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포역 (r1판)

편집일시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분당선에 있는 철도역에 대한 내용은 개포동역 문서
개포동역번 문단을
개포동역#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나무위키프로젝트.png
이 문서는 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 · 나무위키 대경권 프로젝트에서 다루는 문서입니다.
해당 프로젝트 문서를 방문하여 도움이 필요한 문서에 기여하여 주세요!



개포역


다국어 표기
영어Gaepo
한자開浦
중국어开浦
일본어ケポ
주소
경상북도 예천군 개포면 방터길 7-11
(舊 풍정리 189-5)
관리역 등급
보통역
(점촌역관리 / 코레일 경북본부)
일반철도
경북선 개업일1928년 11월 1일
무궁화호 영업개시일1984년 1월 1일
열차 거리표
경북선
개 포
↓ 여객열차 운행계통 보기 ↓

開浦驛 / Gaepo Station

1. 개요
2. 역 정보
3. 열차 운행 정보
4. 여객열차 운행계통


1. 개요[편집]


파일:attachment/개포역/Example.jpg
파일:20170318_144309.jpg

경북선철도역. 경상북도 예천군 개포면 방터길 7-11 (舊 풍정리 189-5번지)에 위치해 있다.

이 역은 열차운전시행규칙 제7조에 따른 1명 근무지정역이어서 역장 혼자서 근무했었다.


2. 역 정보[편집]


일부 무궁화호가 정차해서 여객영업을 보고 있지만 여객수요는 시망수준이다. 대부분의 이용객이 휴가를 '나가는' 공군 장병들이다. 나갈때는 마음대로 나갔지만 들어올때는 아니란다. 배차시간이 복귀시에는 절대 못타게 되어 있다. 하지만, 화물수송 업무에서는 굉장히 중요한 역. 1977년 10월 1일에 이 역에서 분기해 나가는 공군부대 전용선이 개통되었기 때문.

근처에 주둔중인 대한민국 공군 제16전투비행단(예천공항) 내부로 들어가는 유류 및 화물을 받고 있다. 따라서, 이 역 건물을 허가없이 멋대로 찍으면 코렁탕을 먹게 된다.

그야말로 살아있다는 게 신기한 역.[1] 공군 비행장이 망하거나 이전한다면 그런 일은 없겠지만 순식간에 폐역 신세가 될 것이다. 보통역 시절에는 열차 정차수도 더 적은 주제에 자기보다 이용률이 더 높은 용궁역을 휘하에 두는 일도 있었다.

분당선 개포동역은 이 역과의 역명중복을 피하기 위해서 개포역이 되었다.

2015년 12월 15일자로 보통역(운전간이역)에서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다. 또한 1명 근무지정역에서 해제되었고, 동시에 무인역이 되었다. 그래서 지금은 점촌역의 관리를 받고 있다.


3. 열차 운행 정보[편집]


2016년 1월 5일 기준
개포역 열차시간표
상행열차종류열차번호도착시간출발시간종착역비고
무궁화호#182622:3222:33영 주

하행열차종류열차번호도착시간출발시간종착역비고
무궁화호#182106:3806:39부 산

안습 하다


4. 여객열차 운행계통[편집]


급행여객열차
경북선 무궁화호
정동진 방면
예 천

11.7 km
개 포
6.4 km
부산 방면
용 궁



[1] 밤에 불 켜놓는 곳은 역무실뿐이다. 대합실이며 화장실도 평소엔 불을 꺼놓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