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민기(1980)

덤프버전 :

신민기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펼치기 · 접기 ]


파일: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 로고.svg
이영민 타격상 수상자(창설~2000년)
2001년 이후 수상자는 이쪽으로
[ 펼치기 · 접기 ]
#000000,#E5E5E5 ||<-2><tablewidth=100%><width=40%> ||<width=20%> {{{-2 1958}}} ||<width=20%> {{{-2 1959}}} ||<width=20%> {{{-2 1960}}} || ||<-2><rowbgcolor=#FFFFFF,#191919> [[이영민 타격상]] 제정 || [[김동주|{{{#000000,#E5E5E5 김동주}}}]][br]{{{-2 [[경남고등학교 야구부|{{{#000000,#E5E5E5 경남고}}}]]}}} || [[백인천|{{{#000000,#E5E5E5 백인천}}}]][br]{{{-2 [[경동고등학교 야구부|{{{#000000,#E5E5E5 경동고}}}]]}}} || [[최관수|{{{#000000,#E5E5E5 최관수}}}]][br]{{{-2 [[동산고등학교 야구부|{{{#000000,#E5E5E5 동산고}}}]]}}} || ||<width=20%> {{{-2 1961}}} ||<width=20%> {{{-2 1962}}} ||<width=20%> {{{-2 1963}}} ||<width=20%> {{{-2 1964}}} ||<width=20%> {{{-2 1965}}} || ||<rowbgcolor=#FFFFFF,#191919> [[조정일|{{{#000000,#E5E5E5 조정일}}}]][br]{{{-2 [[성동고등학교 야구부|{{{#000000,#E5E5E5 성동고}}}]]}}} || [[정인성|{{{#000000,#E5E5E5 정인성}}}]][br]{{{-2 [[살레시오고등학교|{{{#000000,#E5E5E5 살레시오고}}}]]}}} || [[이철화|{{{#000000,#E5E5E5 이철화}}}]][br]{{{-2 [[부산고등학교 야구부|{{{#000000,#E5E5E5 부산고}}}]]}}} || [[김영생|{{{#000000,#E5E5E5 김영생}}}]][br]{{{-2 [[대구상고 야구부|{{{#000000,#E5E5E5 대구상고}}}]]}}} || [[이광환|{{{#000000,#E5E5E5 이광환}}}]][br]{{{-2 [[중앙고등학교 야구부|{{{#000000,#E5E5E5 중앙고}}}]]}}} || ||<width=20%> {{{-2 1966}}} ||<width=20%> {{{-2 1967}}} ||<width=20%> {{{-2 1968}}} ||<width=20%> {{{-2 1969}}} ||<width=20%> {{{-2 1970}}} || ||<rowbgcolor=#FFFFFF,#191919> [[박용해|{{{#000000,#E5E5E5 박용해}}}]][br]{{{-2 [[대구상고 야구부|{{{#000000,#E5E5E5 대구상고}}}]]}}} || [[오영복|{{{#000000,#E5E5E5 오영복}}}]][br]{{{-2 [[대전고등학교 야구부|{{{#000000,#E5E5E5 대전고}}}]]}}} || [[김영신|{{{#000000,#E5E5E5 김영신}}}]][br]{{{-2 [[대구상고 야구부|{{{#000000,#E5E5E5 대구상고}}}]]}}} || [[전장헌|{{{#000000,#E5E5E5 전장헌}}}]][br]{{{-2 [[선린상고 야구부|{{{#000000,#E5E5E5 선린상고}}}]]}}} || [[신중국|{{{#000000,#E5E5E5 신중국}}}]][br]{{{-2 [[부산고등학교 야구부|{{{#000000,#E5E5E5 부산고}}}]]}}} || ||<width=20%> {{{-2 1971}}} ||<width=20%> {{{-2 1972}}} ||<width=20%> {{{-2 1973}}} ||<width=20%> {{{-2 1974}}} ||<width=20%> {{{-2 1975}}} || ||<rowbgcolor=#FFFFFF,#191919> [[정현발|{{{#000000,#E5E5E5 정현발}}}]][br]{{{-2 [[경북고등학교 야구부|{{{#000000,#E5E5E5 경북고}}}]]}}} || [[정순명|{{{#000000,#E5E5E5 정순명}}}]][br]{{{-2 [[충암고등학교 야구부|{{{#000000,#E5E5E5 충암고}}}]]}}} || [[김일권|{{{#000000,#E5E5E5 김일권}}}]][br]{{{-2 [[군산상고 야구부|{{{#000000,#E5E5E5 군산상고}}}]]}}} || [[박명선|{{{#000000,#E5E5E5 박명선}}}]][br]{{{-2 [[인천고등학교 야구부|{{{#000000,#E5E5E5 인천고}}}]]}}} || [[이효헌|{{{#000000,#E5E5E5 이효헌}}}]][br]{{{-2 [[용마고등학교 야구부|{{{#000000,#E5E5E5 마산상고}}}]]}}} || || {{{-2 1976}}} || {{{-2 1977}}} || {{{-2 1978}}} || {{{-2 1979}}} || {{{-2 1980}}} || ||<rowbgcolor=#FFFFFF,#191919> [[임정면|{{{#000000,#E5E5E5 임정면}}}]][br]{{{-2 [[용마고등학교 야구부|{{{#000000,#E5E5E5 마산상고}}}]]}}} || [[이만수|{{{#000000,#E5E5E5 이만수}}}]][br]{{{-2 [[대구상고 야구부|{{{#000000,#E5E5E5 대구상고}}}]]}}} || [[김남수|{{{#000000,#E5E5E5 김남수}}}]][br]{{{-2 [[신일고등학교 야구부|{{{#000000,#E5E5E5 신일고}}}]]}}} || [[김이수|{{{#000000,#E5E5E5 김이수}}}]][br]{{{-2 [[개성고등학교 야구부|{{{#000000,#E5E5E5 부산상고}}}]]}}} || [[김건우(1963)|{{{#000000,#E5E5E5 김건우}}}]][br]{{{-2 [[선린상고 야구부|{{{#000000,#E5E5E5 선린상고}}}]]}}} || || {{{-2 1981}}} || {{{-2 1982}}} || {{{-2 1983}}} || {{{-2 1984}}} || {{{-2 1985}}} || ||<rowbgcolor=#FFFFFF,#191919> [[구윤|{{{#000000,#E5E5E5 구윤}}}]][br]{{{-2 [[경북고등학교 야구부|{{{#000000,#E5E5E5 경북고}}}]]}}} || [[김성범|{{{#000000,#E5E5E5 김성범}}}]][br]{{{-2 [[포항제철고등학교 야구부|{{{#000000,#E5E5E5 포철공고}}}]]}}} || [[한경수|{{{#000000,#E5E5E5 한경수}}}]][br]{{{-2 [[군산상업고등학교 야구부|{{{#000000,#E5E5E5 군산상고}}}]]}}} || [[주은현|{{{#000000,#E5E5E5 주은현}}}]][br]{{{-2 [[광주제일고등학교 야구부|{{{#000000,#E5E5E5 광주일고}}}]]}}} || [[김경기|{{{#000000,#E5E5E5 김경기}}}]][br]{{{-2 [[인천고등학교 야구부|{{{#000000,#E5E5E5 인천고}}}]]}}} || || {{{-2 1986}}} || {{{-2 1987}}} || {{{-2 1988}}} || {{{-2 1989}}} || {{{-2 1990}}} || ||<rowbgcolor=#FFFFFF,#191919> [[김현철|{{{#000000,#E5E5E5 김현철}}}]][br]{{{-2 [[경북고등학교 야구부|{{{#000000,#E5E5E5 경북고}}}]]}}} || [[김훈|{{{#000000,#E5E5E5 김훈}}}]][br]{{{-2 [[부경고등학교 야구부|{{{#000000,#E5E5E5 경남상고}}}]]}}} || [[곽상선|{{{#000000,#E5E5E5 곽상선}}}]][br]{{{-2 [[군산상업고등학교 야구부|{{{#000000,#E5E5E5 군산상고}}}]]}}} || [[정진식(야구)|{{{#000000,#E5E5E5 정진식}}}]][br]{{{-2 [[경남고등학교 야구부|{{{#000000,#E5E5E5 경남고}}}]]}}} || [[강준기|{{{#000000,#E5E5E5 강준기}}}]][br]{{{-2 [[공주고등학교 야구부|{{{#000000,#E5E5E5 공주고}}}]]}}} || || {{{-2 1991}}} || {{{-2 1992}}} || {{{-2 1993}}} || {{{-2 1994}}} || {{{-2 1995}}} || ||<rowbgcolor=#FFFFFF,#191919> [[강혁(야구)|{{{#000000,#E5E5E5 강혁}}}]][br]{{{-2 [[신일고등학교 야구부|{{{#000000,#E5E5E5 신일고}}}]]}}} || [[노상진|{{{#000000,#E5E5E5 노상진}}}]][br]{{{-2 [[배명고등학교 야구부|{{{#000000,#E5E5E5 배명고}}}]]}}} || [[조현(1976)|{{{#000000,#E5E5E5 조현}}}]][br]{{{-2 [[신일고등학교 야구부|{{{#000000,#E5E5E5 신일고}}}]]}}} || [[김건덕|{{{#000000,#E5E5E5 김건덕}}}]][br]{{{-2 [[부경고등학교 야구부|{{{#000000,#E5E5E5 경남상고}}}]]}}} || [[박현철|{{{#000000,#E5E5E5 박현철}}}]][br]{{{-2 [[광주제일고등학교 야구부|{{{#000000,#E5E5E5 광주일고}}}]]}}} || || {{{-2 1996}}} || {{{-2 1997}}} || {{{-2 1998}}} || {{{-2 1999}}} || {{{-2 2000}}} || ||<rowbgcolor=#FFFFFF,#191919> [[박진형|{{{#000000,#E5E5E5 박진형}}}]][br]{{{-2 [[경동고등학교 야구부|{{{#000000,#E5E5E5 경동고}}}]]}}} ||<-2> [[신민기(1980)|{{{#000000,#E5E5E5 신민기}}}]][br]{{{-2 [[경남고등학교 야구부|{{{#000000,#E5E5E5 경남고}}}]]}}} || [[백정훈|{{{#000000,#E5E5E5 백정훈}}}]][br]{{{-2 [[광주동성고등학교 야구부|{{{#000000,#E5E5E5 광주상고}}}]]}}} || 수상자 없음 ||


한화 이글스 등번호 36번
가르시아
(2002)
신민기
(2003~2005)
오승택
(2007)
한화 이글스 등번호 00번
브리또
(2005)
신민기
(2006~2008)
신주영
(2011~2012)
한화 이글스 등번호 24번
고동진
(2005~2008)
신민기
(2009)
이상훈
(2010~2012)
{{{#ffffff [[롯데 자이언츠|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77번}}}
장재영
(2010~2014)
신민기
(2015~2019)
문규현
(2020~)

파일:신민기.png
신민기
辛旼起 | Min-Ki Shin
출생1980년 12월 11일 (43세)
부산광역시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학력하단초 - 대동중 - 경남고 - 한양대
포지션내야수
투타우투좌타
프로입단1999년 2차 3라운드 (전체 18번, 한화)
소속팀한화 이글스 (2003~2009)
지도자청주고등학교 야구부 코치 (2010)
양산원동중학교 야구부 코치 (2011~2013)
경북고등학교 야구부 코치 (2013~2014)
롯데 자이언츠 잔류군 수비코치 (2015~2016)
롯데 자이언츠 2군 작전코치 (2017)
롯데 자이언츠 2군 수비코치 (2018)
롯데 자이언츠 잔류군 수비코치 (2019)

1. 개요
2. 선수 경력
3. 지도자 경력
4. 연도별 성적
5. 여담
6.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롯데 자이언츠의 잔류군 수비코치다. 1980년 12월 11일 생. 현역 시절 포지션은 내야수이며, 우투좌타.


2. 선수 경력[편집]


아마 시절에는 대단한 선수였다. 경남고등학교 시절에 이영민 타격상을 2년 연속으로 받았었으니...[1]1999년 한화 이글스의 2차 3순위 지명을 받았고, 한양대학교를 졸업한 후 2003년에 입단했다.

그러나 프로에서는 주로 2군에 머물렀으며, 2003년 1군 21경기에 출장해 9푼 5리(21타수 2안타)를 기록한 게 전부였다.

이후 2004 프로야구 병역비리 사건에 연루되었는데, 다른 선수에게 브로커를 소개해준 죄까지 겹쳐 다른 선수들에 비해 다소 무거운 징역 10월을 선고받았다. 그리고 출소 후 공익근무를 하게 되어 상당기간 선수생활이 중단되었다.

2008년에 돌아왔는데, 나이가 많음에도 정작 프로에서 많이 뛰지 못했던 관계로 입단 5년차까지 주어지는 퓨처스 올스타전 참가 자격을 얻는 해프닝이 있었다.

어쨌거나 2003년 이후에는 1군에 올라오지 못했으며, 한화에서 베테랑들이 소리없이 사라지던 2009년, 결국 시즌 후 방출당하며 그의 선수 생활도 완전히 끝났다.


3. 지도자 경력[편집]


이후에는 양산 원동중학교의 야구부 코치를 맡으면서 근황이 알려졌다.

2014 시즌 후 코치진이 초토화된 롯데 자이언츠의 3군 수비코치로 부임했다. 2016 시즌 후에는 2군 작전코치로 보직 변경.

2019시즌 종료 후 재계약 불가 통보를 받았다.
2020 현재 웅상 베이스볼 아카데미 운영 중이다.


4. 연도별 성적[편집]


역대 기록
연도소속팀경기수타율안타2루타3루타홈런타점득점도루볼넷사구삼진출루율장타율OPS
2003한화21.0952000120007.095.095.191
20041군 기록 없음
2005
2006
2007
2008
2009
KBO 통산
(1시즌)
21.0952000120007.095.095.191


5. 여담[편집]


아버지인 신종세 씨는 부산 대동중학교 야구부 감독이던 당시 이대호의 은사로 알려져 있다.[2]


6. 관련 문서[편집]



[1] 신민기 외에는 이영민 타격상을 2년 연속으로 받은 선수가 없다.[2] 그리고 이대호의 언급에 따르면 당시에 감독이 이대호를 예뻐하자 감독의 아들이 2년 선배였는데 많이 질투하고 괴롭혔다고 한다 그 감독의 아들이 바로 이 사람이다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5 23:43:24에 나무위키 신민기(1980)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