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TG

덤프버전 :


서울 요금소
서울 料金所
Seoul Tollgate

부산 방면
신갈JC
← 7.8 km
파일:Expressway_kor_1.svg서울 방면
판교IC
3.6 km →
죽전휴게소(서울방향)
서울하이패스센터(부산방향)
서울TG 진입 직전 우측에 위치하고있다.




파일:attachment/seoul_new.jpg
서울 방면으로 찍은 사진[1]
주소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대왕판교로 240
(궁내동 184-20)
관리기관
경부선
한국도로공사 수도권본부 수원지사
개통
1968년 12월 21일 (원지동)
1987년 10월 5일 (궁내동 이전)

1. 개요
2. 구조
2.1. 서울 방향(상행선)
2.2. 부산 방향(하행선)
3. 역사
4. 일평균 통행량
5. 서울TG? 성남TG?
7. 여담
8. 둘러보기 틀



1. 개요[편집]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궁내동 경부고속도로 본선 상에 있는 폐쇄식 요금소. 서울 외 지역에서 승용차나 버스를 통해 처음 상경하는 사람들이 종종 이곳을 통과하며 서울에 도착한 것으로 착각하곤 하지만, 이름과 다르게 이곳은 서울특별시가 아닌 경기도 성남시다. 여기도 호남고속도로 동광주TG 처럼 상행선은 넓고 하행선은 좁은 편이다.

서울 방향으로는 이 요금소를 지나면 개방식 구간이다. 즉 판교IC부터 한남IC까지는 요금소가 없다.[2]

대한민국 고속도로 폐쇄식 요금소 중 이용 차량대수가 1위인 곳이다. 2위는 서서울TG, 3위는 동서울TG, 4위는 수원신갈IC. 하지만 개방식 요금소까지 합치면 서울TG의 이용량 순위는 고작 8위에 불과하다. 전체 톨게이트 중 이용차량 1위는 구리남양주TG, 2위는 김포TG, 3위는 청계TG, 4위는 성남TG, 5위는 시흥TG로 1~5위의 모든 톨게이트가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에 위치한다.

서울 방향은 개방식 구간이 시작되고, 부산 방향은 개방식 구간이 끝나고 폐쇄식 구간이 시작된다.

2. 구조[편집]



2.1. 서울 방향(상행선)[편집]


  • 하이패스 고속 진출차로[3]: 1(중앙버스전용차로), 2, 3, 4차로.
  • 하이패스 일반 진출차로: 15, 16, 17차로.
  • 일반 진출차로: 5~14, 18~20차로.


2.2. 부산 방향(하행선)[편집]




3. 역사[편집]


파일:attachment/요금소/seoul.jpg
  • 1968년 12월 21일 경부고속도로 서울 ~ 오산 구간 개통에 따라서울특별시 영등포구(현 서초구) 원지동에서 영업을 시작하였다.
  • 1987년 10월 5일 현 위치인 경기도 성남시 (현 분당구) 궁내동으로 이설되었다.
  • 2019년 12월 27일 서울방향 다차로 하이패스 시스템이 도입되었다.
  • 2019년 12월 30일 부산방향 다차로 하이패스 시스템이 도입되었다.


4. 일평균 통행량[편집]


2015년
2016년
2017년
107,001대
109,433대
107,160대

(출처: 한국도로공사)


5. 서울TG? 성남TG?[편집]


사실, 서울TG는 1968년양재 나들목 인근 남쪽에 있는 서초구(당시 영등포구) 원지동 부지[4]에 들어섰으나, 이후 통행량 증가로 인한 확장이 불가피해져 1987년 10월, 기존 위치에서 남쪽에 있는 성남시 궁내동 부지로 확장 이전하게 되었다. 이전 후 기존 부지를 활용하기 위해 1988년에 서울 만남의광장 휴게소가 들어서게 된다.

이후 2000년대 들어서 성남시에서 지역 인지도 상승을 위해 성남시 한복판에 위치했는데 왜 서울TG로 이름을 쓰냐며, 이참에 성남TG로 명칭을 변경하자고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국가 기관시설의 명칭은 대부분 중앙행정기관이 지자체에 위임하는 기관위임사무인지라, 지자체에서 헌법재판소에 권한쟁의심판을 제청하는 방법 등으로 딴지를 걸어도 결국 결과는 중앙행정기관의 손을 들어주게 되어 있다. 게다가 성남TG는 이미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에 있다.

특정 지명이나 시설물의 명칭이 실제 소재지의 지명 또는 행정구역명과 상이한 경우는 매우 많다. 이러한 사례들은 대부분 '명칭이 잘못 부여되었으므로 무조건 실제 행정구역 소재지 명칭으로 따라야 한다'는 것은 아니며, 서울대공원이 서울이 아닌 과천에 위치하는 것과 같이 각자 나름대로의 사유가 있기 때문에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는 것이다. 현재의 서울TG는 서울특별시 내에 소재하지는 않지만, 상징적으로 서울특별시로 진입하는 관문 역할을 한다는 점 및 기존에 설치한 양재동에 위치한 TG를 확장해서 이전한 후 그 이름을 계승하는 차원에서 붙인 명칭이다.[5] 게다가 국가 제1 중추고속도로인 경부고속도로의 서울쪽 요금소 이름이 '서울'이 아닌 '성남'이면 매우 어색하다.

분당구 주민 사이에서는 서울/성남톨게이트보다는 “궁내동 톨게이트”라고도 많이 부른다.


6. 고속도로 연계요금[편집]




7. 여담[편집]


매일 아침 출근교통정보에 뒷배경으로 등장하기 때문에 서울의 모든 시설물을 제치고 가장 많이 방송을 타는 디자인서울 관련 시설물이다.[7]



교통방송에는 하루 종일 고정 출연하고 명절만 되면 방송국들의 교통상황 중계에 고정 출연을 하고 있다. 이러한 전통은 대략 90년대 초반[8]부터 시작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요금소 기준으로 목적지까지의 시간을 불러주는 식으로 방송이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부산까지 8시간, 대전까지 4시간, 강릉까지 5시간, 광주까지 7시간 대충 이런 식. 중부선이나 서해안선이나 영동선의 교통정보도 전부 여기서 하는 경부선 방송 뒤에 이어붙이는 식으로 화면을 송출한다.

그만큼 교통량이 굉장히 많은 톨게이트다. 지방으로 가거나 서울로 오는 차량들이 굉장히 많아 서울TG는 항시 빽빽하게 붐빈다. 그나마 새벽이나 밤에는 좀 덜한 편.

하행선의 경우 요금소 바로 옆에 하이패스센터가 자리하고 있으며 진입 전에 도로가 분기되어 들어간다.

한편 1990년대 초반까지만 하더라도 393번 지방도(현 23번 지방도 대왕판교로)의 궁내동에서 정자동(신기동) 방면으로 넘어가는 고가도로가 서울TG 위를 지나가는 선형으로 있었으나 분당신도시 개발 이후 철거됐다.

2006년 양재-기흥 확장공사를 착공하면서 서울TG 확장도 계획되었는데,# 기존 영업소 중 26차로를 서울방면 전용으로, 현재 하이패스센터 부지에 16차로 규모의 부산방면 영업소를 신설하려고 403억원에 부지를 매입하였으나, 하이패스 등이 도입되며 서울TG 주변 정체가 예측보다 심하지 않아 뭐라구요?[9] 백지화되었고, 매입한 부지는 하이패스센터로 사용되고 있다.#

서울 요금소 지하로는 수서평택고속선이 지나간다.

서울 도심과 강남에서 수원, 용인, 화성(동탄), 평택, 오산으로 향하는 다수의 광역버스들이 이 요금소를 이용한다.

서울 요금소를 통과하기 전 오른쪽을 보면 그린팩토리를 볼 수 있다. 또한 두산그룹이 2021년 1월, 신사옥 분당 두산타워를 완공함에 따라 서울 요금소 바로 옆에 두산타워가 우뚝 서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해당 위치 바로 오른쪽으로 분당수서간도시고속화도로가 같이 지나가며, 오른쪽으로 더 가면 300m 정도 거리에 분당선 및 신분당선 정자역이 있다.

서울 요금소의 명판의 폰트는 기존 폰트에서 현재서울남산체로 변경했다.

서울요금소 옆에는 대형 태극기가 게양되어 있는데 높이가 50m다. 아시안 하이웨이 지정을 기념해 한국도로공사가 2011년 게양한 이래 지금까지 유지하고 있다.#

전국에서 가장 많은 왕복 32 차로를 가지고 있는 곳이다.

8. 둘러보기 틀[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04:46:37에 나무위키 서울TG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1~4차로 다차로하이패스 도입전.[2] 판교IC에 있으나 서울방향은 오른쪽으로 비껴 간다. 즉, 요금소를 경유하지 않는다.[3] 시속 80km/h 고속 통과 가능 다차로 하이패스다. 기존 톨게이트의 교통섬 시설이 따로 없이 기존 고속도로와 동일한 노폭으로 편도 2차로씩 구성되어있다. 2019년말 완공되었다.[4] 서울특별시 행정구역 경계와는 어느 정도 거리가 있다.[5] 참고로 동서울TG는 하남시에, 서서울TG는 안산시에 있다. 서울이 붙어있는 TG는 전부 서울에 없다.[6] 2005년부터 개통된 고속도로 요금소에는 기존의 HY울릉도에서 HY헤드라인M으로 글씨체가 바뀌었다가 2010년부터는 표지판이 기존의 두 사각형 모양에서 타원형 모양으로 바뀌어서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7] 현재의 톨게이트 디자인이 바뀐 것은 2010년. 디자인서울 정책 일환으로 바뀐 것이다. 그 전까지는 다른 톨게이트와 동일하게 HY울릉도체[6]에 바탕이 파란색이었다.[8] MBC 뉴스데스크의 경우 20년 뉴스 보기를 통해 확인한 결과 1993년부터 서울TG에서 촬영을 하고 있다.[9] 정체가 있기는 하나 서울TG 때문에 발생하는게 아니라 서울TG를 경계로 왕복12차선이었던 도로(판교~서울TG)가 8차선(서울TG~천안)으로 줄어들기 때문에 발생하는 정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