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BA 드래프트/2018년도

덤프버전 :

1. 1라운드
2. 2라운드
3. 평가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NBA 드래프트

NBA 드래프트
NBA 드래프트/2017년도2018년도 NBA 드래프트NBA 드래프트/2019년도

hNBA 명예의 전당 헌액 선수
m최소 한 번 MVP를 수상한 선수
t최소 한 번 All NBA Team을 수상한 선수
a최소 한 번 All Star가 된 선수
r신인상을 받은 선수


1. 1라운드[편집]


순위구단선수국적포지션
1순위피닉스 선즈디안드레 에이튼바하마센터
2순위새크라멘토 킹스마빈 베글리 3세미국포워드
3순위애틀랜타 호크스루카 돈치치t r[1]슬로베니아가드/포워드
4순위멤피스 그리즐리스재런 잭슨 주니어a미국포워드/센터
5순위댈러스 매버릭스트레이 영t[2]미국가드
6순위올랜도 매직모하메드 밤바미국센터
7순위시카고 불스웬델 카터 주니어미국센터
8순위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콜린 섹스턴미국가드
9순위뉴욕 닉스케빈 녹스미국포워드
10순위필라델피아 세븐티식서스미칼 브리지스[3]미국가드/포워드
11순위샬럿 호네츠셰이 길저스 알렉산더t[4]캐나다가드
12순위로스앤젤레스 클리퍼스마일스 브리지스[5]미국포워드
13순위제롬 로빈슨[6]미국가드
14순위덴버 너기츠마이클 포터 주니어미국포워드
15순위워싱턴 위저즈트로이 브라운 주니어미국포워드
16순위피닉스 선즈자이레 스미스[7]미국가드
17순위밀워키 벅스단테 디빈첸조미국가드
18순위샌안토니오 스퍼스로니 워커 4세미국가드
19순위애틀랜타 호크스케빈 허더미국가드
20순위미네소타 팀버울브스조쉬 오코기미국가드
21순위유타 재즈그레이슨 앨런미국가드
22순위시카고 불스챈들러 허치슨미국가드
23순위인디애나 페이서스애런 할러데이미국가드
24순위포틀랜드 트레일블레이저스앤퍼니 사이먼스미국가드
25순위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모리츠 바그너독일포워드
26순위필라델피아 세븐티식서스랜드리 샤멧미국가드
27순위보스턴 셀틱스로버트 윌리엄스미국포워드
28순위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제이콥 에반스미국포워드
29순위브루클린 네츠자난 무사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포워드
30순위애틀랜타 호크스오마리 스펠맨미국포워드


2. 2라운드[편집]



3. 평가[편집]


드래프트 당시의 평가는 풍년. 이 해 이후로 2020년을 제외하고 풍년으로 평가받는 드래프트가 끊임없이 이어졌으니 2010년대 후반부터 2020년대 초반까지 이어진 드래프트 대풍년의 서막이라 할 수 있다.

이때 풍년으로 평가받은 이유는 무엇보다도 예년에 비해 높은 평가를 받는 빅맨 유망주들이 대거 쏟아져 나왔기 때문. 실제로 10 순위 이내로 뽑힌 유망주 중 절반인 다섯 명이 빅맨이다. 나날이 빅맨의 씨가 말라가서 실링이 높지 않음에도 어쩔 수 없이 빅맨을 뽑아야했던 각 구단들이 행복에 겨워 주판알을 팅길 수 밖에 없었다. 그렇다고 백코트 자원이 빈약하냐면 그 또한 아닌데, 루카 돈치치트레이 영이라는 초특급 꽃놀이패가 있었기 때문. 이러니 풍년이 아닐래야 아닐 수가 없었다.

그러나 막상 3, 4년 뒤 뚜껑을 열어보니 특급 빅맨 유망주들은 딱히 대박이라고 할 만한 선수가 없는 기묘한 상황이다. 다만 빅맨의 씨가 나날이 말라가는 와중에 이 정도면 좋은 것 아니냐는 말에 딱히 반론하기도 어렵다. 간단히 말해 소속팀의 주전으로 뛸 만큼의 선수들은 다수 배출되었는데 그걸 넘어서 올스타, MVP를 넘보는 선수는 아직까지 없는 상황었으나... 23년 재런 잭슨 주니어가 올스타에 선정되는 영광을 안았다. 게다가 디포이도 수상한 것은 덤.

그러나 백코트에선 초특급 유망주였던 루카 돈치치, 트레이 영이 둘 다 빠르게 리그를 대표하는 초특급 선수로 올라섰다. 사실 이 두 선수만으로도 풍년이라는 당시 전망이 맞았다고 해도 무리가 아닐 것이다. 한편 10순위인 미칼 브릿지스는 올스타급 선수가 되었으며, 2라운더 중에선 제일런 브런슨이라는 대박이 터지기도 하였다. 11순위인 샤이 길저스 알렉산더는 MVP를 논할 클래스의 핸들러가 되었다.

어쨌거나 더 시간이 흘러 2018년 드래프티들이 최전성기 나이에 도달할 2024~26 년 무렵에 그럭저럭 제대로 된 평가가 가능할 것이다.

한편, 특기할 만한 상황은 3순위 루카 돈치치와 5순위 트레이 영이 드래프트 직후 트레이드 되었다는 점. 둘 중 한명이 망했다면 희대의 삽질로 기억되었을 수도 있겠으나. 둘 다 성공해서 윈-윈의 결과가 되었다. 물론 트레이 영은 올스타 급. 돈치치는 MVP 급이기에 애틀란타 호크스의 손해가 아니냐고 할 수 있겠으나, 애틀란타는 트레이 영에 더해 2019 드래프트 픽까지 받긴했다. 다만, 이 2019 댈러스 픽은 사실상 실패작이었다. 이 댈러스 픽으로 10순위라는 높다면 높은 픽을 얻어냈지만, 그 결과물인 캠 레디시는 성장이고 나발이고를 가질 틈도 없이 자기 역할에 불만을 품고 트레이드를 요청, 뉴욕 닉스로 떠났기 때문. 그런데 비록 캠 레디시가 실패작이었다해도 돈치치- 영 트레이드로 애틀란타가 손해라고 볼 수 없는 게, 조지아 주 애틀란타 시는 흑인 인구가 많은 남부를 대표하는 유서 깊은 대도시이기에 백인인 돈치치보다 흑인인 트레이 영으로 얻을 수 있는 티켓 파워가 분명 존재하기 때문. 이 트레이드에서 유일하게 피해를 본 건 트레이 영이라 할 수 있는데, 트레이 영은 텍사스 주에서 태어나 인근 오클라호마 주에서 성장했기 때문에 댈러스 매버릭스가 사실상 제 2의 고향팀이었기 때문.

여담으로, 30순위에 지명된 오마리 스펠맨은 2021년부터 KBL에서 뛰고 있다.

마지막으로 이 해의 신인상은 루카 돈치치가 차지하였다. 평균 21.2득점 7.8리바운드 6.0어시스트로 의문의 여지가 없는 수상이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31 08:48:18에 나무위키 NBA 드래프트/2018년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댈러스 매버릭스로 트레이드[2] 애틀랜타 호크스로 트레이드[3] 피닉스 선즈로 트레이드[4] LA 클리퍼스로 트레이드[5] 샬럿 호네츠로 트레이드[6] 구단주인 스티브 발머는 이 픽으로 바로 다음 순위의 포터 주니어를 뽑고 싶어했으나 프런트의 반대로 로빈슨이 지명되었다.[7] 필라델피아 세븐티식서스로 트레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