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9대 국회의원 선거/지역구 국회의원/서울특별시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제9대 국회의원 선거/지역구 국회의원


1. 개요
2. 선거 결과
2.1. 서울특별시 제1선거구 (종로구·중구)
2.2. 서울특별시 제2선거구 (동대문구)
2.3. 서울특별시 제3선거구 (성동구)
2.4. 서울특별시 제4선거구 (성북구)
2.5. 서울특별시 제5선거구 (서대문구)
2.6. 서울특별시 제6선거구 (마포구·용산구)
2.7. 서울특별시 제7선거구 (영등포구 갑)[a]
2.8. 서울특별시 제8선거구 (영등포구 을)[a]


1. 개요[편집]


항목제9대 국회의원 선거서울특별시 지역구 선거 결과를 정리하는 항목이다. 선거구는 가나다순이 아니라 지역 선거관리위원회가 설치된 순서로 한다. 이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서 쓰는 공식 발표법이기 때문이다.



2. 선거 결과[편집]



2.1. 서울특별시 제1선거구 (종로구·중구)[편집]


서울특별시 제1선거구
종로구·중구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장기영(張基榮)57,6071위

[[민주공화당|
파일:민주공화당_글씨만.png
]]
43.31%당선
2권중돈(權仲敦)13,7674위
[include(틀:신민당(1967년))]10.35%낙선
3정일형(鄭一亨)33,1832위

[[신민당(1967년)|
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
24.94%당선
4김홍일(金弘壹)28,4473위
[include(틀:민주통일당)]21.38%낙선
선거인 수190,197투표율
64.00%
투표 수136,289
무효표 수3,285

선거 벽보
[ 펼치기 · 접기 ]
파일:9대총선장기영.png
파일:권중돈 1973.jpg
파일:9대총선정일형.png
파일:민통당김홍일.jpg


[[민주공화당|
파일:민주공화당_글씨만.png
]]

[[신민당(1967년)|
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

파일:민주통일당.svg
장기영정일형김홍일
결과43.31%(당선)24.94%(당선)21.38%
종로구44.27%(1위)21.26%22.21%(2위)
중구41.60%(1위)31.45%(2위)19.92%

중선거구제로 처음 치러진 1973년 9대 총선에서는 한국일보 사장을 지낸 민주공화당장기영중구에서 7선을 한 신민당정일형이 당선되었다. 그러나 장기영은 심장마비로 별세했고, 정일형은 1976년 3.1 민주구국선언 사건에 연루되면서 의원직을 박탈당해 1977년 6월 10일 14년간의 중선거구제 기간 중 유일한 국회의원 보궐선거가 치러지게 되었다.

2.2. 서울특별시 제2선거구 (동대문구)[편집]


서울특별시 제2선거구
동대문구 일원[1]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강상욱(姜想郁)140,5521위

[[민주공화당|
파일:민주공화당_글씨만.png
]]
51.89%당선
2송원영(宋元英)76,2672위

[[신민당(1967년)|
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
28.15%당선
3유옥우(劉沃祐)23,6794위
[include(틀:신민당(1967년))]8.75%낙선
4장준하(張俊河)25,2703위
[include(틀:민주통일당)]9.33%낙선
5박기출(朴己出)5,0735위

[[무소속|
무소속
]]
1.87%낙선
선거인 수396,863투표율
76.10%
투표 수273,670
무효표 수2,829

선거 벽보
[ 펼치기 · 접기 ]
파일:강상욱9.jpg
파일:송원영9대.jpg
파일:유옥우9대.jpg
파일:장준하 2.jpg
파일:10대 총선 박기출.jpg

네임드 야권 후보들이 4 출마한 가운데 야권 표가 서로 갈라지면서 공화당의 강상욱 후보가 예상보다 많은 표를 얻고 여유롭게 당선되었다.

2.3. 서울특별시 제3선거구 (성동구)[편집]


서울특별시 제3선거구
성동구 일원[2]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민병기(閔丙岐)87,9461위

[[민주공화당|
파일:민주공화당_글씨만.png
]]
32.91%당선
2정운갑(鄭雲甲)75,0902위

[[신민당(1967년)|
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
28.10%당선
3홍영기(洪英基)29,8264위
[include(틀:신민당(1967년))]11.16%낙선
4양일동(梁一東)66,3723위
[include(틀:민주통일당)]24.84%낙선
5유성범(劉聖範)7,9425위

[[무소속|
무소속
]]
2.97%낙선
선거인 수441,695투표율
72.10%
투표 수270,908
무효표 수3,732

선거 벽보
[ 펼치기 · 접기 ]


[[민주공화당|
파일:민주공화당_글씨만.png
]]

[[신민당(1967년)|
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

파일:민주통일당.svg
민병기정운갑양일동
결과32.91%(당선)28.91%(당선)24.84%
성동구 갑34.57%(1위)19.76%28.23%(2위)
성동구 을30.40%(2위)40.17%(1위)19.17%

2.4. 서울특별시 제4선거구 (성북구)[편집]


서울특별시 제4선거구
성북구 일원[3]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정래혁(丁來赫)96,1862위

[[민주공화당|
파일:민주공화당_글씨만.png
]]
30.86%당선
2고흥문(高興門)100,4981위

[[신민당(1967년)|
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
32.24%당선
3서범석(徐範錫)79,1693위
[include(틀:신민당(1967년))]25.40%낙선
4이상돈(李相敦)26,1473위
[include(틀:민주통일당)]8.38%낙선
5이준구(李俊球)9,6785위

[[무소속|
무소속
]]
3.10%낙선
선거인 수532,514투표율
72.10%
투표 수315,132
무효표 수3,454

선거 벽보
[ 펼치기 · 접기 ]


[[민주공화당|
파일:민주공화당_글씨만.png
]]

[[신민당(1967년)|
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
정래혁고흥문서범석
결과30.86%(당선)32.24%(당선)25.40%
성북구 갑30.80%(1위)25.79%30.76%(2위)
성북구 을30.96%(2위)44.76%(1위)14.99%

2.5. 서울특별시 제5선거구 (서대문구)[편집]


서울특별시 제5선거구
서대문구 일원[4]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오유방(吳有邦)73,6772위
29.00%당선
2편용호(片鎔浩)40,8984위
16.10%낙선
3윤제술(尹濟述)50,3513위
19.82%낙선
4김재광(金在光)79,4801위
[include(틀:무소속)]31.29%당선
5유봉순(兪鳳淳)5,2515위
2.06%낙선
6최일휴(崔逸休)4,3456위
1.71%낙선
선거인 수435,395투표율
73.96%
투표 수259,401
무효표 수5,399

선거 벽보

오유방윤제술김재광
결과29.00%(당선)19.82%31.29%(당선)
서대문구 갑29.00%(2위)17.41%34.29%(1위)
서대문구 을29.01%(1위)24.57%24.99%(2위)

신민당이 유일하게 당선자를 배출하지 못한 선거구이다.

2.6. 서울특별시 제6선거구 (마포구·용산구)[편집]


서울특별시 제6선거구
마포구·용산구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장성환(張盛煥)56,8813위
26.66%낙선
2김원만(金元萬)67,1401위
[include(틀:신민당(1967년))]31.47%당선
3노승환(盧承煥)66,0312위
30.95%당선
4강근호(姜根鎬)23,2444위
[include(틀:민주통일당)]10.89%낙선
선거인 수356,976투표율
79.00%
투표 수215,829
무효표 수2,533

선거 벽보
[ 펼치기 · 접기 ]
파일:장성환9.jpg
파일:김원만 9대.jpg
파일:노승환9대.jpg
파일:강근호9.jpg

장성환김원만노승환
결과26.66%31.47%(당선)30.95%(당선)
마포구27.74%(2위)18.62%47.59%(1위)
용산구25.32%(2위)49.49%(1위)15.20%

신민당이 유일하게 복수 당선자를 배출한 선거구이다.

2.7. 서울특별시 제7선거구 (영등포구 갑)[a][편집]


서울특별시 제7선거구
영등포구 일부[5]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정희섭(鄭熙燮)53,9752위
25.48%당선
2김수한(金守漢)102,8751위
48.57%당선
3노병구(盧秉九)19,7424위
[include(틀:신민당(1967년))]9.32%낙선
4김선태(金善太)29,7933위
[include(틀:민주통일당)]14.06%낙선
5차만석(車萬錫)5,3865위
2.54%낙선
선거인 수376,397투표율
76.54%
투표 수213,818
무효표 수2,047

선거 벽보
[ 펼치기 · 접기 ]


2.8. 서울특별시 제8선거구 (영등포구 을)[a][편집]


서울특별시 제8선거구
영등포구 일부[6]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강병규(姜秉奎)71,9642위
35.12%당선
2김의택(金義澤)21,4654위
[include(틀:신민당(1967년))]10.47%낙선
3박한상(朴漢相)77,6211위
37.89%당선
4유청(柳靑)22,3653위
[include(틀:민주통일당)]10.91%낙선
5이진오(李鎭五)11,4365위
5.58%낙선
선거인 수325,459투표율
84.35%
투표 수209,201
무효표 수4,350

선거 벽보
[ 펼치기 · 접기 ]

[a] A B C D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통계시스템에는 소할 영등포구로 표기되어있다.[1] 지금의 동대문구, 중랑구 일원[2] 지금의 성동구, 광진구, 강남구, 송파구, 강동구 일원 + 서초구 일부[3] 지금의 성북구, 강북구, 도봉구, 노원구 일원[4] 지금의 은평구, 서대문구 일원 + 종로구, 마포구 일부[5] 상도1동,상도2동, 상도3동, 흑석동, 흑석1동, 흑석2동, 흑석3동, 노량진1동, 노량진2동, 봉천1동, 봉천2동, 봉천3동, 봉천4동, 사당1동, 사당2동, 잠원동, 서초동, 양재동, 신길1동, 신길2동, 신길3동, 신길4동, 대방1동, 대방2동, 신대방동, 신도림동, 신림1동, 신림2동, 신림3동[6] 영등포1동, 영등포2동, 영등포3동, 당산1동, 당산2동, 도림1동, 도림2동, 여의동, 문래1동, 문래2동, 양평1동, 양평2동, 가양동, 신정동, 화곡1동, 화곡본동, 염창동, 발산동, 공항동, 방화동, 과해동, 구로1동, 구로2동, 구로3동, 고척동, 개봉동, 오류동, 가리봉동, 시흥1동, 시흥2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