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악동

덤프버전 :



종로구행정동
무악동
毋岳洞 | Muak-dong




광역자치단체
서울특별시
기초자치단체
종로구
행정표준코드
3000046
관할 법정동
무악동
하위 행정구역
12통 71반
면적
0.36㎢
인구
7,990명[1]
인구밀도
22,177.78명/㎢
정치

[ 펼치기 · 접기 ]
국회의원 | 종로구

최재형 (초선)
서울특별시의원 | 제1선거구

윤종복 (초선)
종로구의원 | 가 선거구

여봉무 (재선)

이응주 (초선)

행정복지센터
통일로14길 36 (무악동 60-2)
무악동 주민센터
1. 개요
2. 역사
3. 주요 시설
3.1. 문화재
3.2. 편의
3.3. 교육
3.3.1. 초등학교
3.3.2. 중고등학교
3.4. 주거
4. 교통
4.1. 버스
4.1.1. 직행
4.1.2. 광역
4.1.3. 일반
4.1.4. 간선
4.1.5. 지선
4.1.6. 심야
4.1.7. 마을
4.1.8. 공항
5.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무악동은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있는 이다.

종로구 교남동과 더불어 90년대 말 ~ 2000년대 초부터 재건축, 재개발의 규제완화정책[2]의 수혜를 받아 생활환경이 빠르게 개선되면서 서울 도심권 내에서도 보기 드물게 아파트가 밀집한 지역이 되었다. 이처럼 주거환경이 급격히 개선된 결과 젊은 맞벌이 가구가 점차적으로 유입되어 종로구 법정동 중에서도 평균연령이 교남동에 이어 2번째로 낮은 수준이다[3].

2. 역사[편집]


무악동은 조선 초기부터 한성부 반송방 지하계에 속하던 성저십리 지역으로, 갑오개혁 당시 지하계 모화현동[4]으로 그 소속이 세분되어 있다가 일제강점기에 경성부 산하 서대문구역소 현저정으로 분류된 후 해방기에 서대문구 현저동의 일부가 되었다. 그 후 1975년에 구의증설및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대통령령 제7816호) 제3조 제1항 제1호에 따라 서대문구 현저동을 종로구에 편입하고 서울특별시동명칭및구역획정조례(조례 979호)[5]에 의해 현저동의 의주로 북쪽 지역을 무악동으로 분리하여 신설하면서 고유한 법정동 및 행정동을 갖추게 되었다[6].

무악동의 '무악'이라는 지명 유래에 대해서는 풍수지리적 관념에서 어머니의 산(母岳)이라는 뜻의 '모악'이 변하였다는 설, 인왕산무악산에 많은 호랑이를 피하기 위해 '모여서 넘는 고개'라는 뜻의 명칭인 '모악'이 변하였다는 설, 조선의 도읍을 정할 당시 무학대사가 답사한 곳이라는 뜻의 '무학'이라는 명칭이 변하였다는 설 등이 경합하고 있다[7].


3. 주요 시설[편집]




3.1. 문화재[편집]


  • 국사당[8]
  • 선바위

3.2. 편의[편집]



3.3. 교육[편집]




3.3.1. 초등학교[편집]



3.3.2. 중고등학교[편집]


  • 관내에 중학교가 없으며, 서울특별시 중부교육지원청 '중부2' 학교군에 속해 있다. 대신중학교(서울), 청운중학교, 배화여자중학교, 상명대학교사범대학부속여자중학교 등 4곳이 속해 있는 학교군이다[9].
  • 관내에 고등학교가 없으며, 서울특별시 중부교육지원청 '5학군'에 속해 있다.

3.4. 주거[편집]



4. 교통[편집]



4.1. 버스[편집]



4.1.1. 직행[편집]



4.1.2. 광역[편집]



4.1.3. 일반[편집]



4.1.4. 간선[편집]



4.1.5. 지선[편집]



4.1.6. 심야[편집]



4.1.7. 마을[편집]



4.1.8. 공항[편집]



5.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8 10:37:41에 나무위키 무악동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023년 10월 주민등록인구[2] 관련기사 참조[3] 서울열린데이터광장 2022. 1. 기준 참조. 교남동 역시 2010년대부터 경희궁자이 등 아파트 중심의 대규모 재개발에 힘입어 광화문, 여의도 도심권에 대한 직주근접 수요를 흡수한 결과 평균연령이 급격히 낮아졌다.[4] 한성부 서서 반송방도 십칠매지내 제10호 참조[5] 해당 링크는 데이터베이스 일부가 누락되었으므로 같은 날 시행된 서울특별시동장정원조례 참조[6] 무악동주민센터 참조[7] 서울지명사전 참조[8] 국가문화유산포털 참조[9] 중부교육지원청 참조. 다만 배정은 학교군(학군), 학구군 외에 근거리 등교편의 등을 감안하므로 반드시 이들 4곳에 배정되는 것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