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지모토 사다요시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5><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7f7f7,#191919>
1934년 ~ 현재
||
||<width=20%> 초대
후지모토 사다요시
파일:일본 국기.svg
(1936~1942)
||<width=20%> 2대
나카지마 하루야스
파일:일본 국기.svg
(1943)
||<width=20%> 3대
나카가미 히데오
파일:일본 국기.svg
(1944~1946) ||<width=20%> 4대
나카지마 하루야스
파일:일본 국기.svg
(1946~1947) ||<width=20%> 5대
미하라 오사무
파일:일본 국기.svg
(1947~1949)
||
||<width=20%> 6대
미즈하라 시게루
파일:일본 국기.svg
(1950~1960)
||<width=20%> 7대
카와카미 테츠하루
파일:일본 국기.svg
(1961~1974)
||<width=20%> 8대
나가시마 시게오
파일:일본 국기.svg
(1975~1980)
||<width=20%> 9대
후지타 모토시
파일:일본 국기.svg
(1981~1983)
||<width=20%> 10대
오 사다하루
파일:대만 국기.svg
(1984~1988)
||
||<width=20%> 11대
후지타 모토시
파일:일본 국기.svg
(1989~1992)
||<width=20%> 12대
나가시마 시게오
파일:일본 국기.svg
(1993~2001)
||<width=20%> 13대
하라 타츠노리
파일:일본 국기.svg
(2002~2003)
||<width=20%> 14대
호리우치 츠네오
파일:일본 국기.svg
(2004~2005) ||<width=20%> 15대
하라 타츠노리
파일:일본 국기.svg
(2006~2015)
||
||<width=20%> 16대
타카하시 요시노부
파일:일본 국기.svg
(2016~2018) ||<width=20%> 17대
하라 타츠노리
파일:일본 국기.svg
(2019~2023)
||<bgcolor=#e0ffdb,#073300> 18대
아베 신노스케
파일:일본 국기.svg
(2024~) ||<width=20%> ||<width=20%> ||
||<-5><bgcolor=#FFFFFF,#191919> :일본 시리즈 우승 / ☆: 일본 시리즈 준우승 / : 일본 시리즈(1950년) 이전 단일 리그 우승 ||



||
[ 펼치기 · 접기 ]

#555555,#aaaaaa ||<-5><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7f7f7,#191919>
{{{#ffffff 1935년 ~ 현재}}}
|| ||<width=20%> {{{-1 {{{#0e3386,#789ef1 1대}}}}}}[br][[모리 시게오|모리]][br][[일본|[[파일:일본 국기.svg|height=18]]]][br](1936) ||<width=20%> {{{-1 {{{#0e3386,#789ef1 2대}}}}}}[br][[이시모토 슈이치|이시모토]][br][[일본|[[파일:일본 국기.svg|height=18]]]][br](1936~1939)[br]{{{#3385D6,#287ACB ★}}}{{{#3385D6,#287ACB ★}}} ||<width=20%> {{{-1 {{{#0e3386,#789ef1 3대}}}}}}[br][[마츠키 켄지로|마츠키]][br][[일본|[[파일:일본 국기.svg|height=18]]]][br](1940~1941) ||<width=20%> {{{-1 {{{#0e3386,#789ef1 4대}}}}}}[br][[와카바야시 다다시|와카바야시]][br][[일본|[[파일:일본 국기.svg|height=18]]]][br](1942~1944)[br]{{{#3385D6,#287ACB ★}}} ||<width=20%> {{{-1 {{{#0e3386,#789ef1 5대}}}}}}[br][[후지무라 후미오|후지무라]][br][[일본|[[파일:일본 국기.svg|height=18]]]][br](1946) || ||<width=20%> {{{-1 {{{#0e3386,#789ef1 6대}}}}}}[br][[와카바야시 다다시|와카바야시]][br][[일본|[[파일:일본 국기.svg|height=18]]]][br](1947~1949)[br]{{{#3385D6,#287ACB ★}}} ||<width=20%> {{{-1 {{{#0e3386,#789ef1 7대}}}}}}[br][[마츠키 켄지로|마츠키]][br][[일본|[[파일:일본 국기.svg|height=18]]]][br](1950~1954) ||<width=20%> {{{-1 {{{#0e3386,#789ef1 8대}}}}}}[br][[기시 이치로|기시]][br][[일본|[[파일:일본 국기.svg|height=18]]]][br](1955) ||<width=20%> {{{-1 {{{#0e3386,#789ef1 9대}}}}}}[br][[후지무라 후미오|후지무라]][br][[일본|[[파일:일본 국기.svg|height=18]]]][br](1956~1957) ||<width=20%> {{{-1 {{{#0e3386,#789ef1 10대}}}}}}[br][[다나카 요시오(야구)|다나카]][br][[일본|[[파일:일본 국기.svg|height=18]]]][br](1958~1959) || ||<width=20%> {{{-1 {{{#0e3386,#789ef1 11대}}}}}}[br][[가네다 마사야스|가네다]][br][[일본|[[파일:일본 국기.svg|height=18]]]][br](1960~1961) ||<width=20%> {{{-1 {{{#0e3386,#789ef1 12대}}}}}}[br][[후지모토 사다요시|후지모토]][br][[일본|[[파일:일본 국기.svg|height=18]]]][br](1962~1965)[br][[1962년 일본시리즈|{{{#777777,#888888 ☆}}}]][[1964년 일본시리즈|{{{#777777,#888888 ☆}}}]] ||<width=20%> {{{-1 {{{#0e3386,#789ef1 13대}}}}}}[br][[스기시타 시게루|스기시타]][br][[일본|[[파일:일본 국기.svg|height=18]]]][br](1966) ||<width=20%> {{{-1 {{{#0e3386,#789ef1 14대}}}}}}[br][[후지모토 사다요시|후지모토]][br][[일본|[[파일:일본 국기.svg|height=18]]]][br](1967~1968) ||<width=20%> {{{-1 {{{#0e3386,#789ef1 15대}}}}}}[br][[고토 츠구오|고토]][br][[일본|[[파일:일본 국기.svg|height=18]]]][br](1969) || ||<width=20%> {{{-1 {{{#0e3386,#789ef1 16대}}}}}}[br][[무라야마 미노루|무라야마]][br][[일본|[[파일:일본 국기.svg|height=18]]]][br](1970~1972) ||<width=20%> {{{-1 {{{#0e3386,#789ef1 17대}}}}}}[br][[가네다 마사야스|가네다]][br][[일본|[[파일:일본 국기.svg|height=18]]]][br](1973~1974) ||<width=20%> {{{-1 {{{#0e3386,#789ef1 18대}}}}}}[br][[요시다 요시오|요시다]][br][[일본|[[파일:일본 국기.svg|height=18]]]][br](1975~1977) ||<width=20%> {{{-1 {{{#0e3386,#789ef1 19대}}}}}}[br][[고토 츠구오|고토]][br][[일본|[[파일:일본 국기.svg|height=18]]]][br](1978) ||<width=20%> {{{-1 {{{#0e3386,#789ef1 20대}}}}}}[br][[돈 블레이싱게임|블레이싱게임]][br][[미국|[[파일:미국 국기.svg|height=18]]]][br](1979~1980) || ||<width=20%> {{{-1 {{{#0e3386,#789ef1 21대}}}}}}[br][[나카니시 후토시|나카니시]][br][[일본|[[파일:일본 국기.svg|height=18]]]][br](1981) ||<width=20%> {{{-1 {{{#0e3386,#789ef1 22대}}}}}}[br][[안도 모토오|안도]][br][[일본|[[파일:일본 국기.svg|height=18]]]][br](1982~1984) ||<width=20%> {{{-1 {{{#0e3386,#789ef1 23대}}}}}}[br][[요시다 요시오|요시다]][br][[일본|[[파일:일본 국기.svg|height=18]]]][br](1985~1987)[br] [[1985년 일본시리즈|{{{#c8ab37,#c8ab37 ★}}}]] ||<width=20%> {{{-1 {{{#0e3386,#789ef1 24대}}}}}}[br][[무라야마 미노루|무라야마]][br][[일본|[[파일:일본 국기.svg|height=18]]]][br](1988~1989) ||<width=20%> {{{-1 {{{#0e3386,#789ef1 25대}}}}}}[br][[나카무라 카츠히로|나카무라]][br][[일본|[[파일:일본 국기.svg|height=18]]]][br](1990~1995) || ||<width=20%> {{{-1 {{{#0e3386,#789ef1 26대}}}}}}[br][[후지타 타이라|후지타]][br][[일본|[[파일:일본 국기.svg|height=18]]]][br](1996) ||<width=20%> {{{-1 {{{#0e3386,#789ef1 27대}}}}}}[br][[요시다 요시오|요시다]][br][[일본|[[파일:일본 국기.svg|height=18]]]][br](1997~1998) ||<width=20%> {{{-1 {{{#0e3386,#789ef1 28대}}}}}}[br][[노무라 카츠야|노무라]][br][[일본|[[파일:일본 국기.svg|height=18]]]][br](1999~2001) ||<width=20%> {{{-1 {{{#0e3386,#789ef1 29대}}}}}}[br][[호시노 센이치|호시노]][br][[일본|[[파일:일본 국기.svg|height=18]]]][br](2002~2003)[br][[2003년 일본시리즈|{{{#777777,#888888 ☆}}}]] ||<width=20%> {{{-1 {{{#0e3386,#789ef1 30대}}}}}}[br][[오카다 아키노부|오카다]][br][[일본|[[파일:일본 국기.svg|height=18]]]][br](2004~2008)[br][[2005년 일본시리즈|{{{#777777,#888888 ☆}}}]] || ||<width=20%> {{{-1 {{{#0e3386,#789ef1 31대}}}}}}[br][[마유미 아키노부|마유미]][br][[일본|[[파일:일본 국기.svg|height=18]]]][br](2009~2011) ||<width=20%> {{{-1 {{{#0e3386,#789ef1 32대}}}}}}[br][[와다 유타카|와다]][br][[일본|[[파일:일본 국기.svg|height=18]]]][br](2011~2015)[br][[2014년 일본시리즈|{{{#777777,#888888 ☆}}}]] ||<width=20%> {{{-1 {{{#0e3386,#789ef1 33대}}}}}}[br][[카네모토 토모아키|카네모토]][br][[일본|[[파일:일본 국기.svg|height=18]]]][br](2016~2018) ||<width=20> {{{-1 {{{#0e3386,#789ef1 34대}}}}}}[br][[야노 아키히로|야노]][br][[일본|[[파일:일본 국기.svg|height=18]]]][br](2019~2022) ||<bgcolor=#e0ffdb,#073300> {{{-1 {{{#0e3386,#789ef1 35대}}}}}}[br][[오카다 아키노부|오카다]][br][[일본|[[파일:일본 국기.svg|height=18]]]][br](2023~)[br] [[2023년 일본시리즈|{{{#c8ab37,#c8ab37 ★}}}]] || ||<-5><bgcolor=#FFFFFF,#191919> {{{#C8AB37 ★}}}:일본 시리즈 우승 / ☆: 일본 시리즈 진출 / {{{#3385D6,#287ACB ★}}}: 일본 시리즈(1950년) 이전 단일 리그 우승 || ||<#fefe01><:><-5>{{{#000000 [[한신 타이거스]], [[틀:한신 타이거스]]로 돌아가기 }}} ||



||
[ 펼치기 · 접기 ]


||<-5><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7f7f7,#191919>
1936년 ~ 현재
||
||<width=20%> 1대
미야케
파일:일본 국기.svg
(1936~1937) ||<width=20%> 2대
무라카미
파일:일본 국기.svg
(1937) ||<width=20%> 3대
야마시타
파일:일본 국기.svg
(1938~1939) ||<width=20%> 4대
무라카미
파일:일본 국기.svg
(1939) ||<width=20%> 5대
야마시타
파일:일본 국기.svg
(1940) ||
||<width=20%> 6대
이노카와
파일:일본 국기.svg
(1940~1942) ||<width=20%> 7대
니시무라
파일:일본 국기.svg
(1943~1947) ||<width=20%> 8대
하마자키
파일:일본 국기.svg
(1947~1953) ||<width=20%> 9대
니시무라
파일:일본 국기.svg
(1954~1956) ||<width=20%> 10대
후지모토
파일:일본 국기.svg
(1957~1959) ||
||<width=20%> 11대
토쿠라
파일:일본 국기.svg
(1959~1962) ||<width=20%> 12대
니시모토
파일:일본 국기.svg
(1963~1973)
||<width=20%> 13대
우에다
파일:일본 국기.svg
(1974~1978)
||<width=20%> 14대
가지모토
파일:일본 국기.svg
(1979~1980) ||<width=20%> 15대
우에다
파일:일본 국기.svg
(1981~1990)
||
||<width=20%> 16대
도이
파일:일본 국기.svg
(1991~1993) ||<width=20%> 17대
오기
파일:일본 국기.svg
(1994~2001)
||<width=20%> 18대
이시게
파일:일본 국기.svg
(2002~2003) ||<width=20%> 19대

파일:미국 국기.svg
(2003) ||<width=20%> 20대
이하라
파일:일본 국기.svg
(2004) ||
||<width=20%> 21대
오기
파일:일본 국기.svg
(2005) ||<width=20%> 22대
나카무라
파일:일본 국기.svg
(2006) ||<width=20%> 23대
콜린스
파일:미국 국기.svg
(2007~2008) ||<width=20%> 24대
오이시
파일:일본 국기.svg
(2008~2009) ||<width=20%> 25대
오카다
파일:일본 국기.svg
(2010~2012) ||
||<width=20%> 26대
모리와키
파일:일본 국기.svg
(2013~2015) ||<width=20%> 27대
후쿠라
파일:일본 국기.svg
(2016~2018) ||<width=20%> 28대
니시무라
파일:일본 국기.svg
(2019~2020) ||<bgcolor=#e0ffdb,#073300> 29대
나카지마
파일:일본 국기.svg
(2021~)
||<width=20%> ||



퍼시픽 / 타이요 로빈스 역대 감독
츠보우치 미치노리
(1944)[1]
후지모토 사다요시
(1946~1947)
하세가와 노부요시
(1948)
긴세이 스타즈 / 다이에이 스타즈 역대 감독
츠보우치 미치노리
(1946~1947)
후지모토 사다요시
(1948~1956)
마츠키 켄지로
(1957)


파일:후지모토사다요시_1962.jpg
이름후지모토 사다요시(藤本定義)
생년월일1904년 12월 20일
사망일1981년 2월 18일
출생지일본 에히메 현 마츠야마 시
투타우투우타
포지션투수
학력마츠야마 상업학교 - 와세다대학
프로경력없음
지도자 경력도쿄 철도국 감독
도쿄 교진군 감독(1936~1942)
퍼시픽 / 타이요 로빈스 감독(1946~1947)
긴세이 스타즈 / 다이에이 스타즈 감독(1948~1956)
한큐 브레이브스 감독(1957~1959)
한신 타이거스 수석 겸 투수 코치(1960~1961)
한신 타이거스 감독(1961~1965, 1966~1968)

1. 개요
2. 선수 시절
3. 프로 감독 시절
3.1. 전쟁 전, 초대 교진군 감독
3.2. 전쟁 후
4. 이후
5. 여담



1. 개요[편집]


일본 프로야구 지도자, 해설가이며 도쿄 교진군(이하 교진군)의 초대 감독[2]으로 교진군 초창기의 기틀을 잡은 인물이다.


2. 선수 시절[편집]


마츠야마 상업학교와 와세다대학 야구부에서 투수로 활약했고, 1925년 가을 소케이센에 등판하여 승리를 거둔 적도 있다. 현역 시절에는 커브의 후지모토라 불릴 정도로 예리한 커브를 자랑하는 투수였다.

와세다를 졸업한 후지모토는 선수 생활을 그만두고 도쿄 철도국 야구부 감독으로 취임하여 1935년 제1회 미국 원정에서 귀국 후 일본 전국 순회 경기를 벌이던 교진군를 상대로 2승을 거두었다. 당시 순회 경기에서 교진군은 36승 3패라는 압도적인 성적을 거두었지만 그 중 2패가 후지모토 감독이 이끌던 도쿄 철도국에게 당한 것이었다. 후지모토의 지도력을 알아본 교진군은 이듬해인 1936년 그를 감독으로 영입하였다.


3. 프로 감독 시절[편집]



3.1. 전쟁 전, 초대 교진군 감독[편집]


파일:후지모토사다요시_거인.jpg

1936년 훗날의 일본 프로야구의 모체가 될 일본 직업야구 연맹이 출범하면서 프로야구 리그가 (처음엔 실업야구 리그에 가까운 형태이긴 했지만) 본격적으로 시작되었고, 후지모토의 교진군은 하계 대회에서 2승 5패로 부진한 성적을 거두었지만,[3] 병역을 마친 미하라 오사무를 조감독 겸 선수로 팀에 복귀시키고 이른바 모린지(茂林寺) 구토 사건, 1000개의 펑고로 대표되는 선수들이 지쳐 퍼질 정도의 스파르타식 맹 훈련으로 팀 워크를 다진 결과, 그 해 추계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교진군 창단 최초이자 일본프로야구의 공식적인 첫 우승 기록을 남겼다.[4]

이후 후지모토는 7년, 9시즌[5] 동안 교진군 감독으로 7번의 우승을 거두며 교진군의 1차 황금기를 이끌었지만, 1942년 시즌을 끝으로 감독에서 물러났다. 교진군을 나온 후지모토는 아사히군 구단주 다무라 고마지로가 운영하던 섬유회사 다무라고마의 임원[6]으로 영입되어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날 때 까지 근무했다. 사실 다무라 구단주가 후지모토를 불러들인 것은 장래에 아사히군의 감독으로 중용하려는 생각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전쟁 말엽인 1945년 아내를 잃고 이후 다무라의 먼 친척이던 여성과 재혼했다.


3.2. 전쟁 후[편집]


파일:후지모토사다요시_퍼시픽.jpg

전쟁이 끝난 후 프로야구가 부활했고, 후지모토는 다무라의 의향대로 퍼시픽(아사히군의 후신)의 감독에 취임하면서 현장으로 돌아왔다. 한편으로 후지모토는 프로 선수들의 처우 개선을 위해 일본야구 선수회(일본 프로야구 선수회 전신)를 발족시켰고, 자신이 초대 회장에 취임하여 선수들이 최소한의 생활 여건을 마련하는데 노력했다. 그러나 감독으로서 승률 4할대 초중반에 머무르는 부진한 성적을 거두었고, 결국 2년 만인 1947년[7] 시즌을 끝으로 감독에서 물러났다.

그 이듬해인 1948년에는 긴세이 스타즈[8] 감독으로 취임하여 1956년 까지 재임했지만 리그 3위가 최고 성적이었고, 1957~1959년엔 한큐 브레이브스 감독으로 적을 옮겨 팀을 2년 연속 승률 5할로 이끌고 요네다 테츠야를 발굴하는 성과를 보였지만, 1959년 시즌 도중 성적 부진으로 사퇴하는 등 역시 눈에 띄는 성적은 거두지 못하면서 전쟁 전 명감독으로서의 이미지가 퇴색되는 듯 했다. 하지만 후지모토는 곧 교진의 전통적 라이벌 팀에서 그러한 눈이 틀렸다는 것을 보여줬다.

1960년, 후지모토는 한신 타이거스[9]의 수석 겸 투수 코치로 입단하여 후배인 가네다 마사야스 감독을 보필했지만, 가네다가 1961년 시즌 도중 성적 부진으로 사퇴하면서 후임 감독으로 취임했다. 이듬해인 1962년 후지모토는 타도 교진군캐치프레이즈로 내걸면서 교진군 시절 제자인 아오타 노보루 를 수석 코치로 영입하고 팀 전력을 끌어 올리는데 온 힘을 다하여 그 해 한신은 양대리그제 개시 이래 최초로 센트럴 리그 제패를 달성하는 쾌거를 이룩할 수 있었다. 아쉽게도 일본시리즈에서는 교진군 시절 제자였던 미즈하라 시게루 감독이 당시 프로 4년차이던 신진 강타자 장훈 등을 이끌고 이해 창단 후 첫 퍼시픽 리그 우승을 달성한 토에이 플라이어즈에 2승 1무 4패로 패퇴하며 고배를 마셨지만...[10]

후지모토는 2년 후인 1964년에도 한신을 2번째 센트럴리그 우승으로 이끌었지만, 일본시리즈에서 츠루오카 카즈토 감독이 이끄는 난카이 호크스에게 3승 4패로 고배를 맛보며 또다시 패퇴했다. 1965년 시즌 후 구단 총감독으로 일선에서 물러났지만 후임 감독 스기시타 시게루가 시즌 도중인 1966년 8월에 성적 부진으로 사임하면서 후지모토가 감독으로 복귀하여 1968년까지 팀을 이끌었다.

1968년 시즌 종료 후 후지모토는 한신 감독을 끝으로 그라운드를 완전히 떠났다. 감독 경력만 무려 29년으로 일본 프로야구 역대 최고이며, 미하라 오사무, 이시모토 슈이치와 함께 5개 구단에서 감독으로 재직하며 최다 감독재임 구단 수 타이 기록을 남겼다. 또한 프로 선수 경험 없이 일본 프로야구의 1군 감독으로 재임했던 최후의 인물이기도 하다.

감독 통산 성적은 3200경기 출장, 1657승 1450패 93무승부, 승률 0.533이며, 1리그 시절 우승 7회, 양대 리그 시절 우승 2회를 기록했지만 일본시리즈 우승은 경험하지 못했다. 일본 야구계에서 통산 1000승 이상을 거두고도 일본 제일 경력이 없는 감독은 후지모토와 니시모토 유키오, 벳토 카오루 세 명뿐이다.

위에서 언급 했듯이 교진군 시절엔 엄격하고 매서운 호랑이 감독의 전형적인 인물이었지만 종전 이후 나이가 들면서 늙은 너구리 라는 별명이 붙을 정도로 지략가 적인 면모가 돋보였다.


4. 이후[편집]


현장을 떠난 후지모토는 1970년 부터 호치 신문 야구 평론가로 활동했고, 1974~1979년 에는 선 텔레비전의 해설가로 재직하며 주로 한큐 브레이브스 경기의 해설을 맡았다.

1974년 야구 전당에 헌액되었다.

1981년 2월 18일 노환으로 별세했다. 향년 76세.


5. 여담[편집]


1946년 퍼시픽 감독으로 야구계에 돌아온 후지모토는 후자를 지지하며 선수들의 구단 선택권을 존중해야 한다는 의견이었고,[11] 따라서 후지모토는 자신의 생각대로 도쿄 쿄진군 시절 제자였던 빅토르 스타루힌, 시라이시 카츠미와 전쟁 이전 한신군 선수였던 후지이 이사무를 원 소속팀의 허가 없이 퍼시픽 선수로 영입했다. 이에 대해 일본야구연맹에서는 "연맹의 조사와 각 구단의 의견 취합 및 정리 전 까지는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므로, 각 구단에서 자유 영입한 선수들의 출장은 당분간 보류해 달라"며 권고했지만, 조사가 예상 외로 장기화되었고 전쟁 전 스타 선수였던 스타루힌, 시라이시, 후지이의 출전을 희망하는 팬들의 목소리도 컸기 때문에 후지모토는 1946년 5월 20일 대 세네터스 전, 5월 23일과 26일 대 킨키 그레이트링 전, 5월 24일 대 한큐군 전 등 총 4경기에 시라이시와 후지이를 연맹 허가 없이 출장시키면서, 두 선수의 원 소속 구단 쿄진군오사카 타이거스(前 한신군)는 퍼시픽 구단과 후지모토를 연맹에 제소하기에 이르렀다.
후지모토는 전술한 각 구단의 일방적인 선수 해고와 전쟁 전 도쿄 쿄진군 소속이던 아오타 노보루, 마에카와 하치로도 한큐군과 계약을 맺고 시라이시나 후지이와 마찬가지로 경기에 출장했음에도 아무런 지적이 없었다는 점을 바탕으로 항변했지만, 그 해 10월 4일 연맹은 심사를 거쳐 "해당 선수들이 원 소속팀의 급여를 받지 못하였으므로 퍼시픽 입단은 인정하겠지만, 시라이시와 후지이가 출전했던 4경기는 본 심사 이전의 시합이므로 전부 몰수 게임 처리한다"는 판정을 내렸고, 후지모토는 출장 정지 8일(10월 10일~18일)에 벌금 200엔의 징계를 받았다. 그나마 퍼시픽은 이미 문제의 4경기 중 3경기를 졌기 때문에 몰수 게임 판정 영향이 거의 없었지만 7대 4로 승리한 5월 26일의 킨키 그레이트링 전이 몰수패로 뒤집히면서 그 해 1승을 손해봐야 했고, 결국 골드스타에게 그 몰수패당한 1승 차이로 밀려서 주부닛폰과 공동 최하위로 시즌을 마쳤다.
사실 후지모토는 손자뻘의 에나츠를 무척 귀여워 했고 틈만 나면 에나츠와 차를 마시며 옛날 야구에 대해 이야기 해주는 것을 즐겼으며 에나츠도 후지모토를 인자한 할아버지 처럼 생각하며 따를 정도였지만, 후지모토가 눈을 부릅뜨고 길길이 뛰며 카와카미 감독을 힐책하는 장면을 본 에나츠는 "와 이렇게 무서운 분이셨구나"라며 속으로 경악을 금치 못했다고..


[1] 태평양 전쟁에서 일본의 패색이 짙어지면서 1945년은 프로야구가 중단됨.[2] 도쿄 교진군의 전신인 대일본 도쿄 야구구락부는 1934년 창단하여 후지모토 이전에도 감독은 있었지만, 교진군에서는 일본 프로야구 공식전이 시작된 1936년부터 감독을 맡은 후지모토를 정식 초대 감독으로 인정하고 있다.[3] 당시 교진군 선수단이 제2회 미국 원정을 다녀온 지 얼마 안된 시점(이 원정 때문에 교진군은 이해 춘계리그에 불참했다)이라 피로감이 남아있던 탓도 있었다. 그나마 그 2승도 대도쿄군(후의 쇼치쿠 로빈스. 1952년 타이요 훼일즈와 합병)이 14전 14패, 즉 시즌 전패라는 불명예스런 기록을 써내려가며 2승을 교진에게 주었기에 망정이지, 만약 그 2경기마저 졌다면 오히려 교진이 전패팀이 될 뻔했다.[4] 1936년 춘/하계 리그는 당시 우승팀 등의 순위를 따로 정해놓지 않았기에 공식 기록엔 미포함된다.[5] 1936~1938년 까지 일본 프로야구는 하계, 추계의 2시즌으로 운영되었고 1939년부터는 단일 시즌으로 1944년까지 진행했다.[6] 정확한 직책은 다무라 대표의 비서였다.[7] 이 해 구단명이 타이요 로빈스로 변경되었다.[8] 1949년에 다이에이 스타즈로 구단명 변경.[9] 당시 구단명은 오사카 타이거스. 1961년 부터 한신 타이거스로 바뀌었다.[10] 그것도 초반 2경기는 한신이 먼저 이겼지만 3차전을 비긴 후 4~7차전을 내리 토에이에게 내준 것이었다. 장훈의 자서전에 따르면, 2차전을 마친 후 간사이에서 도쿄로 이동하는 야간 열차에 두 팀이 같이 탑승했는데 2승을 선취한 한신 선수단은 대부분 숙면을 취한 반면 2패로 몰린 토에이 선수들은 오히려 밤새도록 맥주를 마시고 왁자지껄 떠들면서 이동했다고 한다. 사정을 모르는 사람이 봤다면 승자와 패자를 착각했을 정도였다고 한다. 그런데 선수들과 같은 칸에 타고 있던 토에이의 미즈하라 시게루 감독은 이런 시끄러운 상황에서 "다들 뭐하는 거냐. 그만하고 일찍 자라" 고 한마디 할 법 했지만, 자신의 방의 커튼을 닫은 채 도쿄에 도착할 때 까지 선수들에게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미즈하라는 나중에 장훈에게 "처음엔 '저 녀석들은 머리가 없는 건가 철이 덜 든건가?' 라는 생각도 했지만 '아니다, 저놈들의 젊음과 패기를 믿어보자. 여기서 울분을 털고 시작할 수 있도록 기회를 주자.' 라는 마음으로 일부러 조용히 있었다" 며 털어 놓았다고 한다. 그리고 그 결정이 일치한 건지, 결국 토에이는 3차전은 비겼지만 이후 4~7차전을 연달아 이기면서 처음으로 일본시리즈 우승을 차지했다.[11] 사실 후지모토는 1944년 11월 프로야구 중단 및 각 구단 해산 시에 선수들의 향후 생계는 고려하지 않은 채 전부 일방적으로 해고해 놓고, 이제 와서 선수 보유권을 주장하는 구단 측 입장에 불만을 품고 있었다.[12] 이 때문에 스타루힌은 후지모토를 아버지처럼 따르며 존경했고, 종전 후인 1946년부터 1953년까지 계속해서 후지모토의 휘하에서 선수로 뛸 정도였다. 이후 1954년 스타루힌이 타카하시 유니온즈의 이적 제의를 망설이며 후지모토와 계속 함께 있고 싶어했지만 후지모토는 "이제 자네가 선수로 뛸 날도 얼마 안 남았다. 타카하시는 계약금을 준다고 하니 가서 은퇴 이후를 준비하라"며 스타루힌을 설득했다. 결국 스타루힌은 후지모토의 곁을 떠나 타카하시로 소속을 옮겼고 그 때 받은 계약금으로 은퇴 후 미용실과 약국을 차려 노후를 대비하려 했지만, 안타깝게도 은퇴 후 얼마 안가 동창회에 참석하기 위해 차를 몰고 가던 도중 열차와 충돌하는 교통사고요절하고 말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7 09:15:27에 나무위키 후지모토 사다요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