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르비아/경제

덤프버전 : (♥ 0)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세르비아

남유럽경제
이베리아 반도
ta-hash-start=w-460f2fb4575210f3ed6755d220161b0e[[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ta-hash-start=w-91aa9457862756fd05da015bda13887e[[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ta-hash-start=w-d27121d76ab795fd9d9dc8f355cbab34[[파일:안도라 국기.svg
안도라
이탈리아 반도
ta-hash-start=w-4cb9ba4164ae99072e5d7bb41b3ed178[[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ta-hash-start=w-c6ffbb81bb68aa19d2cc2ba1505fbf98[[파일:산마리노 국기.svg
산마리노
ta-hash-start=w-61c0f06df36ab44adf84a7fdad5f6b9e[[파일:바티칸 국기.svg
바티칸
ta-hash-start=w-ee136bb3e7c876f01863bb782b7a5377[[파일:몰타 국기.svg
몰타
그리스 · 튀르키예 · 키프로스
ta-hash-start=w-bc19a99ed9cd4ddd7a57e89d112c1ade[[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ta-hash-start=w-5fc72e0ec25a475df97961888efcd78a[[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ta-hash-start=w-058172f0764ed2bfad2c7aa7cb9ae15f[[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키프로스
ta-hash-start=w-eeaebbffb5d29ff62799637fc51adb7b[[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
북키프로스
발칸 반도
ta-hash-start=w-cbf0e1ab25a4adc693b9fd571c7be0e9[[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ta-hash-start=w-4f0e3dbb23a5d9a96eaa7d5ced36c4be[[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ta-hash-start=w-f13989c13ba269621a1b1135c3be3617[[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
ta-hash-start=w-e8579cb1f6e92f980e7161c98ccf165b[[파일:코소보 국기.svg
코소보
ta-hash-start=w-76a46febd7bd778ef507650bccb2c2b7[[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ta-hash-start=w-4b5355f08f0d25f1d2749af98089dae4[[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북마케도니아
ta-hash-start=w-47751950afeac8d6e92962c690667e0f[[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ta-hash-start=w-43d62713df20a658fa61ed5fb6c3040d[[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ta-hash-start=w-a6953af76df8ac424ed91eecfe6bf582[[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몬테네그로
ta-hash-start=w-1fc70aac8e37759c7bfdbe4facf03a3a[[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20px-Central_bank%2C_Belgrade%2C_Serbia.jp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48px-Location_Serbia_Europe.png

세르비아의 경제 정보[1]
인구6,871,547 명[2]2021년, 세계 106위
경제 규모(명목 GDP)604억 3,500만 달러(약 69조 원)2021년, 세계 86위[3]
경제 규모(PPP)1,195억 3,200만 달러(약 137조 원)2021년, 세계 85위[4]
1인당 명목 GDP8,748 달러2021년, 세계 96위[5]
1인당 PPP20,545 달러2021년, 세계 92위[6]
GDP 대비 공공부채 비율71.0%2017년[7]
실업12.8%2021년[8]

1. 개요
2. 산업 구조
3.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1992년 공산주의가 붕괴하자 이후 세르비아도 변화를 겪어 통제경제에서 시장경제체제로 전환하였다. 하지만 유고슬라비아 내전의 혼란 속에서 경제에 금이 가기 시작했고 여기에 UN 등 국제사회의 경제제재로 완전히 몰락하게 된다. 2003년에서 2004년 사이에 세르비아는 경제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여러가지 노력을 하였는데, 대표적인 것이 국유재산 민영화와 외자유치이다. 하지만 이 정책은 실패하였고 무역적자는 증가했다.[9]

알바니아와 몬테네그로, 북마케도니아, 세르비아 등 4개국이 단일 경제시장을 만드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부정부패로 인해 경제개발이 수월하지 않고 세르비아 마피아들과 연관된 부패 스캔들이 많다.

또한 미국의 일부 경제제재 등으로 경제 성장에 차질이 생기고 있다.

2. 산업 구조[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15px-Serbia_Export_Treemap.png
2012년 세르비아의 수출 구조, 초록색이 의류업, 파란색이 제조업, 노랑색이 농업, 흑색에 가까운 고동색은 석유-천연가스 관련 산업, 붉은색이 건설자재, 분홍색이 의료-약학-화학-플라스틱산업, 진한 갈색이 철강 등의 제철업, 연갈색은 식품업, 주황색에 가까운 갈색은 광산업, 회색은 기타 미분류이다. [10]

2009년을 기준으로 잡았을 때 세르비아의 산업구조는 아래와 같다.

1차 산업
광업, 농업13%

2차 산업
제조업, 건설업22%

3차 산업
서비스업65%


3.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13:27:25에 나무위키 세르비아/경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http://en.wikipedia.org/wiki/Serbia[2] http://en.wikipedia.org/wiki/List_of_countries_by_population[3] http://en.wikipedia.org/wiki/List_of_countries_by_GDP_(nominal)[4] http://en.wikipedia.org/wiki/List_of_countries_by_GDP_(PPP)[5] http://en.wikipedia.org/wiki/List_of_countries_by_GDP_(nominal)_per_capita[6] http://en.wikipedia.org/wiki/List_of_countries_by_GDP_(PPP)_per_capita[7] http://en.wikipedia.org/wiki/List_of_countries_by_public_debt[8] https://www.stat.gov.rs/en-US/aktuelni-pokazatelji[9] http://terms.naver.com/entry.nhn?cid=3290&docId=956396&mobile&categoryId=3290[10] http://en.wikipedia.org/wiki/Serbia#Econom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