압뒬메지트 2세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초대
정통 칼리파
제2대
정통 칼리파
제3대
정통 칼리파
제4대
정통 칼리파
아부 바크르우마르우스만알리 이븐 아비 탈리브
제5대
정통 칼리파
1
제6대
우마이야 왕조
제7대
우마이야 왕조
제8대
우마이야 왕조
하산 이븐 알리무아위야 1세야지드 1세무아위야 2세
제9대
우마이야 왕조
제10대
우마이야 왕조
제11대
우마이야 왕조
제12대
우마이야 왕조
마르완 1세아브드 알 말리크왈리드 1세술라이만
제13대
우마이야 왕조
제14대
우마이야 왕조
제15대
우마이야 왕조
제16대
우마이야 왕조
우마르 2세야지드 2세히샴왈리드 2세
제17대
우마이야 왕조
제18대
우마이야 왕조
제19대
우마이야 왕조
제20대
아바스 왕조
야지드 3세이브라힘 이븐 알 왈리드마르완 2세아부 알 아바스
제21대
아바스 왕조
제22대
아바스 왕조
제23대
아바스 왕조
제24대
아바스 왕조
알 만수르알 마흐디알 하디하룬 알 라시드
제25대
아바스 왕조
제26대
아바스 왕조
제27대
아바스 왕조
제28대
아바스 왕조
알 아민알 마문알 무타심알 와시크
제29대
아바스 왕조
제30대
아바스 왕조
제31대
아바스 왕조
제32대
아바스 왕조
알 무타와킬알 문타시르알 무스타인알 무타즈
제33대
아바스 왕조
제34대
아바스 왕조
제35대
아바스 왕조
제36대
아바스 왕조
알 무흐타디알 무타미드알 무타디드알 무크타피
제37대
아바스 왕조
제38대
아바스 왕조
제39대
아바스 왕조
제40대
아바스 왕조
알 무크타디르알 카히르알 라디알 무타키
제41대
아바스 왕조
제42대
아바스 왕조
제43대
아바스 왕조
제44대
아바스 왕조
알 무스탁피알 무티알 타이알 카디르
제45대
아바스 왕조
제46대
아바스 왕조
제47대
아바스 왕조
제48대
아바스 왕조
알 카임알 무크타디알 무스타지르알 무스타르시드
제49대
아바스 왕조
제50대
아바스 왕조
제51대
아바스 왕조
제52대
아바스 왕조
알 라시드알 묵타피알 무스탄지드알 무스타디
제53대
아바스 왕조
제54대
아바스 왕조
제55대
아바스 왕조
제56대
아바스 왕조
알 나시르알 자히르알 무스탄시르 1세알 무스타심
제57대
아바스 왕조
제58대
아바스 왕조
제59대
아바스 왕조
제60대
아바스 왕조
알 무스탄시르 2세알 하킴 1세알 무스탁피 1세알 와시크 1세
제61대
아바스 왕조
제62대
아바스 왕조
제63대
아바스 왕조
제64대
아바스 왕조
알 하킴 2세알 무타디드 1세알 무타와킬 1세알 무스타심
제63대2
아바스 왕조
제65대
아바스 왕조
제64대2
아바스 왕조
제63대3
아바스 왕조
알 무타와킬 1세알 와시크 2세알 무스타심알 무타와킬 1세
제66대
아바스 왕조
제67대
아바스 왕조
제68대
아바스 왕조
제69대
아바스 왕조
알 무스타인알 무타디드 2세알 무스탁피 2세알 카임
제70대
아바스 왕조
제71대
아바스 왕조
제72대
아바스 왕조
제73대
아바스 왕조
알 무스탄지드알 무타와킬 2세알 무스탐식알 무타와킬 3세
제72대2
아바스 왕조
제73대2
아바스 왕조
제74대
오스만 왕조
제75대
오스만 왕조
알 무스탐식알 무타와킬 3세셀림 1세쉴레이만 1세
제76대
오스만 왕조
제77대
오스만 왕조
제78대
오스만 왕조
제79대
오스만 왕조
셀림 2세무라트 3세메흐메트 3세아흐메트 1세
제80대
오스만 왕조
제81대
오스만 왕조
제80대2
오스만 왕조
제82대
오스만 왕조
무스타파 1세오스만 2세무스타파 1세무라트 4세
제83대
오스만 왕조
제84대
오스만 왕조
제85대
오스만 왕조
제86대
오스만 왕조
이브라힘 1세메흐메트 4세쉴레이만 2세아흐메트 2세
제87대
오스만 왕조
제88대
오스만 왕조
제89대
오스만 왕조
제90대
오스만 왕조
무스타파 2세아흐메트 3세마흐무트 1세오스만 3세
제91대
오스만 왕조
제92대
오스만 왕조
제93대
오스만 왕조
제94대
오스만 왕조
무스타파 3세압뒬하미트 1세셀림 3세무스타파 4세
제95대
오스만 왕조
제96대
오스만 왕조
제97대
오스만 왕조
제98대
오스만 왕조
마흐무트 2세압뒬메지트 1세압뒬아지즈무라트 5세
제99대
오스만 왕조
제100대
오스만 왕조
제101대
오스만 왕조
제102대
오스만 왕조
압뒬하미트 2세메흐메트 5세메흐메트 6세압뒬메지트 2세
^^ 1 : 아부 바크르, 우마르, 우스만, 알리 등 이 4명만 정통 칼리파로 인정받지만 하산도 잠깐 동안이지만 칼리파 자리에 있었기 때문에 포함한다.





오스만 왕조 제30대 칼리파
압뒬메지트 2세
عبد المجيد ثانى
II. Abdülmecit
파일:압뒬메지트 2세.jpg
출생1868년 5월 29일
오스만 제국 코스탄티니예
(現 튀르키예 마르마라주 이스탄불도 이스탄불 광역시 베식타시구)
사망1944년 8월 23일 (향년 76세)
프랑스 파리
묘소사우디아라비아 메디나 바키 묘지
재위기간수니파칼리파
1922년 11월 19일 ~ 1924년 3월 3일
재임기간오스만오을루의 수장
1926년 5월 16일 ~ 1944년 8월 23일
아버지압뒬아지즈
어머니하이라느딜 카든에펜디 (출신: 압하스인)
자녀외메르 파루크 황자 등

1. 개요
2. 생애
3. 기타



1. 개요[편집]


이슬람교의 종파인 수니파의 마지막 보편 칼리파. 오스만 제국이 무너진 이후 튀르키예 공화국에서 파디샤가 아닌 칼리파로서 추대된 것이라, 군주로서 나라를 다스리지는 못했다.

2. 생애[편집]


오스만 제국의 26대 파디샤인 압뒬아지즈의 아들이며, 마지막 파디샤였던 메흐메트 6세 바히데틴이 즉위한 1918년에 후계자(Veliaht)로 임명되었다.[1] 바히데틴의 제위기간동안 협상국의 간섭 아래에 있는 이스탄불에 머물면서 튀르키예 독립전쟁을 이끌던 쿠와이 밀리예(Kuvâ-yi Milliye)와 접촉을 시도했는데 1920년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와 접촉해 지원을 하기도 했다. 훗날 그가 칼리파로 임명된 계기중 하나가 이때 튀르키예 대국민의회를 지지했기 때문이다. 그러다 메흐메트 6세의 명으로 체포되어 돌마바흐체 궁전에 연금되기도 했다.

1921년 2월, 아타튀르크가 파디샤직을 제안하자 그는 정중히 거절하는 서한을 보내고 대신 아들인 외메르 파룩 에펜디(Ömer Faruk efendi, 1898 ~ 1969)를 옹립하라며 앙카라로 보냈으나 이번에는 대국민의회가 옹립을 거절했다. 한편 튀르키예 대국민의회는 슬슬 오스만 제국을 대체할 신국가의 수립을 논하고 있었는데, 압뒬메지트 2세는 1921년 말에 이스탄불을 탈출해 앙카라로 들어가겠다고 대국민의회에 지원을 요청했으나 결국 상큼하게 거절을 먹었다. 메흐메트 6세 바히데틴이 퇴위하고 공화국 수립 이후인 1923년 11월 1일에 군주제 폐지가 의회에서 가결되자 압뒬메지트 2세는 오스만 제국 황제 계승권을 박탈당했다.

한편 1922년 메흐메트 6세가 몰타로 도주하고, 튀르키예 대국민의회가 메흐메트 6세를 조국을 배신한 죄(İhanet-i vataniyye)로 기소하자 대국민의회는 칼리파 선출 선거를 했는데 1922년 11월 19일에 이루어진 칼리파 선거에서 압뒬메지트 2세는 총원 162표중 148표의 다수지지로 칼리파로 선출되었다. 단 이것은 메흐메트 6세와는 무관한 튀르키예 대국민의회에서 임명한 것이므로 계승과는 무관했다.

동년 11월 24일, 튀르키예 대국민의회는 15명으로 구성된 사절단을 압뒬메지트 2세에게 보내 칼리파 선출을 통보했고, 예언자 무함마드가 입었던 신성한 외투(Hırka-i Şerif)를 톱카프 궁전에서 압뒬메지트 2세에게 양도하는 의식을 거행함으로써 칼리파 직에 올랐다. 특기할 사항이 있다면 이때 칼리파 즉위식에서 모든 예배와 낭독은 아랍어가 아닌 터키어로 이루어졌다는 점이다. 같은해 영국령 인도의 이슬람 성직자들의 위원회에서 압뒬메지트 2세의 칼리파직 취임을 승인했다

이때까지만 해도 튀르키예 대국민의회는 공화정세속주의에 협조적인 (비록 그 의도는 본인의 제위계승일지라도) 압뒬메지트 2세와 공생하며 특히 종교적인 영향력을 지원받을 수 있었기 때문에 서로 윈윈하는 관계였다. 하지만 1923년 10월 29일, 공화국 정부가 본격적으로 출범한 이후 둘의 관계는 금이 가기 시작했다.

일단 아타튀르크와 대국민의회는 칼리파직을 유지하는데 비용이 너무 많이 든다고 보았다. 압뒬메지트 2세와 칼리파 업무부서는 지속적으로 예산 증가를 요구하고 있었다. 또한 튀르키예 공화국과는 별개로 종교적 업무를 수행한다는 이유로 외국의 인사들을 대국민의회의 승인없이 받아들이는 것도 문제가 되었다. 1924년 2월 5일에서 20일 사이 이즈미르에서 튀르키예 대국민의회의 고위의원들이 이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만났고 같은 해 3월 1일부터 시작된 예산심의회의가 진행중인 3월 3일우르파 국회의원인 셰이흐 사페트 에펜디(Şeyh Saffet efendi)와 53명의 동조자들이 칼리파직 폐지를 발의했다.

칼리파직의 폐지와 오스만 가문의 튀르키예 공화국 영토 밖으로의 추방에 대한 법(Hilafetin İlgasına ve Hanedan-ı Osmaninin Türkiye Cumhuriyeti Memaliki Haricine Çıkarılması Hakkındaki Kanun) - 제431호법 -은 회의 참석자 158명 중 157명의 동의를 얻어 통과되었으며 이로써 오스만 황족들에 대해 추방령이 내려지고 압뒬메지트 2세 또한 칼리파직에서 퇴위되었다. 이후 그는 프랑스로 망명해 여생을 보내다가 1944년파리에서 사망하였다. 사망일을 보면 알겠지만, 말년 프랑스 파리 시절에도 나치 독일의 파리 점령과 자유 프랑스의 파리 해방까지 볼 정도로 끝까지 파란만장한 인생이었다. 그리고 1881년생인 케말 아타튀르크보다 13살이나 많으면서 아타튀르크보다 6년 후에 세상을 떠났다.

3. 기타[편집]



  • Hearts of Iron IV에서 Battle for the Bosphorus DLC가 있고 튀르키예[2]로 플레이한다면 오스만 복고 중점 루트를 통해 집권시킬 수 있다. 여담으로, 이스터에그를 통해 터키 공화국의 지도자로도 만들 수 있다. 오스만 복고 이후 계승법 변경 디시전으로 그의 딸이 뒤를 잇도록 할 수 있다.
Hearts of Iron IV의 유명 모드인 카이저라이히에서는 오스만 제국이 승전국인 만큼 칼리파직을 유지하고 있을 뿐 아니라 파디샤로 즉위한 상태다. 이후 중점이나 이벤트에 따라 오스만 4세아흐메트 4세에게 양위할 수도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8 05:37:25에 나무위키 압뒬메지트 2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가족관계는 메흐메트 6세의 아버지인 압뒬메지트 1세의 동생인 압뒬아지즈의 아들이 압뒬메지트 2세이므로 사촌이다.[2] 게임 내에서는 아직 터키로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