분한 병력을 전개했는데, 일본군은 자기들보다 더 강한 소련군을 얕보고 보병의 총검돌격이면 소련군의 기갑 부대는 충분히 격퇴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50] 관동군의 이런 근거없는 자신감에 상급 지휘관들조차 "적을 지나치게 얕보는 것이 아닌가..."라고 우려할 정도였다.


5.2. 관동군의 무모한 선공[편집]


파일:attachment/japanese-2.jpg
▲ 할힌골 들판의 일본군 보병. 일본군이 소련제 DT 경기관총을 들고 있다.[51] 아마도 격파된 BT 전차T-26에게서 꺼내 온 것으로 추정.

관동군은 소련군을 섬멸하기 위해 신병으로만 구성된 제23사단을 빼고 정예 부대인 제7사단으로 공세를 펼 계획을 세웠으나, 우에다 겐키치 관동군 총사령관[52]은 "내 부대가 이런 굴욕을 겪었는데 다른 부대를 투입하면 나는 굴욕감에 자결하겠다."고 흥분하면서 1차 충돌의 주역인 제23사단에게 그대로 '설욕전'을 벌이라고 명령했다.

일본 본토의 육군성은 공세에 회의적이었으나 관동군은 상부의 지시를 기다리지 않고 전투를 강행하였다. 관동군이 자신감을 가진 이유 중 하나는 소련군의 전력 집결이 일본군보다 늦을 것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본군 전선과 철도 간 거리는 230km였으나 소련군 전선과 철도 사이 거리는 750km에 달했던 것이다. 또한 제1차 전투 이후 간헐적으로 벌어지던 항공전이 일본군의 우세로 흘러가면서 제공권은 자기네가 장악했다는 확신이 이 근거없는 자신감을 부추겨, 당시 관동군 참모부는 더 이상의 전력 증강은 "닭 잡는 데 소 잡는 칼을 들고 나오는 셈"이라고 하며[53] 처음에는 제7사단 증파를 반려할 정도였다.

일본군 제23사단은 소련군을 선빵으로 박살내겠다며 7월 할하 강을 도하하여 소련군에 기습을 가했으나, 화력덕후 소련군의 포병은 관동군의 예상을 능가하는 화력을 퍼부었고 도하한 부대는 큰 손실을 입은채 후퇴할 수밖에 없었다. 이렇게 되자 관동군은 "포는 포로 잡아야지."라고 하면서 포병을 전개해 소련군 포병을 제압하려고 했다. 그러나 일본군 포병은 포의 숫자뿐만 아니라 포 자체도 성능이 시원찮았다. 소련군 포병은 기습을 받았지만 역습을 가해서 일본군을 역관광시켰고, 일본군 포병은 거의 전멸할 지경이었다. 당시 일본군 포병이 포를 쏘면 소련군은 그 몇 배의 포탄을 퍼부었고, 전투가 지속되면서 일본군은 그렇지 않아도 수리 부품이 부족한 가운데 야포를 혹사하여 과열로 닫히지 않는 주퇴기를 수동으로 동작시키거나 심지어 포가 붕괴되는 사태가 일어났다. 이런 판에 포탄이 날아가는 탄도도 개판이라 걸핏하면 아군 진지를 때리는 팀킬까지 발생했다. 그래서 일본군 보병은 자기네 포병에게 제발 포 좀 쏘지 마라고 하는 지경이었다.
파일:attachment/ki-26-513.jpg
▲ 할힌골 전투에 참전한 일본 육군 항공대 조종사들. 나카지마 Ki-27이 주력이었다.

그러자 관동군은 '현대식 전력'인 공군과 기갑 부대로 소련군을 제압하겠다며 전투기 부대를 치치하얼[54]에서 발진시켜 몽골에 있는 탐사크불락의 소련 공군 기지를 급습하였다.[55] 관동군은 큰 피해를 입혔다고 자축했으나 대본영은 월경 폭격을 엄금하고 있었기 때문에 이는 대본영과 관동군의 관계를 악화시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관동군은 대본영의 훈령은 아랑곳하지 않고 제멋대로 작전을 속행하였다.
파일:attachment/japanese-161.jpg
▲ 작전 회의를 하는 일본군 전차 승무원들. 옆에 있는 전차는 치로.
파일:attachment/type95-tank-mid.jpg
▲ 노획한 95식 전차 하고를 검사하는 소련군 전차병들.

한편 일본군 기갑 부대는 87대의 전차와 장갑차(89식 중(中)전차, 치하하고, 그 외 94식97식 경장갑차들)로 이루어져 있었는데,[56] 그 중 제4연대(경전차로 구성되었다)가 7월 2일 밤에 소련군을 기습하였다. 이 기습은 성공했지만 전세엔 별 영향을 끼치지 못했다.[57] 한편 중전차로 구성된 제3연대는 7월 3일 소련군 진지를 공격했으나 13대의 중전차와 5대의 장갑차가 파괴되는 손실만 입었다. 거기서 97식 전차에 타고 있던 연대장이 전사하는 등 큰 피해를 입었다.

게다가 7월 4-5일 소련군이 반격을 시작하여 차량 손실이 늘어나자 7월 6일 일본군은 후퇴하였다. 결국 관동군 사령부는 기갑 부대에 철수 명령을 내렸다. 이 때문에 일본군 보병 부대는 전혀 기갑 부대의 엄호를 받지 못하는 상황에서 소련군 기갑 부대를 상대로 급조한 화염병이나 대전차총검술에 의존할 수 밖에 없었다.
파일:attachment/BA_6_03.jpg
▲ 할힌골에서 맹활약한 BA-6 장갑차. 장갑차지만 탑재한 45mm 포는 대전차포였으므로 89식의 57mm 곡사포와 달리 대전차전이 가능했다.
파일:external/www.armchairgeneral.com/BA_6_09.jpg
▲ 노획한 BA-6 장갑차와 ZiS-5 트럭을 포병용 92식 5톤 트랙터로 견인하는 일본군
파일:external/www.sinaimg.cn/40602_1078174_850898.jpg
▲ 노획한 치하 전차와 각종 곡사포, 야포 등을 살펴보는 소련 시민들[58]

할하 강 서안은 동안보다 해발고도가 높았기 때문에 소련군은 일본군의 움직임을 모두 파악할 수 있었고, 종종 포격을 가하여 일본군을 혼비백산케 했다. 그래서 일본군은 전투가 소강 상태였던 7월에도 매일 1-2%의 병력 손실을 보고 있었다.

이 시기 소련군 전체로 보았을 때 대규모 숙청으로 인해 많은 장교들이 숙청당했고 그 와중에 유능한 장교들도 무더기로 쓸려나갔기 때문에, 핀란드와의 겨울전쟁에서 보이듯이 객관적인 전력에 비해 형편없는 전투력을 보인 경우도 종종 있었다. 할힌골에서도 소련군의 지휘부가 무능했다면 결과가 달라졌을 가능성도 있었을 것이나, 하필 이 전투의 소련군 지휘관은 소련 역사상 최고의 명장 게오르기 주코프였다.

다만 주코프 자신도 이 전투는 처음으로 실전에서 지휘를 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전투 지휘가 빈말로라도 세련됐다고는 할 수 없었다. 여기에 모스크바의 정치적 압박이 심했고, 병력 또한 대륙을 가로지르는 장시간의 이동으로 피로가 누적된 데다 겨우 역 하나에서 모든 수송을 부담하다보니 보급 적체와 혼란도 극심했다. 하지만 주코프는 기동전의 개념을 선구자적으로 탑재한 인류 역사에 손꼽히는 명장이었고, 여러 혼란에도 불구하고 소련군은 일본군을 압도하는 전력을 준비할 수 있었다.


5.3. 소련군의 8월 공세[편집]


소련군은 일본군의 공세를 분쇄하면서, 한편으로는 반격을 위해 계속 유럽 방면에서 오는 증원을 차곡차곡 모으고 있었다. 이것은 주코프의 장기로서, 모스크바 전투스탈린그라드 전투, 쿠르스크 전투에서도 나타났듯 처음에 수비로 적의 공세가 소진되기를 기다렸다가 적이 기진맥진했을 때 파멸적 타격을 가하는 것이었다.

준비가 끝난 8월 20일, 마침내 소련군은 대대적인 공세에 나섰다. 이 때 소련군은 대규모 지원 포격과 함께 기갑여단 3부대와 기계화여단 2부대가 할하 강을 건너 일본군에 대한 양익 포위에 성공했고, 그 결과 선두에 있던 일본군 제23사단을 비롯한 제6군 전체가 포위망에 걸렸다. 이 중에서 제23사단은 끝내 포위망을 벗어나지 못하고 전멸했다.[59] 결국 일본군은 막대한 피해를 입고 물러났다.
파일:attachment/Khalkhin_Gol_Captured_Japanese_soldiers_1939.jpg
▲ 소련군에 포로로 잡힌 일본군 병사들

하지만 소련군은 원래의 국경이던 할힌골에서 진격을 멈추었고, 전투는 이것으로 끝났다. 관동군은 더 이상 전투를 지속할 여력이 없었고, 소련도 다가오는 동유럽에서의 전쟁을 준비해야 했다. 할힌골 전투가 끝난 다음날인 9월 1일은 바로 독일이 폴란드를 침공하여 제2차 세계 대전이 시작된 날이었고, 9월 17일에는 소련 역시 폴란드를 공격했다. 이런 이유로 인해 소련 역시 전투를 계속할 의사가 없었다. 원래 소련은 이 지역에서 영토(그것도 소련이 아닌 몽골의 영토)를 확대할 의도까지는 없었으므로 일본군을 격파한 시점에서 전투의 목적은 충분히 달성한 셈이었다. 그 결과 사소한 국경 문제에서 관동군과 소련군 사이의 대규모 결전으로 비화된 이 전투는 다시 사소한 국경 문제로 끝났다.
파일:attachment/seihoryo2.jpg
▲ 1939년 10월 강화 후 포로 교환을 마치고 기념 사진을 촬영한 소련군-일본군 장교들

그런데 관동군은 소련군이 진격을 멈춘 후에도 정신을 못 차리고 패배를 설욕하겠다며 분쟁 지역에 계속 병력을 집결시키고 있었다. 이때 증원으로 온 제7사단뿐만 아니라 제2, 4사단까지 파견하고 중앙에는 '전사자 수용을 위한 한정 작전'이라고 거짓 보고를 했다. 일본군 대본영은 깜짝 놀라서 나카지마 테츠조 참모차장을 파견하였으나 참모차장도 관동군에 설득되어 이를 추진한다. 대본영은 다시 연락장교를 보내서 거듭 중지를 명령했고, 그제서야 관동군은 공세를 포기하였다. 이후 우에다 겐키치 관동군 총사령관과 이소가이 렌스케 참모장, 핫토리 타쿠시로 작전참모, 그리고 고마츠바라 제23사단장뿐만 아니라 공세를 중지시키려다가 오히려 설득된 나카지마 참모차장도 예비역으로 예편당했다.


6. 공중전에 관한 잡설[편집]


파일:Ki-27_Thumbnail.jpg
▲ 당시 일본 육군항공대의 주력기인 Ki-27. 랜딩 기어가 고정식이다.

할힌골 전투 당시 일본의 전투기들이 공중전에서 소련 공군을 상대로 대등한 전과를 올리고, 우세했다는 주장도 있었다. 물론 양측 모두 자신들이 우세했다고 주장했지만, 일본측은 10:1에 가까운 우세한 격추비를 보였다고 발표했고, 이를 그대로 믿지는 않더라도 대체로 일본측이 우세했다는 주장을 받아들여 이를 근거로 일본의 전투기 수준이 세계적인 수준에 올랐다고 주장하는 경우가 종종 보인다.

파일:I-153_Chaika.jpg
▲ 할힌골 전투 중반에 투입된 소련 공군 소속의 I-153. I-15도 동체 모양이 거의 같다. I-15 문서에서 볼 수 있듯이 I-153은 I-15를 궁극으로 개량한 현대화형이다.

개전 당시 소련 전투기 전력은 전부 제70전투기연대 소속으로 구식 I-15bis가 14량, I-16이 24량이었고, 개전 직후 제22전투기연대가 배치되어 I-15bis 35량, I-16 28량이 추가로 투입되었으나, 손실이 너무나 지대했던 데다가 지상전이 소강 상태에 빠지자 소련군은 제공권을 그냥 일본군에게 내줘버리고 전력 확충에 전념하기로 결정하면서 6월 내내 와신상담하였고 특히 구식 I-15bis의 비중을 줄이면서 I-16의 수를 크게 늘렸다.[60]

I-16은 당시에도 최신형이라고 말하기 어려운 기종이었지만, 독소전쟁 초반에 각인된 것처럼 아주 나쁜 전투기는 아니었다. 이는 전투기 성능보다는 2년 간 실전 경험을 쌓은 루프트바페가 독소전 발발 당시의 소련 공군을 압도하는 숙련도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61] I-16은 세계 최초로 인입식 랜딩 기어를 장착한 기종이기도 하며, 스페인 내전에 투입된 결과 프란시스코 프랑코 군대 측의 CR. 32과 He-51이 상당히 고생하기도 했다.

한편 할힌골 전투 당시 일본군의 전투기는 Ki-27인데 이것은 단엽기이기는 했지만 I-16에 기술적으로 뒤진 기종이었다.[62]

파일:attachment/Khalkhin_Gol_Soviet_i_16_1939.jpg
▲ 할힌골에 출동한 I-16.

여기에 대해서 체계적으로 연구한 책 Airwar over Khalkhin Gol(2010, Vladimir Kotelinikov 저)에 의하면 할힌골 전투 초기에 몽골-시베리아에 배치된 소련 공군의 훈련도가 불충분했고 전투기들도 모두 구식(I-15, I-16, 그리고 7월부터 I-153)이었기 때문에 중일전쟁에서 많은 실전 경험을 쌓은 일본군 조종사에 밀렸으나, 소련군은 이후 신형 모델 I-16과 베테랑 파일럿을 계속 이곳에 투입해서 균형을 유지했고, 후기에 이르러서는 소련 공군이 일본 육군 항공대를 압도했다고 밝히고 있다. 그러므로 초반 전과만 가지고 일본 육군 항공대가 소련 공군을 압도했다고 알려진 것은 사실이 아니다.

다만 이 성공은 소련 공군이 제56전투기연대 등 다른 전투기 전력을 연달아 배치하면서 수적으로 압도, 소모전으로 이끌어낸 덕분에 가능했던 것이고, 당시 I-15, I-16 등 소련군 주력 전투기들을 설계하면서 전투기의 왕이라고 선전되었던 폴리카르포프는 할힌골 전투에서의 막대한 피해 이후 실각했다.[63]

한편 일본 육군 항공대는 할힌골 전투 당시 23개 중대로 편제되어 있었는데 그 중 85%인 20개 중대를 투입했고 그 중 절반 가까운 손실을 입었다. 특히 후반부에 피해가 집중되었는데 초반에 일본군을 경시하던 소련이 후반기에 유럽 방면의 일류 조종사들을 데려온 것이 주요 원인이었다. 덕택에 일본 육군 항공대는 항공기보다는 조종사들을 보호해야 한다는 제대로 된 교훈을 얻었고 그 덕에 조종사 보호 장치가 육군기에는 설치되기 시작했다. 이것을 강력히 주장한 사람이 바로 도조 히데키. 도조 때문에 많은 수의 육군 장병이 희생된 것을 감안하면 참으로 아이러니하다.[64]


7. 결과와 영향[편집]


일본 제국소련군도 과거 러시아 제국군처럼 오합지졸일 것이라고 오판하고 있었고, 무엇보다 러일전쟁의 승전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된 정산을 못 받았다고 여기고 있었다. 그래서 러시아 내전 시기 시베리아를 침공하는 등 수시로 소련의 영토에 대한 야욕을 내비쳤는데 이 전투에서 대판 깨지자 러일전쟁을 정산할 생각은 두 번 다시 못하게 되었다. 그 결과 일본은 소일불가침조약을 맺고 소련과의 전면전을 포기하였고 그 덕에 소련은 가장 긴박했던 시기 극동 정예군 일부를 대독 전선에 투입할 수 있게 되었다.

일본군의 경우 전투의 교훈으로 당연히 서둘렀어야 했던 전차 및 포병 화력의 확충과 할 전차의 성능 개선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당시 일본의 국방예산이 해군 및 항공 쪽에 좀 더 집중되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그래도 만만치 않은 예산을 받은 육군 내에서도 그다지 높은 우선순위를 부여받지 못했다.

또한 소련군의 기갑 부대에 의해 방어선이 돌파당하고 포위당했음에도 불구하고, 전술 면에서 전차의 집단 운용에 의한 기동전을 고려하거나 그러한 전차 중심의 기동전에 대비한 흔적도 보이지 않는다. 일본군은 교훈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기보다는 이 전투를 잊어버리기에 급급했다. 장병들의 휴가와 서신 교환이 엄격히 제한되었으며, 본토로 귀환한 장병들에게는 육군 헌병대의 감시가 붙었다.

전투에서 이탈한 장병들은 만주 들판의 마적이 되었다. 할힌골의 대패는 관동군과 군부의 언론플레이로 소련군의 침공 야욕을 격퇴한 분전으로 윤색되어 선전되었다. 참고로 현재도 일본 넷우익들은 당시의 선전을 그대로 인용, 소련군 병력이 일본군의 10배나 되었으며 그럼에도 동등한 피해를 입혔으므로 이긴 셈이라는 정신승리를 시전, 양심있는 우익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하고 있다. 그래놓고 사건이라고 축소하며 이겼다고 우기는 것은 모순일 따름이다.

이때 이후로 발전이 없다시피 한 일본 전차 부대는 태평양 전쟁에서 굴욕을 겪는다. 일본 외무상이던 도고 시게노리[65]는 할힌골 전투를 비난하며 철군을 요청한 바 있는데, 나중에 미군 전차에 뭉개진 것을 듣고 그 때와 달라진 게 없다면서 한탄했다고 한다. 그리고 2차 대전 당시 전차병으로 참전한 시바 료타로도 전후에서야 할힌골에서 일본군이 소련군에게 대패한 걸 알자 자신이 전차병으로 목격한 일이나 할힌골에서나 전혀 다를 게 없었다고 한탄했다.[66]

할힌골 전투 당시의 일본 전차들은 당대의 여러 전차들과 스펙을 비교해 보아도, 정말 최약체 수준이었다. 89식 중전차는 고작 보병지원용 유탄이 주화력이었고, 100m, 1,000m 거리에서 장갑 관통력이 모두 0이었다. 명색이 중전차라는 놈이 이 꼬라지였다. 제대로 된 주포로 무장한 95식 경전차의 경우 사정이 나은 편이긴 했으나 [67] 어디까지나 89식에 비해서 나은 것이지, 소련군의 전차들보다 월등했던 것은 결코 아니고 그저 최소한 전차 구실은 했다는 수준으로 볼 수 있다.[68][69] 그러나 이 정도 수준의 전차들을 가지고서도 단 한 번도 제대로 된 개량을 시도하거나 흐름에 맞춘 제대로 된 중전차를 개발하지 않고 외면하기 급급했으며, 뒤떨어지는 기술력과 경제력으로 인해 멸망할 때까지 미군 기갑부대와 격차를 좁히지 못했다.

독일의 항복 이후에도 계속 잔존해 있던 관동군은 정예사단들이 거의 다 차출되어 빠지면서 계속 약화되었다. 그러다가 알렉산드르 바실렙스키만주 작전으로 1945년 8월 만주국이 멸망하고 관동군 역시 소멸했다.


7.1. 연구위원회의 패배 원인 보고서[편집]


의외로(?) 할힌골 전투의 패배가 꽤나 충격적이었던지라 대본영은 1940년 1월부터 할힌골 전투의 패배 원인을 분석하는 연구위원회, 즉 "노몬한 사건 연구위원회(ノモンハン事件 研究委員会)"를 조직해 패배 원인을 심층 분석했다. 3개월 간 조사를 진행하면서 전투 당시의 상황이 얼마나 처참했는가를 새삼 실감했는지, 위원장을 맡았던 코이케 류지(小池龍二, 1898~1993) 대좌는 후일 회고에서 그런 장비로 적에게 맞서라는 명령을 따르는 병사들을 생각하니 눈물이 났다고 했을 정도.

그리고 이 연구위원회는 지극히 상식적인 보고서를 내놓았다.

육탄돌격보다는 화력을 중시하라.

정신력만으로는 이길 수 없다.

참모는 독선적인 자만을 버려라.

이 보고서가 나온 시점은 태평양 전쟁이 일어나기 전이었다. 그러나 대본영의 이 보고서에 대한 반응은 "알겠다."가 전부였다. 사실 처음에는 전훈을 두고 반성은 했지만, 전훈의 결론이 돈을 더 써야한다는, 극복 불가능한 현실이라는 것을 깨닫고 다시 "실천가능한" 정신력 강화로 돌아가버린 것이다.

오히려 연구위원회가 조직된 시기에 나치 독일독일 국방군이 유럽 전선에서 성공적인 결과를 거두면서 대본영은 독일군의 승전에 매료되어 할힌골 전투의 패배 분석, 전훈 도출에 힘쓰기보다는 독일군의 전술을 따르고자 하는 태도를 보였다고 한다.[70] 연구위원회가 조직, 활동하던 1940년 1월~4월은 전년 9월의 폴란드 침공이 성공적으로 끝나고 독일군이 베저위붕 작전, 프랑스 침공을 준비하던 시기였다.[71] 거기다가 육해군 합동조직인 대본영의 연구위원회가 작성한 보고서는 고질적인 일본군의 육해군 대립으로 인해 육군 이외의 부서에도 의미있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해군의 입장에서도 할힌골 전투의 패배는 무언가 교훈을 얻어야 할 일본군의 패전이 아닌, 비웃음거리 정도밖에 안되는 육군의 삽질에 불과했다.

결국 일본은 이 보고서를 무시했으며, 연구위원회를 이끌었던 코이케 류지는 보직이 변경되어 한직으로 밀려났다.[72]

이런 태도는 후일 미국에 혼신의 일격을 먹여 전쟁 의지를 잃게 하여 유리한 조건으로 평화 협상을 진행하면 된다는 안이하기 짝이 없는 생각으로 번졌다. 뒷일은 생각조차 안 하고 혼신의 일격을 위해 선전포고 같은 정식 절차도 모조리 무시하며 하와이에 기습 공격을 가해 전쟁을 시작했지만 이 혼을 담은 공격은 미국의 전쟁의지를 끊기는커녕 미국인들이 보복과 반격의 의지로 불타게 만들었다. 결국 예상이 빗나가 전쟁이 장기화됐지만 할힌골에서의 전훈도 깨닫지 못한 채 무턱대고 전선을 넓히다가 사방천지에서 미국에게 작살이 났고 결국 협상은커녕 타협도 못 해보고 그간 이루어낸 모든 것들을 날려먹고서도 최후까지 정신승리를 일삼다가[73] 핵탄두가 자국 대도시에 작렬하자 무조건 항복을 외치며 제국은 최후를 맞이했다.

이렇듯 일본군은 이 전투의 패배에서 얻은 전훈을 받아들이는데 소극적이었다.


8. 기타[편집]


  • 할힌골 전투에 관해 다룬 서적 중 잘 알려진 것으론 앨빈 쿡스(Alvin Coox)의 Nomonhan: Japan Against Russia, 1939,[74] 스튜어트 D. 골드먼(Stuart D. Goldman)의 Nomonhan, 1939: The Red Army's Victory That Shaped World War II가 있다. 해당 서적은 일본의 의도적인 은폐로 존재 자체가 잘 알려지지 않은 할힌골 전투가 세계사에서 지니는 의미를 높게 평가하는데, 전자는 "세계사의 전환점"이라 서술했으며,[한석정,2009,3] 후자는 아예 제목부터가 "2차 대전을 결정한 붉은 군대의 승리(The Red Army's Victory That Shaped World War II)"다. 할힌골 전투로 인해 소련은 극동에서 날뛰던 관동군의 기세를 꺾을 수 있었고 나치 독일과 함께 폴란드를 침공해 제2차 세계 대전을 개전할 수 있었다고 서술한다. 만약 이때 소련이 관동군을 이기지 못했다면 나치 독일의 소련 침공 시 일본이 호응해 소련은 양면전쟁 상태에 놓이고 결국 패전해 냉전 체제가 성립할 수 없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 일본 작가 무라카미 하루키몽골 여행[75] 중 할힌골 전투 승전비를 보고 일본에서는 애써 별 것도 아닌 사건[76]으로 축소하고 외면하지만, 세계적으로는 규모가 큰 전투로 알아준다면서 비아냥거린 적이 있다. 그래서인지 나중에 쓴 소설 '태엽 감는 새'에서 이것을 과거 이야기로 다루었는데 할힌골 전투를 사건으로 격하하는 것을 두고 패배를 감추는 미련한 짓이라는 반응을 보였다. 그러자 몇몇 극우들이 불쾌하게 여겼는지 심지어 살해 협박 전화까지 걸었다. 이에 대하여 무라카미 하루키는 끝까지 미련하다면서 더 극우들을 씹었다.
  • 앞서 언급했듯이 당시 일본군 주력 전차이던 치로는 대전차전을 수행할 수 있는 전차가 아니었다.[77] 이 전차의 주포인 57mm 곡사포는 대전차포가 아니기 때문이다. 일단 관통력 자체는 보병포답게 극악이었으나, 종이 장갑으로 악명높은 BT 전차T-26을 표준 교전 거리보다 약간 안쪽인 500m 내외에서 격파하는 데 딱히 문제는 없는 수준이었다. 문제는 표준 교전 거리에서 제대로 맞히는 것이 거의 불가능할 정도로 탄의 산포도가 넓은 단포신포였다는 점이었다. 그래서 89식 중전차는 소련군의 BT 전차를 상대하기가 매우 어려웠다. 이에 비해 처음부터 대전차전을 염두에 둔 탓에 37mm 대전차포를 주포로 탑재한 95식 경전차 하고는 비교적 수월하게 BT 전차를 상대할 수 있었다.[78] 물론 일본군의 37mm 대전차포는 동급 대전차포 중 최악의 대전차 능력을 자랑해서 BT 전차의 45mm 주포보다 사정거리가 짧고 위력도 심하게 부족하긴 했지만, BT 전차도 종이 장갑이고 철판의 재질도 안 좋아서 95식 경전차의 포탄을 방어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사실 이 당시만 해도 일본군 전차인 89식이나 97식이 BT 전차보다 방어력이 좋았고 방어력이 매우 낮은 95식 경전차조차 BT 전차와 대등한 방어력을 가지고 있었을 정도였다. 거기다 당시 소련군 전차병의 숙련도보다 일본군 전차병의 숙련도가 더 높았던 점도 호재로 작용해 95식 경전차는 의외의 성과를 올렸다. 물론 95식 경전차도 제대로 된 전과를 올리려면 500m 이내로 급속 접근해야 가능하기 때문에 형세를 뒤집을 결과가 아니라 일방적으로 관광당하지는 않았다. 그런데 관동군은 전차 손실을 보충해 계속 싸워 보자는 생각은 안하고 전차 부대를 그냥 전선에서 빼 버렸고, 결국 제대로 된 대전차포도 없는 일본군 보병들은 소련군에게 갈려 할힌골의 거름이 되어버렸다.
  • 전차들이 철수하자 대전차포가 부족했던 일본군은 몰려오는 소련군 전차를 알보병으로 막을 수밖에 없었다. 소련군 전차들의 피해는 일본군 참호들을 돌파하면서 늘어났는데, 참호에 사각지대가 많다보니 그것을 노린 일본군의 대전차포나 화염병 투척에 적지 않은 피해를 입었다. 게다가 소련군 전차 부대가 보병들과 원활히 협동하지 못했기 때문에 전차들의 피해가 많이 늘어났다. 하지만 이러한 것만으로는 전차 부대의 진격을 멈출 수 없었다.
  • 소련군의 인명피해도 적지 않았다. 원래부터 소련군은 제정 러시아군 시절부터 인명피해를 경시하는 경향이 있었던데다가 당시 소련군도 전차를 대규모로 투입한 전술을 실전에서 시행해본 경험이 많지 않았기에 작전 과정에서 많은 시행착오가 있었다. 여기에 바르바로사 작전 항목에도 기술되었지만, 전차부대가 스페인 내전 이후 계속 해체와 재편성을 거듭했기 때문에 많은 전차 부대들이 보병 원호의 교리를 가지고 있다가 대규모 전차 작전에 긴급 투입되어서 운용도 세련되지 못했다. 하지만 유럽 방면에 있던 전력을 유라시아 대륙 반대편인 몽골까지 급속하게 이동하여 적의 공격을 사전 격멸한다는 소기의 목적은 달성하여 관동군의 코를 납작하게 만들었다. 한편 일본 극우들은 사상자 수 차이 및 어정쩡하게 맺어진 종전조약과 후에 체결된 중립조약을 근거로 '대등하게 싸운 것'이라는 주장을 하지만, 그런 식이면 스탈린그라드 전투는 독일군의 승리가 되며 제1차 세계 대전이나 러일전쟁도 무승부다.[79]
  • 소련군 최고 지휘관들은 전투 후 공로로 각종 포상을 받았지만, 고급지휘관 몇몇은 후에 베리야가 지휘하던 NKVD의 의심을 사서 체포 후 처형되었다. 극동군 참모장으로 승리에 큰 공을 세운 그리고리 시테른은 전투 종료 후 주코프와 함께 소비에트 연방 영웅 칭호를 수여받고 겨울전쟁 때는 제8야전군사령관을, 그 이후에는 주코프의 후임으로 극동군사령관을 역임했지만, 독소전쟁 개전직전 1941년 6월 레프 트로츠키 추종자이자 나치 독일의 스파이라는 날조 혐의로 체포되어 재판도 없이 총살당했다. 이는 시테른이 트로츠키와 똑같은 독일계 유대인이기 때문이었다. 스페인 내전에 의용군으로 파견되어 소비에트 연방 영웅 칭호를 받은 바 있는 공군 베테랑 장교였던 야코프 스무시케비치(Яков Владимирович Смушкевич / Jakovas Smuškevičius, 리투아니아어 표기)도 이 전투에서 소련 공군을 지휘해 주코프의 조공을 맡은 공로로 두 번째 소련영웅 칭호를 받고 소련 공군 총사령관과 소련군 총참모부 부참모장을 역임했지만, 역시 1941년 6월에 날조 혐의로 체포된 뒤 총살형에 처해졌다. 라브렌티 베리야는 주코프도 똑같이 없애려고 했지만, 주코프는 시테른이나 스무시케비치처럼 당시 스탈린이 경원시했던 유대인이 아니었고 이 전투 이전부터 군부에서 상당히 높은 평가를 받던 인물이라 결국 숙청 대상자 목록에서 제외했다.
  • 일본군 제23사단이 큰 피해를 입은 원인 중에는 일본군 특유의 문화도 있었다. 일본군에서는 후퇴하자는 말을 하는 것이 치욕으로 받아들여졌기 때문에, 소련군의 포위망이 조여오는 와중에도 제23사단의 장교들은 후퇴하자는 말을 못하고 다른 사람이 먼저 말해주기를 바라면서 서로 눈치만 보고 있었다. 그리고 이런 책임 떠넘기기 행태는 과달카날 전투임팔 작전을 비롯한 전쟁 과정은 물론 포츠담선언에 이르는 종전 과정에 이르기까지 태평양 전쟁 내내 반복되었다.
사실 당시 일본이 수십 년간 쌓아올린 군사전통은 '용감하게 돌격하면 이김' '겁먹고 물러나면 짐' 의 반복이기도 했다. 유럽은 1차대전기의 참호전을 겪으며 '수백만이 돌격하면 수백만이 그대로 시체가 될 뿐'이라는 경험을 했지만, 일본은 '수백 명 죽고 나서 이김'이라는 경험을 했다. 뤼순 요새에서는 몇 개 사단이 갈려나갔지만, 수십 년 동안 고작 뤼순 1번에 불과했고, 나머지는 그럭저럭 제식 소총 든 보병이 포병지원 받으며 돌격하면 이기다보니... 결국 3류 적군만 때려잡던 2류 군대는 (다른 요소는 다 우위니) 정신력만 잡고 돌격하면 이겼지만, 1류 군대(특히 미군) 상대로는 돌격하는 족족 갈려나가게 되었다.
  • 스탈린은 승리 후 주코프를 불러들여 일본군이 어떠한가에 대해 물었고 주코프는 "사병과 부사관들은 용감하고, 초급 장교들은 완강하지만, 고급 장교들은 무능하다."고 평가했다. 마치 에르빈 롬멜이탈리아 왕국군을 "이탈리아 병사는 훌륭하지만 장교는 형편없고 장군은 쓰레기다."라고 평가한 것과 매우 비슷하다. 그런데 츠지 마사노부"소관의 작전 계획은 완벽했으나 일선 지휘관들의 졸렬한 지휘와 감투 정신의 부재로 패전."이라고 대본영에 보고했다. 결국 아랫선들이 줄줄이 할복하거나 도망쳐서 마적이 되어버렸다. 심지어 일부 일본군 포로들은 이것 때문에 송환을 거부하는 경우도 있었다.
  • 지치부노미야 야스히토 대좌[80]가 이 전투에 있었는데 고마츠바라 미치타로와 츠지 마사노부의 대화가 가관이다.
야스히토 대좌: 이 전투 말일세. 경들은 이길 수 있다고 보는가?
미치타로 중장: 물론입니다. 전하. 우리 황군이 전쟁에서 진 경우를 봤습니까?
마사노부 중좌: 전하. 원래 전쟁은 졌다고 생각했을 때 지는 것이옵니다.[81]

그 말을 들은 야스히토가 기가 막힌 듯 쳐다보고는 한마디 했다.

야스히토 대좌: 그런가? 그러면 한 가지만 묻겠네. 만약 경들 빼고 장교와 부사관과 병들 포함해서 전원 전사했어도 그런 생각을 할 수 있겠나? 마사노부 중좌가 한 말 그대로 전쟁은 졌다고 생각했을 때 진 것이니 두 사람만 남아도 이긴 것인가? 적군은 별 피해를 입지 않은 상태에서 말이네.

그 말을 들은 츠지 중좌와 미치타로 중장은 꿀 먹은 벙어리가 되었다.[82]
실전 경험이 풍부했던 장군과 육군대학교 실질적 수석[83]이었던 장교가 명목상 수석[84]이었던 일개 황족보다 생각이 짧았다.
  • 일본군 제23사단의 피해는 막심하여 참모장 이하 연대장급 지휘관 대부분이 전사하였고 생존한 고급 지휘관과 참모들도 포로가 되기를 거부하고 자살하였다. 제23사단장 고마츠바라는 예편된 지 얼마 안 되어 위암 말기 진단을 받아 병원에서 치료를 받다 사망했다. 적지 않은 문헌에서 고마츠바라가 자살하였다고 서술하고 있으나 사실이 아니다.
  • 전멸을 당한 제23사단을 제외하고 인접 부대와 상급 부대의 지휘관이나 참모 중에서 제대로 책임을 진 자들은 얼마 없었다. 대부분 책임 추궁을 당하기는커녕 2차 대전에 멀쩡하게 참전하였다. 모든 책임은 제23사단이 뒤집어 쓴 셈이다.
  • 당시 일본은 중일전쟁으로 병력과 물자의 보급이 중국 전선에 집중되어 있었다. 공식적으로 최고 정예인 관동군조차 정예부대는 중일전쟁에 투입되고 전차나 항공기를 포함한 군수 물자 또한 상당량이 중국 전선에 투입 중이었다. 한마디로 양면전쟁이었다. 반면 소련은 당시 일본 상대로만 전투 중이었다.
  • 러시아 군가 중 세 전차병은 할힌골 전투에 참가한 BT 전차와 전차 승무원들에 대한 노래다.


9. 매체에서[편집]


파일:external/img.xooimage.com/combats-3654b75.jpg
  • 장동건 주연의 마이웨이의 초반은 이 전투를 배경으로 하고 있으며, 전차에 대응하기 위해 반자이 어택대전차 총검술도 쓴다. 그런데 조선인 포로가 제23사단 소속으로서 소련군에게 잡힐 가능성은 거의 없다. 동향인들로 사단 병원을 충원하는 일본 육군 관례에 따라 제23사단은 시마네 현 출신들로 구성되었으며 따라서 조선인이 여기에 포함될 가능성은 매우 적다. 물론 이 항목을 보면 알 수 있지만 할힌골에서도 조선인 출신 일본군 포로가 있었다는 기록이 있으므로 다른 소속이었다가 잡혔을 수도 있다.
  • 마이웨이의 할힌골 전투 장면은, 망작으로 평가받는 이 영화 내에서 그나마 볼 만한 부분으로 평가받고 있지만, 전투 자체는 실제 역사적 고증에 충실했다기보다는 그냥 영화적 연출로 보는 게 좋다. 작중 일본군 보병들이 무지막지하게 터져나갔고 실제로는 교환비는 소련군이나 일본군이나 큰 차이가 없고 소련도 어마어마한 피해를 봤으나 영화상으로 보면 교환비가 거의 1:3 수준이다.[85] 광활한 평지인 만큼 야습을 해도 힘든 상황인데 오히려 일본군이 대놓고 밝은 아침에 평지를 건너 기습 공격을 하러 간다거나, 마찬가지로 소련군 전차가 밝은 아침에 대규모로 기동하는데 일본군은 그걸 전혀 모르는 등[86] 실제 역사의 그 막장 일본군과 비교해 봐도 너무 하다 싶을 정도의 비현실적인 요소들이 산재해있다. 그냥 태평양 전쟁에 걸쳐서 발생한 일본군의 그 막장 대전차 공격들을 한 장면으로 볼 수 있다는 것에만 가치가 있다.[87]
  • 게다가 일본-소련은 전투 이후 1939년 10월 포로를 교환했고, 소련이 특별히 포로를 더 잡아둘 이유가 없었다. 소련이 2차 대전독일일본의 포로를 억류한 것은 엄청난 인력 손실 때문에 노동력이 필요했기 때문이며,[88] 대숙청 직후의 1939년처럼 굴라그에도 자국 노동력이 넘쳐나던 때는 굳이 포로를 송환하지 않으면서까지 자국에 억류할 필요가 없었다. 게다가 이런 포로 출신들을 자국병으로 징집한다는 것도 말이 안 된다. 소련군은 패망 직전에도 불온한 민족(체첸이나 소련 내 독일인 자치주 등)들을 반란을 일으킬까 봐 후방으로 강제 송환하고, 강제 이주된 고려인들이 전쟁에 참가하겠다고 해도 거부했는데, 성향이 의심스러운 일본군 포로 출신들을 자국군에 징집해서 전선에 투입하는 것은 더욱 생각하기 어렵다. 다만 확률이 0은 아니라고 추정할 수 있으며 대전차 자폭 트럭 등 영화적 상상력이 아주 많이 들어간 점은 고려해야 한다.
  • 원작 소설에서는 주인공이 잘못 한 가지를 저질렀는데, 군에 인연이 있는 지인이 이 사건을 눈감아 줄 테니 대신 입대하라고 해서 자원 입대한 것으로 나온다. 다만 당시에도 사상범, 불온-불순 분자, 범죄자 및 전과자 등은 황군의 자격이 없다고 하여 입대 대상에서 제외됐다.
  • 유튜버 Radio Tapok쓰시마Чёрный октябрь(검은 10월)에 이어 자작곡을 만들어 업로드했다. 위에 언급된 영화 마이웨이의 장면들을 가져다 썼고, 가사 내용 역시 "붉은 군대가 일본인들에게 사형을 선고했네" 같은 가사가 들어갔다.
  • 야스히코 요시카즈만화 무지갯빛 트로츠키에서 할힌골 전투를 비중있게 다루고 있다. 좀 과장을 섞자면 앞 분량 3/4는 할힌골 전투 이전의 일본군(특히 관동군, 그 중에서도 이시와라 간지츠지 마사노부)의 음모에 대해, 그리고 결말까지 1/4은 할힌골 전투를 그리고 있다. 주인공은 일개 흥안군 소위이기는 하지만 전장 상황에 대해서도 적절히 설명해 주고, 전투의 시작부터 끝까지 모두 다루고 있다. 다만 같은 이유로 소련 쪽 얘기는 거의 나오지 않는 것이 한계였다. 그래도 당시 일본군의 열악한 상황이나 다양한 인간군상을 보기에는 부족함이 없다.
  • 동시대를 다룬 개념 시대극에서는 반드시 언급되는 사건, 인간의 조건의 작가의 전쟁과 인간에서는 상당히 비중 있게 사건이 묘사된다.
  • 2차 대전 미니어쳐 게임 Flames of War에서 추가된 일본군 시나리오가 이 전투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 대체역사 소설 비명을 찾아서에서는 일본 항공대가 러시아 공군을 격파해 승리한다. 그리고 훗날 공군 기념일로 선포된다. 그런데 이 세계관에서 공군성은 해군성의 함재기 중심으로 성립되었다고 나온다.[89]
  • 대전략 게임 하츠 오브 아이언 4에서는 소련과 일본의 국경분쟁 이벤트로 발생한다. 정확히는 하산 호 전투 실제역사도 그렇고 여기서도 대부분 소련이 이긴다.
  • 워 썬더에서는 맵으로 등장한다.


10. 둘러보기[편집]


파일:소련 국장.svg 소련의 대외 전쟁·분쟁

[ 펼치기 · 접기 ]
전쟁
교전국
1924년 에스토니아 쿠데타 시도
,1924,

봉소전쟁
1929

스페인 내전
1936 ~ 1939

에스토니아-소련 국경분쟁
,1938,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공화국

소련-일본 국경분쟁
1938 ~ 1939
하산 호 전투
1938

할힌골 전투
1939

제2차 세계 대전
1939 ~ 1945
폴란드 침공
1939

겨울전쟁
1939 ~ 1940

베사라비아-북부코비나 침공
1940

발트 3국 점령
1940

대조국전쟁
1941 ~ 1945

계속전쟁
1941 ~ 1944

페르시아 침공
1941

소련-일본 전쟁
1945

그리스 내전
1944 ~ 1948

파일:그리스 국기(1822-1978).svg
그리스 왕국

6.25 전쟁
1950 ~ 1953

1953년 동독 봉기
1953

라제즈드노이호 사건
1953

헝가리 혁명
1956

U-2 격추 사건
1960

베트남 전쟁
1960 ~ 1975

소모전
,1967 ~ 1970,

프라하의 봄
1968

소련-중국 국경분쟁
1969

앙골라 내전
1975 ~ 1991

파일:앙골라 민족해방전선 당기.svg
FNLA

오가덴 전쟁
1977 ~ 1978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1979 ~ 1989

나고르노 카라바흐 전쟁
1988 ~ 1994

리투아니아 독립 무력 진압 시도
1991

← 러시아 제국의 대외전쟁
→ 러시아의 대외전쟁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5 21:18:45에 나무위키 할힌골 전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리투아니아인이었다. 리투아니아식 이름은 야코바스 스무슈케비추스(Jakovas Smuškevičius).[2] 6월 7일부터 주코프에게 지휘권을 이양했다.[3] 백계 러시아인이자 부랴트인이었다. 러시아식 이름은 우르진 가르마예비치 가르마예프(Уржин Гарма́евич Гармаев).[4] 제1전차단 휘하 2개 전차연대 소속 탱켓형 장갑차 14대, 보병사단 휘하 수색대 및 기병대대 등에 배치된 탱켓형 장갑차 50대, 만주국군 흥안지대 독립제1자동차대 소속 트럭 개조형 장갑차 11대.[5] 글라스노스트로 인해 정부극비문서가 공개 되면서 소련 측의 객관적 사상자 정보가 공개되었다. 스탈린 시기 소련이나 군국주의 일본이나 전체주의 혹은 파시즘적 사회라서 언론이 탄압받는 건 피차일반이고 그래서 글라스노스트 전까지는 서로 선전용도로 자기 쪽 사상자는 축소, 은폐하고 상대편 사상자는 과장하는 게 일반적이였다. 특히나 일본은 미드웨이 해전 전과를 통째로 은폐시킨 전과가 있는 것을 고려할 때 할힌골 전투의 규모도 조작했을 가능성이 높다.[6] 기계적 결함 등으로 전력에서 이탈한 차량 미포함.[7] 일본군, 만주국군 포로 합산.[8] 박격포 미포함.[9] 국민혁명군 중에서 장제스 직속 중앙군은 당시 나치 독일과의 교류 덕에 장비 자체는 세계적인 수준이었다. 하지만 숙련된 간부가 부족했으며, 유형적 자산으로만 따져도 일본군 상비사단에 비해 화력, 기동력 등이 크게 떨어져 1개 사단을 상대하는데 최소 3개, 넉넉히 잡아 5개 사단이 필요하다고 자체 판단을 했을 정도였다.[10] NHK에서 2018년 8월 15일에 방송.[11] 특히 대본영의 지시를 무시하고 독단적으로 계획을 세운 츠지 마사노부가 핵심 인물이었다.[12] 참고로 저 때 중국, 몽골, 조선의 국경선은 지금과는 조금 달랐다. 지금의 중국-몽골 국경선은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후 1950년 몽골 인민공화국과의 수교 이후에 확정되었다.[13] 몽골어로 할힌 골(Khalkhyn Gol)이라고 부른다. '할하(Khalkha)'의 '강(Gol)'이라는 뜻. 그리고 지금 몽골인의 주류인 할하 몽골족이 바로 이 강 유역에서 일어났다.[14] 몽골어로 "불법(佛法)의 왕"이라는 뜻이다. 티베트 불교의 영향을 받은 이름으로 보인다.[15] 시베리아까지 무려 7만여 명을 파병했다. 게다가 바이칼 호수 뒤까지 점령했다.[16] 만주사변 당시 소련은 중립을 유지했고, 외무장관 막심 리트비노프는 분쟁을 일으키기 않기 위해 1931년 12월 일본에 상호 불가침조약을 맺을 것을 요청했다. 하지만 일본은 그것을 거부했고, 소련이 겁을 먹었다고 오판하였다(출처: Nomonhan, 1939: The Red Army's Victory That Shaped World War II).[17] Nomonhan, 1939: The Red Army's Victory That Shaped World War II에서는 하극상(Gekokujo)이 관동군의 두드러진 특징이었고, 일본 육군 교육 체계 자체가 소대, 중대 같은 소규모 단위 부대를 지휘하는 능력보다는 사단 같은 대규모 부대를 운용하는 능력을 배양하는데 치중했으며, 이러한 교육 하에 양성된 일본 육군 장교들은 중대장, 대대장 수준에 불과한 인물이어도 병력을 대규모로 운용하는 능력을 지니고 있다고 착각한 나머지 경거망동하는 경향이 심했다고 기술했다. 이러한 경향은 군에서 실질적인 방향을 결정한다고 할 수 있는 좌관급 장교단에서 특히 강했다. 츠지 마사노부가 일개 소좌였을 때도 관동군 참모단 내에서 깽판칠 수 있었던 이유였다.[18] 출처: Nomonhan, 1939: The Red Army's Victory That Shaped World War II 해당 서적에 따르면 소련군이 양적으로 관동군을 한참 압도하기는 했으나 일본이 본토에서 관동으로 병력을 비교적 신속하게 충원할 수 있었고 1937년 중일전쟁 발발 후에는 중국 북부에서 차출이 가능했던데 반해 소련은 "극동"이란 지역이 워낙 넓은데다 산업 인프라, 인구가 밀집해 있던 러시아의 유럽 영토에서 극동 지방까지 병력을 충원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힘들었다. 주요 운송 수단인 시베리아 횡단철도 또한 만주국-소련 국경에 굉장히 가까워서 일본군이 얼마든지 파괴하는 것이 가능했기에 소련은 극동 주둔 소련군에게 중앙에서 조달되는 지원에 의존하기보다는 주둔지에서 자급자족하도록 할 수밖에 없었다.[19] 심지어 오라호도가 사건에서 일본군의 피해는 전사 8명, 부상 4명에 불과했다.[20] 1936년 12월부터 유럽을 방문 중이었다. 태평양 전쟁에서 필리핀 침공을 주도했으며 바탄 죽음의 행진을 일으킨 전범으로 기소되어 도쿄 전범 재판에서 사형당했다.[21] 항목 최상단 표의 첫 번째 지도에서 '건분지'로 표시되어 있는 곳.[22] 32년 뒤인 1969년 이곳에서는 중국-소련 국경분쟁이 벌어진다.[23] 러시아 제국과 체결했던 평등 조약인 네르친스크 조약을 뒤집은 것이었다.[24] 관동군 제1사단에는 일본 본토에서 2.26 사건을 일으키고 만주로 쫓겨나다시피 파견된 장교들이 다수 있었는데 이들은 강한 반공 성향을 띠고 있었고 이런 성향 때문에 소련군과의 전투에서 매우 공세적인 태도로 나왔다고 한다.[25] 함급은 BKA 프로젝트 1124형이라고 한다.[26] '소련군 건보트가 선제 공격을 했다'는 서술은 일본어 위키페디아 항목과 FC2 블로그에 있는 내용이다. 영어 위키백과에는 "On the morning of June 30, soldiers from the 49th Regiment led by Col. Mihara attacked the Soviets using two horse-drawn 37mm artillery pieces(6월 30일 아침, 가나에 미하라 중좌 휘하 관동군 1사단 제49연대는 말이 끄는 37mm 대포로 소련군을 공격했다)"라고 나와 있다. 그러나 건차자도 사건에 대한 정보가 한국어 웹에서는 거의 찾을 수 없고, 일본어나 영어로도 자료가 풍부하게 나오지 않아 진위 검증이 어렵다.[27] 동년 10월 22일-29일 사이에 인양된 것으로 추정된다.[28] 중일전쟁이 터지자 막심 리트비노프는 당시 프랑스 대통령 레옹 블룸(Leon Blum)에게 "소련은 중일전쟁의 발발에 긍정적인 반응이며 전쟁이 최대한 장기화되길 바란다"고 얘기한 바 있다. 일본을 중국 대륙에 오래 잡아 놓을수록 극동에서의 위협이 약화될 것이라 판단했기 때문(출처: Nomonhan, 1939: The Red Army's Victory That Shaped World War II).[29] 이 블로그는 할힌골 전투를 무려 30여 편에 걸쳐 정리해 놓았다(장고봉 전투는 2~4편에 해당). 정보의 자세함은 할힌골 전투에 한해서는 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 못지 않으며 아재스런 말투가 특징. 2019년 초 이후 몇몇 근황글 외에는 현재 잠정적 활동 중지 중. (2022년 9월 이후 다음 블로그의 기능 정지로 인해 접속 불가한 상태다.)[30] 2011년에 하산 호를 답사하여 하산 호 전투에 대한 기록과 감상을 블로그에 적어 놓았다. 이 사람은 할힌골 전투 답사를 위해 하얼빈, 치치하얼, 연길 일대도 간 적이 있다. 전투일지 등 참고할 만한 정보는 꽤 풍부한 편이지만 자국의 역사라 그런지 어설프게 합리화하려는 부분이 다소 보인다. 예를 들어 소련군 사상자가 일본군 사상자보다 많다는 사실을 가지고 "일본의 빛나는 역사", "나라를 지키기 위해 희생을 마다하지 않는 정신은 지금도 이어지고 있다"라고 표현하였다.[31] 현 베이징과 우한을 잇는 철도.[32] 소련군이 장고봉을 점거한 이유는 장고봉 이남의 일본군을 압박해 만주 북부의 영역권을 넓혀 일본을 견제하려 했던 것이라 추정된다.[33] 당시 연대장은 사토 고토쿠 대좌. 임팔 작전에서 그 분에게 대놓고 항명한 그 사람 맞다.[34] 심지어 장고봉을 점령했던 19사단에게는 중포마저 없었다. 거의 순수 알보병으로 구성되어 있었던 것이다.[35] 이 때에 함경북도 경흥군, 평안남도 증산군 등이 폭격을 당했다.[36] 이때 전투 명령을 내린 사람이 바로 클리멘트 보로실로프였다.[37] 일본군이 화력의 열세에도 불구하고 소련군에 큰 피해를 입힐 수 있었던 것은 일본군이 방어자의 입장이었던 데다 방어에 유리한 고지를 점령하고 있던 지형적 이점에 힘입은 바가 컸다. 러일전쟁 당시 방어하는 러시아군보다 공격하는 일본군의 피해가 더 컸음을 생각하면 된다. 또한 전투가 벌어진 하산 호 인근 지역은 습지와 진창이 많아 전차의 효율적인 기동이 어려웠으며, 당시 소련군의 주력 전차였던 T-26은 경장갑 기동 전차로 아직까지는 국제 평균 수준을 유지하던 일본군의 대전차 공격에 취약했다. 더불어 대숙청의 여파로 극동지역 일선 부대의 기존 지휘관들 상당수가 숙청되고 그 자리를 신임 지휘관들이 막 이어받은 상황이었는데 이것이 소련군 부대들의 심각한 작전능력 저하를 야기했다.[38] 아사카노미야 야스히코와 함께 난징 대학살을 실질적으로 지휘했다고 추정되는 인물이다. 하나야 타다시 못지않게 부하를 구타하는 악행으로 유명했으며 1945년 오키나와 전투에서 자결했다.[39] 일본군 집계 발표 수치.[40] 장고봉 전투 직전 극동 지역 NKVD의 총책임자였던 겐리흐 류시코프가 일본으로 망명한 사건도 숙청에 영향을 주었다고 추정된다. 참고로 류시코프 역시 대숙청의 칼날을 피해 망명한 것이었다. 류시코프는 만주 작전이 진행 중이던 1945년 8월 초 펑톈의 기차역에서 마지막으로 목격된 후 현재까지 행방이 알려지지 않았다(관련 포스팅).[41] 블류헤르의 행적에 대해서는 출처마다 상반된 정보를 담고 있는데, 일본어 위키피디아 항목에서는 블류헤르가 국경분쟁 확대에 반대하면서 소련군 국경수비대에 의한 국경 침범 사실을 확인하고 책임자 처벌을 요구한 게 스탈린의 미움을 사서 사형당했다고 서술한 반면, "봉달이의 삐딱한 전쟁사"에서는 극동 지역 NKVD의 책임자 겐리흐 류시코프가 일본으로 도망간 것이 극동 군관구 사령관이던 자신의 안위에 위협을 줄 것을 두려워했던 블류헤르가 스탈린의 주의를 다른 곳으로 돌리기 위해 일부러 국경분쟁을 일으켰다고 주장하고 있다.[42] 두 가지 모두 가능성이 있는 관점이다. 어차피 블류헤르는 봉소전쟁에서 중국으로부터 만주의 우세권을 빼앗아와야 한다는 오판을 했다가 괜히 일본이 들어올 거리를 주는 바람에 극동에 일본의 영향력이 확대되는 결과를 낳았던 사람이고, 그때부터 이미 스탈린에게 찍혀 있었다. 어떤 이유든 간에, 이때쯤 대숙청의 라스트 스퍼트를 밟던 스탈린은 블류헤르를 살려 둘 생각이 없었던 거나 다름없다.[43] 이 지침을 작성한 인물이 그 유명한 츠지 마사노부였다.[44] '은민'함(배수량 15톤, 승조원 13명)과 '제민'함(배수량 25톤, 승조원 15명)의 2척.[45] 제4사단은 이후 제2사단과 더불어 할힌골 전투 막바지에 증원병력으로 파견되지만, 병사들의 태업 등으로 느릿느릿 진군한 탓에 꼬박 8일만에야 전장에 도착했다(같이 출발한 제2사단은 선발대인 16연대가 4일만에 전장에 도착해 후반부 전투에 참가했다. 이때 16연대를 지휘한 연대장이 미야자키 시게사부로 대좌). 그리고 그들이 도착한 시점에 딱 맞춰 할힌골 전투가 끝나버렸다.[46] 일부 대한민국 밀리터리 동호인들에게는 페클렌코가 해임과 동시에 숙청되었다는 잘못된 설이 알려졌는데, 이는 장고봉 전투의 지휘관이었던 블류헤르 원수나 아래 나오는 그리고리 시테른과 페클렌코를 혼동한 데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페클렌코는 제1차 충돌에서 일본군을 잘 막아낸 공로로 훈장까지 받았고, 훗날 독소전쟁에도 참전하였으며,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한참 지난 1951년 모스크바에서 자연사하였다(러시아어 위키백과 참조).[47] 다만 시테른은 레프 트로츠키와 똑같은 독일계 유대인이라는 출신 때문에 라브렌티 베리야의 의심을 사서 1941년 6월 독소전쟁 발발 직전 체포되어 처형되었다. 이후 1954년 니키타 흐루쇼프에 의해 복권되었다.[48] 몽골 인민군 총사령관을 겸직하고 있었다.[49] 할힌골 전투에서는 94식 37mm 속사포가 일본군 보병사단 휘하 부대들에 배치되어 있었으며 위력 또한 장갑이 얇은 BT 전차와 T-26을 상대로는 나름 저지력을 발휘할 수 있는 수준이었다.[50] 물론 소련은 앞선 여러 충돌과정에서 사상자가 일본보다 더 많이 발생했기 때문에 부담감을 가지고 있었을 것이다. 또한 러일전쟁에서 러시아 제국이 일본 제국을 상대로 패배한 역사가 있는 데다, 세월이 흘러 국내 상황도 혼란스럽고 일본에 대한 정보가 충분치 않은 상황에서 다시 맞붙게 되었기에 더 신중하고 치밀하게 행동해야 했을 것이다. 반면 관동군은 앞선 교전으로 자신감을 얻었지만, 그게 너무 과했던 것이다. 아무리 소련 내부사정이 복잡하다 한들, 과거 러일전쟁에서도 일본이 정말 힘겹게 이겼던 나라(러시아)를 상대로 이렇게 낙관적이고 객관적이지 못한 정보 파악으로 전투에 임한 것은 분명한 문제다. 앞선 교전이 어찌되었건, 러일전쟁 때 일본이 어느 정도였던 간에 러시아는 분명 일본보다 훨씬, 유럽 전체가 항상 긴장할 정도로 강력한 열강이었다.[51] 통념과 달리, 일본군이 실전에서 적국의 무기나 장비를 노획해 사용한 예는 제법 많다. 태평양 전쟁에서는 미제 스튜어트 경전차를 노획해 일선 부대에서 전차 전력으로 활용하기도 했고, 임팔 작전에서도 미야자키 시게사부로 대좌의 부대가 후퇴 과정에서 영국군의 보급 물자를 탈취해 쓰기도 하였다. 멀리 갈 것도 없이 이 할힌골 전투에서도 일본군은 전투 도중 소련군의 경전차와 장갑차, 트럭, 경포, 기관총 등의 장비를 제법 노획했으며, 그 중 상태가 괜찮은 일부 장비는 전투에 바로 써먹기도 했다. 중일전쟁에서 중화민국군이 쓰던 Vz.26을 '고장나지 않는 총'이라고 예찬하며 노획하기도 했을 정도.[52] 윤봉길 의사의 의거로 상하이 훙커우 공원에서 다리 한쪽을 잃은 인물 중 하나다.[53] 참고로 삼국지연의에서 화웅은 이 대사가 사망플래그로 작용해, 진짜 소잡는 칼관우에게 목이 떨어져 나갔다. 전장에서 상대를 닭으로 치환하고 만만하게 봤다간 큰일 날 수도 있다는걸 보여주는 셈이었다. 애초에 이 구절을 처음으로 쓴 사람은 공자인데, 그때는 전투 상황도 아니었을 뿐더러 그냥 농담으로 뱉은 말이었다.[54] 중국 헤이룽장성 서부에 위치한 도시.[55] 츠지 마사노부가 이 작전을 입안했다.[56] 2개의 전차연대 가운데 요시마루 키요타케 대좌의 제3전차연대는 89식 을형 중전차 26대와 97식 치하 중전차 4대, 94식 경장갑차 7대, 97식 테케 경장갑차 4대를 보유했으며, 타마다 요시오 대좌의 제4전차연대는 95식 하고 경전차 35대, 89식 갑형 중전차 8대, 94식 경장갑차 3대로 구성되었다. 그밖에 앞서 5월에 있었던 제1차 할힌골 전투에서는 아즈마 야오조 중좌의 수색대에 1대의 92식 중장갑차가 배속되어 있었으며, 8월경 소련군의 반격 당시 후이 고지를 방어하던 이오키 에이이치 중좌의 수색대에도 소수의 장갑차량이 배치되어 있었다(출처: Alvin D. Coox의 "Nomonhan: Japan Against Russia, 1939"). 또 이 당시 관동군이 보조전력으로 데려온 만주국 흥안지대의 독립 제1자동차대에 일본산 이스즈 트럭을 개조한 37mm 평사포 탑재 차륜형 장갑차가 11대 분량이 있었다.[57] 참고로 여기서 전차의 대규모 기동을 실전에서 쓴 것은 일본군이 세계 최초였다고 알고 있는 경우도 있는데, 이미 20년도 더 지난 제1차 세계 대전 중의 1917년 캉브레 전투에서 연합군은 무려 476대의 전차(그 중 378대가 전투용 전차)를 동원한 바 있다.[58] 소련군은 전투의 승리를 외교적인 문제로 대외에 자랑하고 다니지 않았지만 승전보를 소련 시민에게 선전하는 것에는 거리낌이 없었다. 사진 속 도시는 노보시비르스크로 추정된다. 동부 러시아에서 저 정도 강폭을 가진 도시는 노보시비르스크 밖에 없다. 나머지는 한 넓이 하는 도시들이다.[59] 근현대전에서 군사적 의미의 전멸은 문자 그대로의 몰살을 의미하는 게 아니라 해당 부대가 더 이상 전투부대로 기능을 상실한 상태, 즉 무력화되었다고 판정받은 것을 의미한다. 대개 일반적인 국가의 군대에서는 전체 병력 중 30%가 사상자(1개 사단 기준으로 전사 500~600명, 부상자 2,500여 명)일 경우 전멸로 분류하여 그 즉시 재편성하도록 조치한다. 대한민국 국군도 40%가 기준이다. 그런데 당시 제23사단은 전체 전력의 70% 가량을 상실했으므로 전멸이라는 말로도 부족하다.[60] Maslov,2010,42-44 Mikhail Maslov, Polikarpov I-15, I-16 and I-153 Aces, Osprey Publishing, 2010, pp.42-44[61] 물론 독소전쟁 발발 시점에서 소련 공군의 숙련도가 떨어졌다면 할힌골 전투 당시에도 마찬가지였을 것이다. 독소전쟁 전투 초기에 소련 공군이 졸전한 것이 전투기 때문이건 숙련도 때문이건, 일본군에 대한 평가 측면에서는 마찬가지다.[62] Ki-27은 랜딩 기어가 Ju87처럼 커다랗게 돌출된 채 고정되어 있어서 접지도 못한다.[63] 다만 폴리카르포프도 시대에 뒤떨어진 설계자만은 아니었고, 할힌골 전투 시점에서 이미 Yak-1을 앞서는 I-180이라는 강력한 전투기를 개발중이었다. 문제는 유명 조종사 발레리 치칼로프가 허가없이 I-180 시제기를 비행하다 추락사한 것. 그 때문에 폴리카르포프는 스탈린의 신뢰를 잃었고 I-180은 물론 이후 개발 당시 소련 전투기중 최강이었던 I-185마저 취소되고 만다.[64] 도조 히데키는 정치적으로는 굉장히 무능했지만 이와 별개로 자기 밑의 부하들에겐 한 없이 따뜻했던 덕장이었다. 물론 태평양 전쟁이 장기화되면서 그 의미가 퇴색되었다.[65] 그에게는 박무덕이란 조선 이름이 있었다. 즉 조선계, 정확하게는 임진왜란 때 끌려간 사기장의 후손이다.[66] 태평양 전쟁 당시, 시대에 뒤떨어진 일본의 전차들은 미국의 전차들을 상대로 아무런 성과를 낼 수 없었다. 미국의 스튜어트 경전차 한 대를 상대로도 중전차를 상대하는 양 쩔쩔맸으며, 셔먼 전차를 마주했을 때는 초중전차를 마주한 것마냥 패닉에 빠지기 일쑤였다. 참고로 M4 셔먼 전차는 비록 가성비, 대량생산 측면에서 T-34와 자주 비견될 정도로 훌륭한 전차임은 사실이었지만, 고 스펙의 비싼 독일 전차들에게 연신 박살나면서 고생을 꽤나 많이 했던 전차다. 물론 현대 미디어에서 독일의 기갑전력이 과장되어 있기에 과대평가는 금물이지만, 가성비 문제와 더불어 논란의 여지가 있는 신뢰성과 별개로 순수 스펙, 화력, 장갑만으로 따졌을 때 독일이 참전국들 가운데 가장 앞섰던 것은 사실이다.[67] 당시 일본은 경전차를 대전차용, 중전차를 보병지원용으로 제작했으니 대전차화력은 경전차가 더 좋아도 이상한 건 아니다.[68] 한편으로는 이 정도로 빈약한 일본군 전차들을 상대로 기습을 허용하고, 일본군 전차는커녕 보병들에게도 쩔쩔매다가 꽤 많은 수의 전차를 손실한 소련군을 보고 대숙청의 여파가 어느 정도였는지를 짐작할 수 있다.[69] 당시 소련군은 주코프와 같은 일부 명장들을 제외한 대부분의 엘리트 장교들이 대숙청으로 사라졌고, 그 자리를 채운 것은 신임 장교 혹은 전투나 훈련경험이 부족한 오합지졸들이었다. 대한민국 국군식 은어로 말하면 짬찌들인 셈이었다. 이런 오합지졸 군대를 상대로, 태평양 전쟁이 일어나기 전까지 동아시아 최정예이자 베테랑이라 할 수 있는 관동군이 패배할 정도면 당시 관동군 지휘부와 이들을 제대로 통제하지 못한 대본영이 얼마나 무능했는지 알 수 있다. 지휘부도 지휘부거니와, 조직 문화와 체계의 문제라고도 볼 수 있다.[70] 이는 독일의 전술만 보고 독일의 무기를 못 본 것이었다. 독일의 1호 전차, 2호 전차, 3호 전차 등 당시 독일이 주력으로 굴리던 전차들은 소련의 전차보다 일대일 능력은 떨어졌을지언정 일본 전차보다는 훨씬 나았고 무전기를 장비해 기동전의 핵심인 유기적인 이동 능력을 갖춘, 자신들의 대전략을 이루기 위해 의도적으로 설계되고 최적화된 무기들이었다. 그리고 4호 전차, 5호 전차 판터, 6호 전차 티거, 쾨니히스티거 등 독일군의 최신 전차들과 일본 전차를 비교한다면 가히 삽질이 아닐 수 없다.[71] 출처: 해당 블로그[72] 정확히 말하면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국경감시위원이란 직책으로, 아예 일본 밖으로 내쫓은 격이었다.(출처)[73] 전황이 불리해지자 먼저 협상에 나서자는 그나마 상식적인 주장이 나왔는데, 미국 측에 천황제 유지, 전범재판과 처벌은 일본 측이 전적으로 진행, 미군의 일본 주둔 거부 등과 같은 말도 안되는 항복 조건을 내걸었다.[74] 1276쪽에 달하는 압박적인 분량으로 이후 할힌골 전투 연구사에 큰 영향을 끼쳤다. 후자 서적에서도 해당 서적을 언급하며 많은 도움을 받았다고 서술한다.[한석정,2009,3] 출처: 한석정, 러일-만몽-몽몽의 대결 - 노몬한(할힌 골) 전투 70주년 기념 학회 참관기, 만주연구, 2009.12, p.3[75] 참고로 이 여행을 후원한 주체가 1990년대 초반 존재했던 일본 극우마르코 폴로였다. 이 잡지는 일본군 위안부를 비롯해 죄다 일본의 전쟁범죄를 부정했는데 나중에는 홀로코스트 같은 유대인 학살이 완전 조작이라고 역사왜곡을 행하다가 미국 내 유대인 단체의 분노 어린 경고에 겁먹고 폐간되었다. 극우를 무작정 싫어하지 않으나 무정부주의적인 색채가 강한 무라카미 하루키를 이 잡지가 돈 대줘서 몽골 여행하고 돌아와서 극우를 까는 계기를 만들어 주었다.[76] 놀랍게도 새역모에서 낸 교과서에서는 이 전투가 일본이 승리한 전투라면서도 여전히 노몬한 '사건'으로 쓰고 있다. 이겼다면서 작은 사건에 지나지 않는다며 축소하는 꼴이다.[77] 치하도 마찬가지이나, 당시 치하는 할힌골에 4대 밖에 없었으므로 논외.[78] 일본군의 전차 개발 사상에서 경전차는 영국의 순항전차나 소련의 기병전차(예를 들어 BT 전차)와 마찬가지로 적 기갑 부대와의 교전 및 신속한 추격전을 염두에 둔 다목적 전차였다.[79] 참고로 전후 밝혀진 바에 의하면, 야스쿠니 신사에 합사된 할힌골 전투 사망자는 2만 명 이상으로 기록되어, 수천 명에 불과한 당시 발표와는 몇 배의 차이가 있다. 그러나 야스쿠니 신사에는 살아있는 사람도 안치되는 등 자료로 참고하기에는 신뢰도가 매우 떨어진다. 즉, 이것으로는 근거가 되지 못한다. 이 자료에 나온 수치에 대해 할힌골 전투에 참여한 일본군들이 사망 후에 안치된 것이라 늙어서 자연사한 사람이 대부분일 가능성이 높다는 견해가 있다(참조).[80] 천황 히로히토의 동생이었다.[81] 비록 츠지와 야스히토가 사관학교 동기이자 육군대학교 동기였지만 야스히토는 다이쇼 덴노의 차남이라 존대를 했다. 미치타로 역시 마찬가지였다.[82] 무타구치 렌야도 비슷한 일화가 있는데 다음과 같다.
어느 날 미카사노미야 다카히토 대위가 15군 사령부에 시찰을 왔다.
다카히토 대위: 무타구치 공의 부대는 보급은 어떻게 하기로 했나?
무타구치 중장: 전하, 보급이 뭐 걱정 있겠습니까? 보급이란 원래 적에게서 취하는 법입니다.
다카히토 대위: (황당한 듯) 그런가? 그래, 다 말이 된다고 하겠네만... 만약 적군도 같은 생각이면 어쩌려는가?
이렇게 말하자 무타구치는 말문이 막히고 말았다.
[83] 야스히토가 사관학교, 육군대학 수석이었고 차석은 칸인노미야 하루히토였다.[84] 야스히토는 이 전투가 첫 전투였다. 게다가 더 심각한 건 이 사람은 실전도 치러본 적이 없이 황족이라는 이유만으로 소장까지 달았던, 사실상 이름만 군인이었을 뿐 스포츠에 관심이 많았던 평범한 사람에 불과했다. 그런데도 실제 군인들보다도 전황을 객관적으로 보고 있었다는 얘기다.[85] 엄폐물 하나 없는 평지, 그것도 적군이 시야를 확보하고 있는 대낮에 대전차용 무장이라곤 고작 수류탄화염병밖에 없는 보병대가 대규모의 기갑부대를 상대로 정면에서 전투를 벌여 피해를 입힐 수 있다는 것 자체가 영화적 연출이다.[86] 심지어 소련군이 강을 건널 때 쓴 다리는 일본군소련군을 공격하러 가게 하기 위해서 만든 것이었다. 매우 중요한 거점인데도 보초 하나 없었다.[87] 어쨌든 할힌골 전투가 비중있게 묘사된 영상매체는 해외를 포함해도 마이웨이 말고는 없기 때문에, 위 유튜브에서도 보이듯 마이웨이의 할힌골 전투장면에 관심을 가지는 사람은 많은 편이다.[88] 억류된 포로들은 10년 동안 강제 노역에 종사했으나, 임금 등의 대우는 비슷한 일을 하는 소련 노동자들과 동일하게 받았다. 징병되어 일본 관동군에 있다가 소련에서 포로 생활을 하던 중 북한으로 넘겨져 조선인민군 병사 노릇을 하다 포로가 된 후 한국을 택한 한 분은 "노역 때문에 힘들기는 했어도 관동군 소련 포로 시절이 훨씬 대우가 나았다."고 증언했다. 소련이 포로 대우에 그다지 신경을 써주지 않는 나라였는데도 저런 말이 나온 것이다. 포로보다도 못한 생활을 했던 일본군이지만 개인의 의견으로 전체를 볼 수는 없는법이다.[89] 총체적으로 말이 안 되는 게, 육군 항공대는 작전 범위가 육상이고 또한 자기들 육상기지를 자체적으로 관리하니 독립 공군이 될 수 있지만, 해군 항공대는 작전 범위가 바다이고 바다에서의 원활한 작전을 위해서는 결국 항공모함을 타야 하므로 해군에서 독립이 불가능하다. 해군 항공대가 육상기지에서 대규모로 운용되는 경우는 항모에서 운용할 수 없던 중대형 폭격기 정도였고 또한 전황이 나빠져 수세에 몰렸을 때나 고려할 만한 사항이다. 멀리 갈 것도 없이 현실의 국군 역시도 육군의 항공대에서 시작하여 49년 10월 1일 독립 병종으로서 공군이 창설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