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 4000호대 초퍼제어 전동차

최근 편집일시 : (♥ 0)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서울교통공사가 4호선에서 운행 중인 VVVF 전동차에 대한 내용은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 문서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번 문단을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나무위키+하위문서.png   하위 문서: 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 4000호대 초퍼제어 전동차/현황

이 문서는 현재 운행이 중단된 차량을 다룹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차량은 현재 퇴역하여 더 이상 운행하지 않는 차량입니다.




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1] 4000호대 초퍼제어 전동차
Wide-width car (first batch)
||
파일:6442_6928_5857.jpg
창동차량기지의 412편성(4023호)[2]
차량 정보
열차 형식도시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구동방식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편성10량 1편성
생산량410량
과거 운행 노선파일:Seoulmetro4_icon.svg 서울 지하철 4호선 (1985~1995)
도입시기광폭형1984 ~ 1985년 (1차분)
1989년 (2차분)
1990 ~ 1991년 (3차분)
1990 ~ 1992년 (4차분)
제작사대우중공업
한진중공업[3]
소유기관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A]
운영기관
차량기지창동차량사업소
차량 제원
[ 펼치기 · 접기 ]

전장19,500㎜
전폭3,160㎜
전고3,750㎜
차중TC: 33t
M1: 42.21t
M2: 41.8t
T:32t
급전방식직류 1500V 가공전차선
신호장비US&S(현 히타치 레일 STS) ATC
제어방식GEC 사이리스터 초퍼제어
동력장치GEC G319AZ형 직류직권전동기
제동방식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최고속도영업90㎞/h
설계100㎞/h
가속도3.0㎞/h/s
감속도상용3.5㎞/h/s
비상4.5㎞/h/s
MT 비6M 4T


1. 개요
2. 편성
3. 상세
4. 분류
4.1. 1차분 (1984~1985)
4.2. 2차분 (1989)
4.3. 3차분 (1990~1991)
4.4. 4차분 (1990~1992)
4.5. 타 노선으로의 이적 (1993~1995)
5. 도입 당시 영상
6. 갤러리
7.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 4000호대 초퍼제어 전동차1985년부터 1994년까지 서울 지하철 4호선에서 운행한 초퍼제어 전동차다.

생김새 및 사양은 서울교통공사 3000호대 초퍼제어 전동차와 같으나 1990년 제작 차량 중 유리창 몰딩이 금속으로 된 차량은 4호선에서 운용하던 것이다. 그리고 실내 바닥도 내장재 미개조 기준으로 약간 다르다. 3호선 초퍼 차량의 바닥은 회색이었고 4호선 초퍼 차량의 바닥은 진한 녹색이었다.


2. 편성[편집]


[10량 편성 시절]
상계·당고개 방면
40XX[B]Tc(운전실)
42XX[B]M(MG, 공기압축기, 축전지)
45XX[B]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43XX[B][C]M(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46XX[B][C]M'(팬터그래프, 제어장치)
47XX[B][C]T(무동력객차)
47YY[B][C]T(무동력객차)
42YY[B]M(MG, 공기압축기, 축전지)
45YY[B]M'(팬터그래프, 제어장치)
40YY[B]Tc(운전실)
사당 방면
[B] A B C D E F G H I J [math(\begin{aligned} \text{XX} &= 2\times(\text{해당 편성}-400)-1 \\ \text{YY} &= 2\times(\text{해당 편성}-400)\end{aligned})] [C] A B C D 401~435편성 1990~1992년 증결

[6량 편성 시절]
상계 방면
40XX[B]Tc(운전실)
42XX[B]M(MG, 공기압축기, 축전지)
45XX[B]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42YY[B]M(MG, 공기압축기, 축전지)
45YY[B]M'(팬터그래프, 제어장치)
40YY[B]Tc(운전실)
사당 방면
[B] A B C D E F
  • 당시 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2005년까지 쓰인 서울메트로의 명칭, 현 서울교통공사)에서 지금과 같은 체계로 차호를 개정하기 전에 2, 3호선으로 이적하여, 현재와 차호체계가 다르다.
  • 당시 4호선의 정방향은 지금과는 다르게 40XX호대가 앞칸이 상계·당고개 방면이었고 40YY호대가 앞칸이 사당 방면이었으나 1994년에 과천선과 직결되면서 광폭형 GEC 초퍼차량이 2~3호선으로 이적되면서 정방향 기준이 반대로 바뀌었다. 이는 경의·중앙선 한국철도공사 331000호대 전동차와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경의선만 운행하는 당시엔 문산 방면 8호차(3319xx호)가 앞이었지만 경의·중앙선 직결과 동시에 전 차량의 방향이 중앙선과 동일하게 문산 방면 1호차(3310xx호)가 앞으로 바뀌었다.


3. 상세[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서울교통공사 광폭형 GEC 초퍼제어 전동차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차분에 해당되는 1984년~1985년에 제작된 광폭형 GEC 초퍼제어 차량은 출입문 내부에 손잡이가 있지만 2~5차분에 해당된 1989년부터 1993년에 제작된 차량은 출입문 내부에 손잡이가 없다. 단, 3차분에 해당된 1990년에 제작된 일부 차량에 한해서는 창문, 출입문 창틀이 금속 쇠창틀로 적용되었다.

1985년 서울 지하철 4호선 개통 당시부터 개통 이후 1993년 8월까지는 4호선에 광폭형 GEC 초퍼 열차만 운행했다.

그러나 서울 지하철 4호선 - 과천선 - 안산선 직통 결정으로 인해 직류 1.5kV에만 대응했던 이 열차는 교류 25kV인 과천선 및 안산선을 직통 운행할 수 없었다. 이에 철도청과 서울지하철공사가 신형 전동차 제조에 합의해 서울지하철공사 측 신형 전동차로 VVVF 전동차가 투입되었고, 1993~1995년에 걸쳐 기존 초퍼제어 전동차는 2호선과 3호선으로 이적했다. 한꺼번에 이적한 게 아니라 단계적으로 이적했기 때문에 1995년까지는 4호선에 기존 초퍼제어 전동차와 VVVF 열차가 같이 운행했었고, 물론 기존 초퍼제어 전동차는 당고개-사당/남태령 구간만을 운행했다.

1995년 5월 기존에 남아있던 열차들이 2~3호선으로 완전히 이적되면서 4호선에서의 약 10년간의 운행을 마감했다. 2~3호선으로 이적 후 차량 번호도 개정되었으며, 이후 이 열차들도 내구 연한이 되어서 모두 폐차되었다. 2호선은 2020년에 광폭형 GEC 초퍼를 포함한 모든 초퍼제어 전동차들이 퇴역했으며, 3호선도 2022년 9월에 전 차량이 퇴역했다.

1993년 8월 이례적으로 일부 편성은 3호선 증결을 위해 TC차를 T차로 개조했다. 한 마디로 운전석을 잘라내고 그 자리를 객차형 좌석으로 개조했다.

그때는 지금과는 달리, 스마트폰이나 디지털 카메라가 없었기에 4호선에 광폭형 GEC 초퍼 제어 열차의 사진, 영상 자료들이 비교적 드물다. 당시에는 휴대폰이 상당히 고가였고 스마트폰, 카메라폰이라는 개념조차 없었을 뿐만 아니라 필름 카메라가 전부였고 소지자들도 매우 적었으며, 인터넷이나 블로그의 개념도 없다. 설령 소지하고 있더라도 필름 값이 비싸서 카메라는 가족 사진이나 풍경을 촬영할 때만 주로 사용했을 뿐, 건물, 자동차, 열차 등은 촬영하지 못했다. 그때도 버스나 지하철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있지만 이들도 사진은 생각보다 많이 남기지 못했는데 필름 값이 비쌌을 뿐만 아니라, 주변의 시선도 있기 때문이다. 그때는 사진을 함부로 찍으면 북한에 남한 서울에 대한 정보 제공을 한다는 간첩으로 오인받아 끌려갈 수도 있다. 또 이적한 지도 이미 수십 년이 지나서 대부분 4호선 열차 하면 VVVF 열차를 떠올릴 뿐 광폭형 GEC 초퍼 열차를 떠오른 사람은 거의 없다. 물론 그 당시 4호선 GEC 초퍼 열차 운행 당시 이용객들은 기억하겠지만 세월이 너무 흘러서 기억하지 못한 사람이 더 많다. 그러나 당고개 ~ 사당 구간을 자주 타던 어르신분들의 경우 기억한 경우도 간혹 있다.


4. 분류[편집]


도입된 해에 따라 4차로 분류된다.
분류제어방식도입
광폭형
1차분GEC
초퍼제어
1985년 1차 구간 개통 시 도입된 차량 (6량 27편성)
2차분1989년에 도입된 차량 (6량 7편성)
3차분1990년에 도입된 차량 (6량 1편성 + 10량 5편성 + 8량 1편성)
1991년 10량화에 따라 도입된 동력 부수 객차 (2량 1편성)
4차분1990~1992년 10량화에 따라 도입된 동력, 무동력 부수 객차 (4량 27편성)


4.1. 1차분 (1984~1985)[편집]


파일:6442_6928_5857.jpg
412편성(4023호)
  • 401~427편성 (총 27편성 108량)
  • 제작사: 대우중공업
  • 일반석 구조: 1칸 한쪽 면 3석-7석-7석-7석-3석
4호선 개통을 대비하여 1984년 11월 5일부터 1985년 7월 8일까지에 27개 편성이 도입되었다. 1984년 10월 창동기지, 1985년 2월 지축기지 완공을 기점으로 초기 개통분으로 4호선 창동기지에 6량 27개 편성이 투입되어 운행을 개시했다. 401~414편성은 1984년 반입, 415~427편성 및 3호선 전 편성은 1985년에 도입되었다.
1984~1985년 제작분 GEC 초퍼 조성(6량) ▼
1984~1985년 제작분 GEC 초퍼 조성(6량)
편성 / 호차1호차
(TC)
2호차
(M)
3호차
(M')
4호차
(M)
5호차
(M')
6호차
(TC)
비고
401편성400142014501420245024002
402편성400342034503420445044004
403편성400542054505420645064006
404편성400742074507420845084008
405편성400942094509421045104010
406편성401142114511421245124012
407편성401342134513421445144014
408편성401542154515421645164016
409편성401742174517421845184018
410편성401942194519422045204020
411편성402142214521422245224022
412편성402342234523422445244024
413편성402542254525422645264026
414편성402742274527422845284028
415편성402942294529423045304030
416편성403142314531423245324032
417편성403342334533423445344034
418편성403542354535423645364036
419편성403742374537423845384038
420편성403942394539424045404040
421편성404142414541424245424042
422편성404342434543424445444044
423편성404542454545424645464046
424편성404742474547424845484048
425편성404942494549425045504050
426편성405142514551425245524052
427편성405342534553425445544054


4.2. 2차분 (1989)[편집]


  • 428~434편성 (총 7편성 42량) - 1989년 도입
  • 제작사: 대우중공업
  • 일반석 구조: 1칸 한쪽 면 3석-7석-7석-7석-3석
1989년 6량 증차분 차량에 해당한다. 1989년에 428~434편성에 해당되는 6량 7개 편성이 추가 도입되었으며 고무창틀 출입문과 개폐식 창문을 그대로 계승했지만 해당 차량부터는 출입문 내부에 손잡이가 없어졌다.
1989년 도입분 4호선 광폭형 GEC 초퍼 조성(6량) ▼
1989년 도입분 4호선 광폭형 GEC 초퍼 조성(6량)[K]
편성 / 호차1호차
(TC)
2호차
(M)
3호차
(M')
4호차
(M)
5호차
(M')
6호차
(TC)
비고
428편성405542554555425645564056
429편성405742574557425845584058
430편성405942594559426045604060
431편성406142614561426245624062
432편성406342634563426445644064
433편성406542654565426645664066
434편성406742674567426845684068
[K] 10량 증결분은 색깔 표시했다. 그리고 굵은 글씨체는 전부 한진중공업 제작분이며 금색 바탕은 쇠창들로 되어있는 객차이다. 연두색 바탕은 1989년 이후 제작된 고무창틀 차량이다.


4.3. 3차분 (1990~1991)[편집]


  • 435~441편성 (총 7편성 64량(435편성: 1편성 6량 + 436~440편성: 6편성 60량 + 441편성: 1편성 8량)) - 1990년 도입
  • 441편성 (10량 증결분, 총 1편성 2량) - 1991년 도입
  • 제작사: 대우중공업(435~440편성과 441편성의 1~4, 6~8번째 칸과 마지막 칸), 한진중공업(441편성의 5, 9번째 칸)
  • 일반석 구조: 1칸 한쪽 면 3석-7석-7석-7석-3석
1990년 증차분을 시작으로 1991년까지 계속 제작된 차량에 해당한다. 1990년에 435~441편성에 해당되는 6량 1개 편성과 10량 5개 편성, 8량 1개 편성이 추가 도입되었고 1991년에 10량 증결분 2량 1개 편성이 추가 도입되었으며 출입문 창틀과 창문 창틀 모두 고무틀에서 금색 쇠창틀로 변경되었다.
1990년 도입분 4호선 광폭형 GEC 초퍼 조성 ▼
1990년 도입분 4호선 광폭형 GEC 초퍼 조성(6량)[*K ]
편성 / 호차1호차
(TC)
2호차
(M)
3호차
(M')
4호차
(M)
5호차
(M')
6호차
(TC)
비고
435편성406942694569427045704070

1990년 도입분 4호선 광폭형 GEC 초퍼 조성(10량)[*K ]
편성 / 호차1호차
(TC)
2호차
(M)
3호차
(M')
4호차
(M)
5호차
(M')
6호차
(T)
7호차
(T)
8호차
(M)
9호차
(M')
10호차
(TC)
비고
436편성4071427145714371467147714772427245724072
437편성4073427345734373467347734774427445744074
438편성4075427545754235467547754776427645764076
439편성4077427745774377467747774778427845784078
440편성4079427945794379467947794780428045804080
441편성4081428145814381468147814782428245824082


4.4. 4차분 (1990~1992)[편집]


  • 401~435편성 (10량 증결분, 총 35편성 140량) - 1990~1992년 도입
  • 제작사: 대우중공업
  • 일반석 구조: 1칸 한쪽 면 3석-7석-7석-7석-3석
1990~1992년에 동력차, 무동력차를 들여와서 401~435편성을 10량 편성으로 증결되었으며 출입문 창틀과 창문 창틀 모두 고무틀 창틀로 환원되었다.
1990~1992년 10량 증결분 4호선 광폭형 GEC 초퍼 조성(10량) ▼
1990~1992년 10량 증결분 4호선 광폭형 GEC 초퍼 조성(10량)[*K ]
편성 / 호차1호차
(TC)
2호차
(M)
3호차
(M')
4호차
(M)
5호차
(M')
6호차
(T)
7호차
(T)
8호차
(M)
9호차
(M')
10호차
(TC)
비고
401편성4001420145014301460147014702420245024002
402편성4003420345034303460347034704420445044004
403편성4005420545054305460547054706420645064006
404편성4007420745074307460747074708420845084008
405편성4009420945094309460947094710421045104010
406편성4011421145114311461147114712421245124012
407편성4013421345134313461347134714421445144014
408편성4015421545154315461547154716421645164016
409편성4017421745174317461747174718421845184018
410편성4019421945194319461947194720422045204020
411편성4021422145214321462147214722422245224022
412편성4023422345234323462347234724422445244024
413편성4025422545254325462547254726422645264026
414편성4027422745274327462747274728422845284028
415편성4029422945294329462947294730423045304030
416편성4031423145314331463147314732423245324032
417편성4033423345334333463347334734423445344034
418편성4035423545354335463547354736423645364036
419편성4037423745374337463747374738423845384038
420편성4039423945394339463947394740424045404040
421편성4041424145414341464147414742424245424042
422편성4043424345434343464347434744424445444044
423편성4045424545454345464547454746424645464046
424편성4047424745474347464747474748424845484048
425편성4049424945494349464947494750425045504050
426편성4051425145514351465147514752425245524052
427편성4053425345534353465347534754425445544054
428편성4055425545554355465547554756425645564056
429편성4057425745574357465747574758425845584058
430편성4059425945594359465947594760426045604060
431편성4061426145614361466147614762426245624062
432편성4063426345634363466347634764426445644064
433편성4065426545654365466547654766426645664066
434편성4067426745674367466747674768426845684068
435편성4069426945694369466947694770427045704070


4.5. 타 노선으로의 이적 (1993~1995)[편집]


이적 시기이적 전이적 후
1993년 8~11월416~423편성[4]316~333, 336~340편성 (변경 전 316~338편성) 부수 객차[5]
277편성 (변경 전 340편성) 부수 객차
1993년 11월 ~ 12월424~427편성341~344편성
1994년 1월 ~ 8월401~415편성301~315편성
1994년 9월 ~ 11월428~435편성285~292편성
1995년 3월 ~ 5월436~441편성334~335, 345~348편성[6]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서울교통공사 광폭형 GEC 초퍼제어 전동차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 도입 당시 영상[편집]


상계역 - 삼선교역 최초 구간 개통 당시 영상
참고로 영상 속 혜화역은 이미 완공만 한 상태였으나 회차선이 없는 관계로 후에 개통되었다. 그러기에 내부 전용 시승 열차는 회차선이 있는 한성대입구역에서 혜화역까지 반대 방향으로 좌측 통행으로 회송했다.
상계역 - 당고개역 연장 구간 개통 당시 영상

동작대교를 건너는 영상(410편성)


6. 갤러리[편집]


파일:/100/800/60/38360.jpg
상계역에 정차 중인 339편성(3077호)으로, 1990년 6월에 찍은 사진이다.
또한 차호가 3000호대로 표기되었는데 339편성은 3호선에서 임시로 넘어왔기 때문이다. 해당 편성은 1993년 2호선으로 이적 후 276편성으로 개번되었고, 2010년 상반기까지 운행 후 폐차되었다.
파일:zgpijfahYv5.jpg
1984년 반입 당시 401편성(4001호)
해당 편성은 1994년에 3호선으로 이적 후 301편성으로 개번되었고, 2009년에 퇴역했다.
파일:22033352_org.v1496581465.jpg
동작역을 출발 중인 404편성(4008호)
상계역 종착이라 이 사진도 적어도 1993년 4월 20일 이전의 사진이다. 해당 편성은 1994년 3호선으로 이적 후 304편성으로 개번되었고, 2009년에 폐차되었다.
파일:414set.png
상계역 회차선으로 진입하는 407편성(4014호)
당고개역 종착이라 이 사진도 적어도 1993년 4월 20일 이전의 사진이다. 해당 편성은 1994년에 3호선으로 이적 후 307편성으로 개번되었고, 2009년에 폐차되었다.
파일:90696390jkd3142453046185.jpg
부역명이 총신대입구역이었을 당시 이수역에 정차 중인 408편성(4015호)
해당 편성은 1994년 3호선으로 이적 후 308편성으로 개번되었고, 2009년에 폐차되었다.
파일:426.png
1993년의 413편성(4026호)의 사진
1993년에 3호선 이적 후 313편성으로 개번되었고, 2009년에 퇴역했다.
파일:PG-1985-0021-002.jpg
창동역에 도착한 시운전하는 415편성(4029호)
1994년에 3호선으로 이적 후 315편성으로 개번되었고, 2009년 퇴역 및 폐차되었다.
파일:22091878d24af36cf4723bea4a7b2d7f.jpg
노원역에 정차 중인 421편성(4042호)
6량 편성임을 봐서 이 사진은 1992년 1월 이전이다. 421편성은 1992년 1월에 10량으로 증결되었다. 해당 편성은 1993년 3호선으로 이적 후 중간 객차로 각각 편입되면서 편성 자체가 소멸되었다.

차호가 개정된 322편성[7], 324편성[8], 338편성[9], 340편성[10]의 중간 객차로 각각 편입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파일:img380.jpg
동작역에 진입 중인 422편성(4044호)의 모습으로, 1991년에 찍은 사진
해당 편성은 1993년 3호선으로 이적 후 중간 객차로 각각 편입되면서 편성 자체가 소멸되었다. 참고로 해당 편성의 운전석이 있는 TC차는 운전석을 철거하고 그 자리를 좌석과 객실통로로 개조했다.
파일:197311696_org.v1495728193.jpg
명동역을 출발 중인 425편성(4049호)
해당 편성은 1993년 3호선으로 이적 후 342편성으로 개번되었고, 2010년에 폐차되었다.
파일:Screenshot2022-12-04.png
명동역의 차호 및 편성 불명 초퍼 제어 열차 두 대[11]


7. 관련 문서[편집]


[1] 서울지하철공사 시절에 이미 4호선에서 사라졌기에 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가 표기로 남아있다.[2] 1994년 3호선으로 이적 후 312편성으로 개번되었고, 2009년 9월에 폐차되었다.[3] 3호선에서 운행 당시 341~347편성이 해당되며, 현재 2호선으로 이적하여 278~284편성으로 변경되었다. 4호선에서 운행 당시 441편성의 4481호와 4682호가 해당되며, 현재 3호선으로 이적하여 348편성의 3448호와 3848호로 변경되었다.[A] [4] 운전실 칸(Tc)은 무동력차(T)로 개조되어 316~318, 320, 322, 327, 332~333편성에 편입되면서 편성 자체가 소멸되었다.[5] 316~338편성은 4호선 416~423편성과 1993년 증결분으로 10량화가 이루어지면서 순서가 316~333편성과 336~340편성으로 조성되면서 다소 뒤섞이게 되었다.[6] 이 때 439~440편성이 공백이었던 334~335편성으로 변경되었다.[7] 4041호(TC)→3522호(T), 4042호(TC)→3622호(T)[8] 4341호(M)→3324호(M), 4641호(M)→3424호(M), 4741(T)호→3524호(T), 4742(T)호→3624호(T)[9] 4241호(M)→3328호(M), 4541호(M)→3428호(M)[10] 4242호(M)→3340호(M), 4542호(M)→3440호(M)[11] 1980~90년대 백과사전에 실린 사진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 문서의 r103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 문서의 r103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06:13:37에 나무위키 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 4000호대 초퍼제어 전동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