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지 관련 정보

덤프버전 :



1. 개요
2. 관련 작품
3. 연표
4. 관직
5. 이름 표기
6. 등장 인물
7. 등장 전투
8. 등장 이민족
9. 고사
10. 사료
11. 주류
12. 기구
13. 대목
14. 전략
15. 집단
16. 병칭
17. 국가
18. 병과
19. 지명
20. 건축
21. 종교
22. 사상
23. 문학
24. 제도
25. 무기
26. 명마
27. 기타 관련 문서
28. 관련 짤방
29.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삼국지 관련 정보들을 정리한 문서.

2. 관련 작품[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삼국지/관련 작품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 연표[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삼국지/연표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 관직[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삼국지/관직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 이름 표기[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삼국지/이름 표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 등장 인물[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삼국지/인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삼국지/가공인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7. 등장 전투[편집]




8. 등장 이민족[편집]




9. 고사[편집]


확실하게 이 시대에 유래되었거나 삼국지연의에서 유래된 경우만 작성한다.

  • 개문읍도
  • 개성포공
  • 강류석부전(江流石不轉) : '강물은 흘러도 그 안의 돌은 물결 따라 이리저리 구르지 않는다'는 뜻으로, 두보의 시 팔진도에서 제갈공명의 팔진도를 이루는 돌이 함부로 움직이지 않는 것을 의미. '돌은 구르지 않는다.'는 것은 천추의 한이 남아 있다는 뜻으로 풀이되기도 하고, 제갈량의 병법(兵法)이 신묘하다는 뜻으로 풀이되기도 한다.
  • 계륵
  • 고곡주랑
  • 관공삼약
  • 관장지용
  • 괄목상대
  • 거재두량[1]
  • 공심위상
  • 교절무악성 거신무원사
  • 구벌중원
  • 구호탄랑
  • 국궁신췌 사이후이
  • 궁여지책
  • 권의지계
  • 귀사물엄 궁구막추
  • 기대취소
  • 기생유 하생량
  • 낙불사촉
  • 난형난제
  • 남전생옥
  • 낭중취물
  • 노둔
  • 노생상담
  • 노우지독
  • 노인개지
  • 누세통가
  • 단도부회[2]
  • 단두장군
  • 담소자약
  • 도광양회
  • 도리상영
  • 도원결의
  • 독서삼여
  • 마씨오상 백미최량[3]
  • 만전지책
  • 망매지갈[4]
  • 망천지시
  • 명령지자
  • 명모호치
  • 모사재인 성사재천
  • 무학지배
  • 문장경국지대업
  • 미천긍지[5]
  • 박면피[6]
  • 박학다식
  • 방압득봉
  • 방촌이란
  • 방탕무뢰
  • 백리지재[7]
  • 백미
  • 백안시
  • 법불가어존[8]
  • 보수설한
  • 복로파관 요자경
  • 복룡봉추(와룡봉추)
  • 복소지란
  • 부지소운
  • 비육지탄[9]
  • 빙고시하 세여파죽
  • 사공명주생중달
  • 사항지계[10]
  • 삼고초려(삼고지례, 삼고지은)
  • 삼방순욱
  • 삼성가노
  • 삼팔종횡 황저우호 정군지남 상절일고
  • 상당연
  • 생자당여중모 돈견
  • 선견지명
  • 소불간친[11]
  • 소향무적
  • 수불석권
  • 수어지교(풍운어수)
  • 시재현상 불가불발
  • 신은구의
  • 식소사번
  • 암우
  • 양상군자
  • 양육지교
  • 언과기실
  • 언출위론 하필성문
  • 여중지왕
  • 영아부인 무인부아
  • 영안탁고
  • 오관육참[12]
  • 오하아몽
  • 우도할계
  • 원문사극
  • 월단평
  • 월명성희
  • 위급존망지추
  • 육출기산
  • 읍참마속
  • 의불부심 충불고사
  • 의불용사(의부용사)
  • 인생오십 불칭요수
  • 일목난지
  • 일신시담
  • 일확천금
  • 잔두지련
  • 절묘호사(황견유부 외손제구)
  • 조조삼소
  • 족하불사 고부득안
  • 종호귀산 교룡입해
  • 좌상객상만 준중주불공
  • 주묵
  • 죽림칠현
  • 중니불사 안회부생
  • 지균상증
  • 진복론천
  • 집사광익
  • 창서칭상
  • 천계일봉
  • 천부지국
  • 천역순유대체 강약유정세
  • 천지조화
  • 충려지경
  • 충의지사
  • 충정지절
  • 치세지능신 난세지간웅
  • 칠보지재
  • 칠종칠금
  • 탄금주적
  • 파죽지세
  • 폐월수화
  • 포한종천
  • 폭이무은(暴而無恩)
  • 할수기포
  • 호부무견자[13]
  • 회귤유친(육적회귤)
  • 횡삭부시(橫槊賦詩)

10. 사료[편집]




11. 주류[편집]




12. 기구[편집]




13. 대목[편집]




14. 전략[편집]




15. 집단[편집]




16. 병칭[편집]




17. 국가[편집]




18. 병과[편집]




19. 지명[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삼국지/지명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0. 건축[편집]




21. 종교[편집]




22. 사상[편집]




23. 문학[편집]




24. 제도[편집]




25. 무기[편집]




26. 명마[편집]




27. 기타 관련 문서[편집]




28. 관련 짤방[편집]




29.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86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86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2 15:38:51에 나무위키 삼국지 관련 정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뛰어난 인물이 수레에 싣고 말로 될 정도로 많다는 뜻으로, 인재나 뛰어난 물건이 많다는 뜻이다. 장송이 조조를 찾아갔을 때, 장송은 조조 앞에서 짐짓 거만한 척하며 조조의 자랑을 비꼬았다. 조조는 속으로 장송을 곱게 보지 않아 장송에게 그와 같은 사람이 익주에는 얼마나 있냐고 물었고 이에 장송은 뛰어난 인재는 100명 정도 밖에 없을 것이며 자신처럼 재주 없는 사람은 수레에 싣고 말로 될 정도로 많으니 이루 헤아릴 수 없다고 답했다.[2] 칼 한 자루를 들고 모임에 나간다는 의미로, 위험한 일에도 거침없이 행동한다는 뜻이다. 관우와 노숙이 형주에 관해 논의하기 위해 회담을 가졌다. 노숙은 형주는 본디 손오의 것이라며 관우에게 반환을 요구했고 뒤에는 여몽과 감녕이 칼을 든 채 노려보고 있었다. 관우는 이에 술취한 척 노숙을 붙잡아 칼을 꺼내들며 유비가 있지 않는 한 자기가 논할 얘기가 아니라며 어물쩍 넘어간다. 그리고 노숙과 같이 부두로 나가 배를 타고 형주로 돌아갔으며 노숙은 어안이 벙벙해진 채로 결론을 못 지은 채 결렬된다.[3] 뒤에 나오는 백미가 이 백미이다. 마씨 가문의 상을 자로 쓰는 다섯 인물 중 흰 눈썹이 으뜸이라는 의미이다. 백미문서 참조.[4] 망매해갈(望梅解渴)과 같은 뜻이다. 매화나무가 있다고 소리침으로써 병사들의 갈증을 해결했다는 의미로, 재치를 통해 위험을 극복한다는 뜻이나 때로는 거짓말을 통해 남을 속인다는 뜻으로도 쓰인다. 고사의 유래는 조조가 군대를 이끌고 가던 중 물이 다 떨어져 병사들이 목을 말라 했다. 그러자 조조는 한 가지 꾀를 내는데, 앞에 매화나무 숲이 있다고 소리쳤고 그 소리에 병사들은 침이 고여 갈증을 일시적으로 해결했다는 뜻이다. 다만 실제로는 침을 아무리 모아 삼켜도 갈증을 해소할 수 없다. 애초에 체내 수분이 부족하기 때문이고 침을 마시는 것은 체내 수분을 계속 체내에서 돌리고 있는 것이기 때문.[5] 하늘과 땅 사이에 차고 넘치다라는 의미로, 여포가 동탁을 사로잡으면서 '동탁 역적의 죄는 하늘과 땅 사이에 넘쳐 이루 말할 수 없다.'고 말했다.[6] 얼굴 가죽을 벗겨낸다는 의미로, 뻔뻔한 사람(철면피)에게 부끄러움을 준다는 뜻이다. 고사의 유래로는 오의 마지막 황제 손호는 잔인하여 죄를 지은 사람의 얼굴 가죽을 벗겨내는 것을 즐겼다. 이후 진에게 멸망하자 진의 신하가 손호를 비웃으며 오에는 얼굴 가죽을 벗겨내는 형벌이 있던데 어찌된 것이냐 묻자, 손호는 임금에게 무례하고 역모를 꾀하는 이에게 행하는 형벌이라고 답하여 비꼰 것에서 왔다.[7] 백리에 걸친 마을을 다스리는 능력이라는 의미로, 재능이나 재주가 보통사람보다 뛰어나고 크다는 뜻이다. 유래는 유비에게 임관한 방통의 재주에 대해 노숙이 쓴 편지에서 유래한다. “방사원은 사방 백리를 다스릴 재주가 아니니(非百里之才), 치중, 별가 등 특별한 임무를 맡겨야 비로소 그 뛰어난 재능을 충분히 펼칠 것입니다.!”[8] 가장 높은 사람에게는 법대로 할 수 없다는 의미이다. 조조가 군대를 이끌고 가던 길이었다. 조조는 백성들에게 피해를 입히지 않게 하기 위해 실수든 고의든 논밭에 뛰어들어 작물을 망가뜨리지 않게 명령했고 지키지 않을 시 엄벌에 처한다고 했다. 그런데 조조의 말이 놀라 논밭으로 뛰어들었고 이에 조조는 자신의 말을 지키기 위해 자신의 목을 자르려 했다. 그러자 주변에서 만류하기를 "예로부터 높은 사람에게는 법대로 할 수 없다고 하였습니다."라고 말했고 이에 조조는 자신의 목 대신 머리카락을 잘라 군대에 보여주었다. 이를 본 병사들은 군법을 어기지 않았다고 한다.[9] 허벅지에 살이 찐 것을 슬퍼하다. 사내 대장부가 태어나서 큰일을 이루지 못 하고 늙어가는 것을 한탄하는 말.[10] 거짓으로 항복하여 적을 무찌르는 계책이란 의미이다.[11] 가까운 사이가 되면 가깝지 않은 남이 끼여들지 못한다는 의미이다. 유비에게 의탁한 여포가 한 말. 이외에도 여포와 원술이 혼담을 의논할 때 나온 말이기도 하다.[12] 다섯 관문을 지나며 여섯 장수를 벤다는 의미로, 관우가 유비에게 돌아갈 때 조조의 영토를 벗어나면서 있었던 일화에서 나온 말이다.[13] 호랑이 같은 아비 아래에 개 같은 자식이 없다는 뜻으로, 뛰어난 아비 밑에서 자식 역시 뛰어난 일을 한다는 뜻이다. 삼국지연의에서 나온 말로, 이릉대전 때 관흥과 장포가 크게 활약하자 유비가 이를 보며 호랑이 같은 아비 아래에 개 같은 자식 없다더니! 하면서 칭찬한 것에 유래한다.[14] 다만 이들 중 1명인 왕망은 삼국지 등장 인물이 아니라 양한교체기의 인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