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은시외버스공용정류장

덤프버전 :



보은시외버스공용정류장
Boeun Bus Terminal


정식 명칭보은시외버스공용정류장
영문 명칭Boeun Bus Terminal
터미널 코드409
행선지 표기보은
소재지충청북도 보은군 보은읍
삼산남로 10 (삼산리)
관련 전화번호
보은시외버스공용정류장 대표전화: 043-542-0160

1. 개요
2. 시외버스 노선
2.1. 수도권
2.2. 충청권
2.3. 영남권
2.4. 과거에 운행하던 노선
3. 시내버스



1. 개요[편집]


충청북도 보은군 보은읍에 소재한 버스 터미널이다. 2층 건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1층에는 CU 편의점농협 ATM, 약국이 있고 2층에는 의원과 커피점이 들어와있다. 터미널 안에 대합실이 있지만 매표소는 따로 없고 승차권자동발매기가 설치되어 있다. 이 곳에서도 사회복무연수센터로 가는 버스가 운행한다.[1]

원래 1999년까지 보은고속버스터미널이 별도 존재하고 속리산고속이 운행하던 서울 강남행 노선도 있었으나, 수요 부족으로 고속버스 업체들은 철수하고 고속버스터미널은 폐쇄, 철거하여 지금은 흔적도 없다. 그 이후 새서울고속이 보은시외발 서울 강남행 노선을 재개통하여 지금에 이르고 있다.


2. 시외버스 노선[편집]



2.1. 수도권[편집]


  • 동서울, 센트럴시티, 수원, 안산, 부천 행 노선은 속리산 출발 노선이며, 남서울 노선은 속리산 출발 혹은 상주 출발노선이다. 수원, 안산, 부천행의 경우 보은에서는 수원, 안산, 부천까지 발권이 가능하지만 역방향은 청주까지만 발권이 가능하다.

행선지경유지업체배차간격비고
동서울창리, 미원, 남청주, 사창, 청주서울고속1일 11회-
서울남부새서울고속1일 9회-
서울호남청주새서울고속1일 4회[2][3]
수원창리, 미원, 남청주, 사창, 청주새서울고속1일 1회-
안산1일 1회-
부천서울고속1일 1회-


2.2. 충청권[편집]


행선지경유지업체배차간격비고
청주창리, 미원, 남청주, 사창서울고속새서울고속20~60-
대전복합현리, 옥천, 신흥동서울고속충북리무진1일 16회-
속리산상판서울고속새서울고속충북리무진5~80-


2.3. 영남권[편집]


행선지경유지업체배차간격비고
상주장안, 관기, 적암, 평온, 화령, 낙서서울고속새서울고속1일 2회-
점촌장안, 적암, 평온, 화령, 낙서, 상주, 양정, 함창충북리무진1일 3회-

  • 코리아와이드 진안에서 1일 각 1회 운행했던 예천 경유 안동/영주 노선은 2017년 6월 7일에 폐지되었다.[4]

2.4. 과거에 운행하던 노선[편집]


점촌북부, 산양, 용궁역, 용궁, 개포, 16부대후문, 16부대정문, 가동, 예천, 감천, 유동, 장수, 영주, 신도청, 상리동, 풍산, 과학대, 안동


3. 시내버스[편집]


시외버스정류장 입구 옆에 택시승강장과 함께 시내버스정류장이 있다. 시간표도 써있고 버스가 출발하는 시간을 알려주는 기계가 있어 버스가 언제 출발하는지도 알 수 있다. 모든 보은군 농어촌버스 는 여기서 출발한다고 보면 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30 22:31:49에 나무위키 보은시외버스공용정류장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주 이용객은 충청도 지역에서 입, 퇴교하는 사회복무요원들. 이외에도 개별입교/귀가하는 일부 타지역 사회복무요원들도 볼 수 있다.[2] 창리, 미원, 남청주, 사창을 경유하지 않고 서산영덕고속도로로 운행하며 미원 경유보다 공식적으로 청주에 40분정도 빨리 간다. 운행시각은 07:45, 12:40, 14:40, 16:40 이니 참고하자.[3] 시외버스 전산망인 버스타고를 사용하므로 E-Pass 사용이 불가능해 수동으로 검표한다. 반대로 서울호남발 보은행은 E-Pass 사용이 가능하다.[4] 지금도 보은터미널에 가보면 그 노선들의 흔적을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