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켓몬 XD 어둠의 선풍 다크루기아

덤프버전 :






포켓몬 XD 어둠의 선풍 다크루기아
ポケモンXD 闇の旋風ダーク・ルギア

Pokémon XD: Gale of Darkness
파일:XD_JP_boxart.png
제작Genius Sonority
유통파일:닌텐도 로고.svg
플랫폼파일:닌텐도 게임큐브 로고_좌우.svg
장르RPG
발매파일:일본 국기.svg 2005년 8월 4일
파일:미국 국기.svg 2005년 10월 3일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2005년 11월 10일
파일:호주 국기.svg 2005년 11월 18일
관련 사이트공식 홈페이지(일본)

1. 개요
2. 등장인물
2.1. 주인공
2.2. 미라보 조
2.3. 스내치단
2.4. 섀도
2.5. 그 외
3. 스타팅 포켓몬
4. 등장하는 다크 포켓몬
4.1. 전설의 포켓몬
4.2. 그 외
5. 포켓스폿에서 등장하는 포켓몬
6. 특전 포켓몬
7. 뮤에게 가르칠 수 있는 기술들
8. 그 외
9.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포켓몬스터의 게임큐브용 외전 게임. 3세대에 대응한다. 제목에서 XD는 Extra Dimension을 의미 한다고 한다. 포켓몬 콜로세움으로 부터 5년 뒤의 오레지방을 배경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본가에서 설정이 부실했던 루기아, 그것도 다크 루기아의 이야기가 주 이야기다. 기본적으로 콜로세움에 비해 난이도가 하향되었고, 시스템도 꽤 친절해진 감이 있다. 칠색조 포획 목적이라면 둘 다 필요하지만 작품성 면에서는 많은 게이머들이 콜로세움보단 XD를 추천해준다.

에메랄드 버전 이후에 발매되었기에 대부분의 다크 포켓몬을 리라이브하면 3세대에서는 다른 방법으로 배울 수 없는 기술들을 가지고 있다. 4~5세대 당시에 실전에서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입수 경로가 어려운 스킬을 가진 것으로 유명했던 트라이어택 토게키스를 여기에서 받을 수 있다.

4세대의 포켓몬인 먹고자꼬지지가 카메오로 등장한다. 물론 포획은 불가능.


2. 등장인물[편집]



2.1. 주인공[편집]


  • 류토


2.2. 미라보 조[편집]


  • 미라보
섀도를 탈퇴하여 자신을 떠도는 미라보라고 칭하며 활동한다. 최후에는 주인공에게 패배하고 마지막으로 가지고 있었던 다크 망나뇽까지 빼앗기고 만다. 그 후에는 아이오 포트의 크랩정에서 댄서로써 활동을 하고 있다고 하지만 트로이와 헤보이의 말로는 그저 현실도피중이라고 한다.
  • 트로이
  • 헤보이


2.3. 스내치단[편집]


전작에서도 등장한 도적단. 결국 이용가치가 없어져 섀도에게 버려지고 말았다. 그로 인해 조직의 규모도 많이 줄어들었지만 그 5년 사이에 입단한 단원들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 시점에서 스내치단은 일반 기업과 동일한 조건을 달고 단원들을 모집하고 있었다.

  • 얏치노, 자브, 미산고
헬곤자의 부하. 주인공의 스내치 머신을 뺏어 헬곤자에게 넘겨준다. 얏치노와 자브는 오레 콜로세움에 등장하는데 어째서인지 미산고만은 등장하지 않는다.

  • 헬곤자
전작에도 등장한 스내치단의 보스. 섀도에게 버려진 이후로 복수를 노리고 있다. 얏치노가 뺏어온 스내치 머신을 장착하려고 하지만 팔이 굵어서 들어가지 않아 쓰지를 못한다. 스내치 머신을 찾기 위해 찾아온 주인공과 싸우게 되고 패배한 헬곤자는 스내치 머신을 돌려준다. 그 이후로 주인공을 도와주는 역으로 등장하며 스토리 이후에는 부하 세 명과 함께 오레 콜로세움으로 무사수행을 떠나게 되어 콜로세움에서 싸워 볼 수 있는 트레이너로 등장한다. 그와 싸워서 이기면 "스내치단 명예단원"의 칭호를 얻는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파괴광선을 배울 수 있는 포켓몬이라면 반드시 파괴광선을 채용하는데 이로 인해 기술 배치에 실수가 생겨 아지트에서 싸울 때 나오는 무장조에게 파괴광선이 들어가 있는 오류가 있다. 오레 콜로세움에서 등장 할 때는 정상적으로 파괴광선을 배우지 않고 있다.


2.4. 섀도[편집]


전작과 마찬가지로 세계정복을 노리고 있는 조직. XD001 다크 루기아를 만들어내며 리라이브가 불가능한 다크 포켓몬을 만들어 세계를 정복하려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니켈다크 섬에서 조직의 진정한 리더인 데스고르드가 패배하고 본인은 경찰에 자수하여 조직 자체가 와해되고, 마지막으로 다크 망나뇽을 가지고 도주한 미라보도 잡아내어 다크 포켓몬의 위협을 완전히 뿌리 뽑는다.
  • 러브리나
섀도의 간부이며 과학자. XD001 다크 루기아를 만든 장본이다. 귀여운 외형과 달리 냉혹한 성격으로 보이며 부하들을 혹사시킨다는 묘사가 있다. 스토리 클리어 후에 오레 콜로세움에서 그녀와 싸워서 이기면 "러브리나 팬클럽 1호"의 칭호를 얻는다.
  • 와즐
섀도의 간부. 데스고르드로부터 오레 지방의 장관 자리를 약속 받아 간부로 활동하고 있다. 자신의 경력에 대해서 화려하다고 말하고 있지만 과거에 대한 언급은 전혀 없다. 스토리 클리어 후에 오레 콜로세움에서 그와 싸워서 이기면 여전히 오레 지방의 장관 자리를 목표로 하고 있다는 이야기를 들을 수 있다.
  • 고리간
섀도의 간부이며 비밀 공장의 책임자다. 자신의 뜻대로 되지 않으면 바로 성질을 부리는 성급한 성격으로 그로 인해 비밀공장을 폭발시키려 했으나 데스고르드에게 저지된다. 스토리 클리어 후에 오레 콜로세움에서 그와 싸워서 이기면 주인공을 자신의 친구라고 인정하는 발언을 한다.
  • 알도스
섀도의 간부이며 데스고르드의 아들로 엘데스의 형이다. 전체적인 외형으로 봤을 때 중년 정도의 나이로 보이는 인물이다. 목적을 위해서라면 수단을 가리지 않으며 호전적인 성격. 대부호 메챠릿치의 측근으로 아이오포트에서 처음으로 만나게 된다. 본인의 포켓몬인 후딘으로 주인공 일행을 도와주지만 그 이유는 도움이 아닌 섀도의 계획이 들통나지 않도록 사람들 앞에서 다크 포켓몬을 함부러 사용한 것에 대한 벌이었다. 데스고르드가 패배한 이후로 그에게 니켈다크 섬을 폭발시키고 도망가자는 제안을 하며 다크 포켓몬 계획의 데이터와 부하들이 말려들 것을 걱정하는 데스고르드에게 그런건 자신들이 살아있으면 언제든지 보충 할 수 있다고 말하는 냉혹한 태도를 보인다. 그러나 동생인 엘데스가 나타나 자폭을 저지하고 데스고르드가 자수를 선택하자 말 없이 그 자리를 떠난다. 스토리 클리어 후에 오레 콜로세움에서 그와 싸워서 이기면 주인공을 "섀도 최대의 적"이라고 칭한다.
  • 엘데스
섀도의 간부이며 데스고르드의 아들로 알도스의 동생이다. 형과 마찬가지로 중년 정도의 나이로 보이는 인물로 젊은 시절에는 배틀산에서 수련을 할 정도로 강한 트레이너였다고 한다. 그는 그 당시에 자신의 포켓몬에게 고생만 시키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하였다고 말한다. 대부호 메챠릿치의 측근으로 아이오포트에서 처음으로 만나게 된다. 니켈다크 섬에 다시 만나게 되었을 때는 주인공과 싸울 생각이 없었는지 말로 설득해서 돌려보내려 했지만 결국 싸우게 된다. 데스고르드가 패배한 이후로 니켈다크 섬을 폭발시키고 도망가자는 알도스에게 모두를 희생하고 자신만 살자고 하는건 부끄럽다고 말하며 섀도가 살아남는 것 만이 자신들이 가장 우선시 해야 할 사명이라는 알도스의 말에 섀도에게는 아무것도 남지 않았다고 말한다. 그리고 데스고르드를 아버지라 부르며 진심어린 설득을 하여 자수를 권하며 니켈다크 섬의 자폭을 저지한다. 스토리 클리어 후에 오레 콜로세움에서 그와 싸워서 이기면 주인공을 "최대의 라이벌"로 인정한다.
  • 데스고르드
섀도의 진정한 보스. 와루닥은 그저 표면상의 보스에 지나지 않았다. 알도스와 엘데스는 그의 아들들이다. 처음에는 대부호 메챠릿치로 등장하며 섀도 비밀공장에서 고리간이 패배하고 나서 정체를 드러낸다. 와즐에게 오레 지방의 장관 자리를 약속했다는 이야기를 보아 그의 권력은 오레지방 내에서 상당히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사람을 끌어들이는 능력도 탁월해서 위장 신분인 메챠릿치의 추종자들이 많으며 신중하고 치밀한 모습도 있어서 조직 내에서 자신이 총수임을 숨기거나 와루닥의 실패를 교훈삼아 자신이 자신이 직접 오레지방을 돌며 눈으로 확인하면서 계획을 짜기도 한다. 최후에는 주인공에게 패배하고 알도스가 니켈다크 섬을 폭발시키자고 할 때 다크 포켓몬 계획의 데이터와 부하들이 말려들 것을 염려하며 망설인다. 알도스의 제안을 받아들여 니켈다크 섬을 폭발시키고 떠나려 하지만 엘데스의 설득을 받아들여 마음을 고쳐먹고 자수를 선택한다. 포켓몬 시리즈 전체를 통틀어 처음으로 "죽어라!!(死ねぃ!!)"라는 대사를 한 인물로 유명하다. 죽어라라는 폭언을 한 것과 별개로 패배시 용돈의 일부를 몰수하거나 하지 않으며 다시 도전하러 올때 몇번이고 오라는 말을 한다.

2.5. 그 외[편집]




3. 스타팅 포켓몬[편집]


포켓몬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133.png이브이


4. 등장하는 다크 포켓몬[편집]


여기에 있는 1세대 포켓몬은 찌리리공, 식스테일, 질퍽이, 레어코일, 골덕, 두트리오, 쁘사이저, 아쿠스타, 뿔카노/코뿌리 9종을 제외하면 루비/사파이어에서는 등장하지 않는다. 루비/사파이어 유저에게는 우선적으로 끌어와야 할 포켓몬들. 3세대 포켓몬은 파이어레드/리프그린에 등장하지 않으므로 이쪽으로 보내고, 식스테일, 쁘사이저, 아쿠스타는 파이어레드에, 골덕은 리프그린에 등장하지 않으므로 그쪽으로 보내자. 인물과 장소의 이름은 일본판을 기준으로 작성했다.

포켓몬장소보유 트레이너최우선 순위로 전송해야 할 작품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216.png깜지곰포켓몬 총합연구소냅스R, S, FR, LG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165.png레디바아이오 포트마고치R, S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261.png포챠나랜나FR, LG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228.png델빌섀도 랩모놀R, S, FR, LG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343.png오뚝군트릴FR, LG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363.png데굴레오지렐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179.png메리프테톨R, S, FR, LG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316.png꼴깍몬페탈FR, LG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273.png도토링헤킬S, FR, LG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167.png페이검키시린R, S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322.png둔타아유야FR, LG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285.png버섯꼬헤리코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318.png샤프니아히르가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301.png델케티러브리나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100.png찌리리공포켓스폿(동굴)미라보모든 작품 등장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296.png마크탕ONBS고르스FR, LG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037.png식스테일페레스FR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355.png해골몽사이암FR, LG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280.png랄토스폴스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303.png입치트다캇챠S, FR, LG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361.png눈꼬마페나스 시티
트레이너즈 트레이닝 센터
캐리스FR, LG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204.png피콘비모르R, S, FR, LG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177.png네이티로모시모든 작품 등장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315.png로젤리아시즈FR, LG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052.png나옹페세R, S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220.png꾸꾸리요린R, S, E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021.png깨비참페나스 스타디움아논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088.png질퍽이다그모든 작품 등장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086.png쥬쥬고완R, S, E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337.png루나톤와즐R, FR, LG, E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299.png코코파스변두리 스탠드[1]
파이라 콜로세움
랄가 콜로세움
포켓스폿
미라보FR, LG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335.png쟝고섀도 비밀공장잭스카S, FR, LG, E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046.png파라스니우리R, S, E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058.png가디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090.png셀러호슈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015.png독침붕리곤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017.png피죤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114.png덩쿠리타르그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012.png버터플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082.png레어코일와구치모든 작품 등장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049.png도나리오우다R, S, E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070.png우츠동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024.png아보크스구루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057.png성원숭고리간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097.png슬리퍼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055.png골덕니켈다크 섬바르코LG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302.png깜까미R, FR, LG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085.png두트리오안크라모든 작품 등장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020.png레트라R, S, E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083.png파오리러브리나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334.png파비코리FR, LG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115.png캥카푼토R, S, E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354.png다크펫FR, LG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126.png마그마쟈마R, S, FR, E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127.png쁘사이저FR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078.png날쌩마치스바R, S, E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219.png마그카르고모든 작품 등장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107.png홍수몬카르본R, S, E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106.png시라소몬페트로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108.png내루미레프루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123.png스라크프레아마R, S, LG, E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113.png럭키R, S, E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338.png솔록와즐S, FR, LG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121.png아쿠스타FR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277.png스왈로알도스FR, LG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125.png에레브R, S, LG, E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143.png잠만보R, S, E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062.png강챙이고리간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122.png마임맨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051.png닥트리오스트롱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310.png썬더볼트엘데스FR, LG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373.png보만다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105.png텅구리R, S, E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131.png라프라스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112.png코뿌리데스고르드모든 작품 등장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103.png나시R, S, E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128.png켄타로스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149.png망나뇽아이오 포트미라보


4.1. 전설의 포켓몬[편집]



강조한 기술은 3세대에서는 XD에서만 얻을 수 있는 특전기이다. 이 중에서 다음 세대에서 배울 수 있게 된 특전기는 각각 하나씩 있다.
  • 프리져: 9세대부터 배울 수 있는 흑안개
  • 썬더: 8세대부터 배울 수 있는 배턴터치
  • 파이어: 4세대부터 기술머신으로 배울 수 있는 도깨비불


4.2. 그 외[편집]


포켓몬입수조건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175.png토게피변두리 스탠드(町外れのスタンド / Outskirt Stand)에 있는 대니(ダニー / Hordel)에게 받는다. 이 토게피를 리라이브하면 트라이어택을 배운다.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239.png에레키드위에서 리라이브 시킨 토게피나 진화형인 토게틱을 대니에게 데려오면 교환으로 에레키드를 얻을 수 있는데 이 에레키드는 레벨업으로 배울 수 없는 기술들을 배우고 있다.[2] 일반적인 토게피와 토게틱을 데려와도 교환이 가능하지만 그럴 경우에는 레벨업으로 배우는 기술들을 익힌 에레키드를 받는다.


5. 포켓스폿에서 등장하는 포켓몬[편집]




6. 특전 포켓몬[편집]


포켓몬입수조건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152.png치코리타배틀산에서 100 연승을 하면 얻을 수 있다.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155.png브케인
파일:attachment/Pokemon_icon_158.png리아코


7. 뮤에게 가르칠 수 있는 기술들[편집]


배틀산에서 뮤에게 100가지 기술 중 4가지를 랜덤으로 배우게 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기술 가르침 항목 참고.

나이트헤드속여때리기속이다역할[3]전자포최면술...등을 포함한 총 100가지의 기술


8. 그 외[편집]


  • 전작과 달리 다크 포켓몬에는 이로치락이 걸려있기 때문에, 본 작품에서 입수 가능한 색이 다른 포켓몬은 그 외의 방법을 텅해 얻을 수 있는 모래두지, 주뱃, 이브이, 치코리타, 브케인, 리아코, 통통코, 우파, 단단지, 글라이거, 코코리, 에레키드, 애버라스, 비구술, 가보리, 요가랑, 톱치 17종 뿐이다.
  • '포켓몬 월드챔피언십 2014'에서 날따름을 배운 파치리스로 우승한 것으로 유명한 포켓몬 프로게이머 박세준은 그 전 해인 '포켓몬 월드챔피언십 2013'에 참가할 당시에는 이 게임에서 얻을 수 있는 날따름을 배운 마그마를 사용했었다. 당시 성적은 8강 탈락(5위). 후에 이 몬스터 때문에 박세준의 에딧몬 의혹이 일어났는데, XD의 주인공은 남자이므로 날따름 마그마의 어버이 정보는 여성 트레이너일수가 없다는 점으로 지적되었다. 참고로 처음으로 의혹을 제기한 사람은 에딧몬 프로그램 제작자라고 한다(...)

  • 마그카르고가 3세대 당시에 열풍이 교배기 데이터에는 있었는데 정작 같은 알 그룹인 부정형 그룹에 열풍을 배울 수 있는 포켓몬이 없어서 기술을 배울 수 없었다. 이 게임에서 리라이브 특전기로 배우면서 열풍이 처음 풀렸고, 이후 4세대 플라티나 버전에 와서야 기술 가르침으로 배울 수 있는 기술로 추가된다.


9. 관련 문서[편집]



[1] 등장은 하지만 스내치 머신을 탈취당한 상태라 스내치 할 수 없다.[2] 크로스촙, 냉동펀치, 불꽃펀치, 번개펀치를 익히고 있다. 이 기술들 중에서 크로스촙은 교배로, 냉동펀치와 불꽃펀치는 교배 혹은 에메랄드의 가르침 기술로 배운다.[3] 당시에는 XD 한정으로 배울 수 있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포켓몬스터/외전 문서의 r15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포켓몬스터/외전 문서의 r15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4 01:06:41에 나무위키 포켓몬 XD 어둠의 선풍 다크루기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