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고령화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하위문서.png   하위 문서: 대한민국/고령화/문제점




1. 개요
2. UN의 노인 비율에 따른 고령화 정도 분류
3. 대한민국의 고령화 현황
4.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UN은 65세 이상을 '노인' 으로 규정하고 노인 인구가 전체 인구 중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7% 이상이면 '고령화사회', 14% 이상이면 '고령사회', 20% 이상이면 '초고령사회' 로 분류한다. 대한민국이 2000년 고령화사회가 되었을 때 통계청은 대한민국의 고령사회는 2017년(전체 인구 대비 노인 인구 구성비는 14.3%), 초고령사회는 2025년(전체 인구 대비 노인 인구 구성비는 20.3%)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그렇지만 대한민국의 고령화가 예상보다 빠르게 진행되면서 통계청은 수정된 전망을 내놓을 수밖에 없었다.

2023년 기준 대한민국고령사회이다. 대한민국은 2017년 7월 고령화 사회에서 고령사회가 되었다. 2023년 5월 현재 18.4%이다. 현재 통계청은 대한민국의 초고령사회가 2024년 말~2025년 초반(전체 인구 대비 노인 인구 구성비는 20.0%)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한다. 게다가 미래에는 노인 비율이 극단적으로 증가해서 지금까지는 상상하지도 않았던 수준까지 많아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대한민국은 이런 극단적인 노인 비율의 상승으로 세계에서 고령화가 말 그대로 가장 많이 진행된 국가가 될 것으로 보이고 있어서 여러 가지로 난감해진 상황이다.

2020년 들어 베이비붐 세대가 고령층으로 진입하면서 고령 인구 비율이 급등하고 있다. 2019년 8월 15.2% 에서 2020년 3월 15.8%, 2021년 1월 16.4%, 2021년 3월 16.6%로 거의 한 달에 0.1씩, 일년에 거의 1%p씩 증가하고 있다. 2022년 9월 기준 17.8%, 2023년 5월 18.4%로 계속 급등 중이다. 앞으로도 이러한 증가 추세는 계속 이어갈 것으로 전망되며, 출산율이 앞으로도 좋아지지 않는다면 2040년 즈음에는 일본의 고령화율을 추월할 수도 있다.

대한민국의 고령복지 통계는 대한민국/고령복지에 나와 있다.

2. UN의 노인 비율에 따른 고령화 정도 분류[편집]


분류노인 비율
연소인구사회0% 이상 ~ 4% 미만
성숙인구사회4% 이상 ~ 7% 미만
고령화사회7% 이상 ~ 14% 미만
고령사회14% 이상 ~ 20% 미만
초고령사회20% 이상 ~ 100% 미만

3. 대한민국의 고령화 현황[편집]


시기노인 비율[1]
1960년2.9%
1970년3.1%
1980년3.8%
1990년5.1%
2000년7.2%
2010년10.8%
2020년15.7%
2030년26.7%
2040년39.4%
2050년50.7%
2060년55.3%

시기노인 인구전체 인구노인 비율
1990년2,195,000명42,869,000명5.1%
1995년2,657,000명45,093,000명5.9%
2000년3,395,000명47,008,000명7.2%
2005년4,337,000명48,185,000명9.0%
2010년5,354,000명49,554,000명10.8%
2015년6,530,000명51,015,000명12.8%
2020년8,108,000명51,829,023명15.7%
2025년10,522,000명51,710,000명20.3%
2030년12,971,000명49,840,000명25.5%
2035년14,466,000명47,620,000명31.7%
2040년17,250,000명45,291,000명34.4%


4.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2 13:01:45에 나무위키 대한민국/고령화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만 65세 이상이며, 2030년부터는 통계청의 저위 추계(가장 비관적 추계) 기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