몬테네그로/경제

덤프버전 : (♥ 0)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몬테네그로

남유럽경제
이베리아 반도
ta-hash-start=w-1c51f09a9987192ed2f77d0fab0de5cb[[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ta-hash-start=w-69f268fb2ba1068615b3219c6e8f57e8[[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ta-hash-start=w-da2bc1ee176b88e66b5b75b78cc2bde5[[파일:안도라 국기.svg
안도라
이탈리아 반도
ta-hash-start=w-61a7482816249b974fbab5b8b5eb9991[[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ta-hash-start=w-cd4ceef4ce8ea21d2b1c1cbcef118222[[파일:산마리노 국기.svg
산마리노
ta-hash-start=w-0d7bad81c85a71b3025966dfb22212ab[[파일:바티칸 국기.svg
바티칸
ta-hash-start=w-7eb34878362f67244415aaf134f35cbe[[파일:몰타 국기.svg
몰타
그리스 · 튀르키예 · 키프로스
ta-hash-start=w-015270782633c0b15af75b25322cad03[[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ta-hash-start=w-fe0181fa11124a8385473ce0f639460a[[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ta-hash-start=w-5669eb0ccfa4c6d23bf6d896ddd051ca[[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키프로스
ta-hash-start=w-37841383bc8c327de7912cf44790f3fd[[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
북키프로스
발칸 반도
ta-hash-start=w-fe9e9fb39106c162aa27251d737eedd2[[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ta-hash-start=w-c055ce3b723291d0188d508f4ef8e4f3[[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ta-hash-start=w-6753d0af0ed9251fcf72925c75a8d6c9[[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
ta-hash-start=w-4e958def9a0b3a552d766ed6488a14b5[[파일:코소보 국기.svg
코소보
ta-hash-start=w-1a47daf9eda54fb88c36fd23e6943915[[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ta-hash-start=w-192188b239173a6a0c88762b38d97f65[[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북마케도니아
ta-hash-start=w-07b6f0c87d1dc9f9ab8e8543b60a419a[[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ta-hash-start=w-01daa090f0d5693d97c90755a54fa204[[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ta-hash-start=w-de40ab56f135491a151137dacdbf5bd5[[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몬테네그로
ta-hash-start=w-4558dbb6f6f8bb2e16d03b85bde76e2c[[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20px-Perast.jp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00px-Europe-Montenegro.svg.png

몬테네그로의 경제 정보[1]
인구621,306 명[2]2020년, 세계 163위
경제 규모(명목 GDP)56억 5,100만 달러(약 6조 원)2021년, 세계 162위[3]
경제 규모(PPP)133억 1,300만 달러(약 15조 원)2021년, 세계 159위[4]
1인당 명목 GDP9,064 달러2021년, 세계 94위[5]
1인당 PPP21,355 달러2021년, 세계 87위[6]
GDP 대비 공공부채 비율45.83 %2011년[7]
실업14.7%2007년[8]
무디스 국가 신용등급Ba32011년, 13등급[9]

1. 개요
2. 국가 도메인
3. 관련 항목



1. 개요[편집]


경제적으로는 유럽에서는 비교적 낙후한 편이지만 아름다운 풍광을 비롯해 관광자원이 풍부하다. 실제로 사회주의 시기부터 여름 휴양지로 유명했다는 모양.

물가는 싼 편이나 유로를 사용하는 나라인지라 유로를 사용하지 않는 주변국인 세르비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알바니아, 북마케도니아보다는 물가가 비싸다고 한다.

알바니아와 몬테네그로, 북마케도니아, 세르비아 등 4개국이 단일 경제시장을 만드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2. 국가 도메인[편집]


.me라는 국가 도메인이 있는데, 이 이름이 기막히게 유용해서 (나(Me)를 뜻하는 단어이기 때문에) 개인 홈페이지 같은 개인소유 사이트에 써먹을 수 있다. 일단 법에 의하면 도메인의 길이는 3~63 글자들 정도가 돼야 하는데, 몇몇 사이트들은 이 룰을 지킬 필요가 없는 특권이 있다.

예를 들면, 워드프레스, 페이스북, 그리고 타임지 라든지. 네이버 블로그에서도 blog.me 도메인을 사서 (아이디).blog.me 도메인을 블로거들에게 지원했다가, 결국 해당 서비스를 중단했다.


3. 관련 항목[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8 07:57:41에 나무위키 몬테네그로/경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http://en.wikipedia.org/wiki/Montenegro[2] http://en.wikipedia.org/wiki/List_of_countries_by_population[3] http://en.wikipedia.org/wiki/List_of_countries_by_GDP_(nominal)[4] http://en.wikipedia.org/wiki/List_of_countries_by_GDP_(PPP)[5] http://en.wikipedia.org/wiki/List_of_countries_by_GDP_(nominal)_per_capita[6] http://en.wikipedia.org/wiki/List_of_countries_by_GDP_(PPP)_per_capita[7] http://en.wikipedia.org/wiki/List_of_countries_by_public_debt[8] http://en.wikipedia.org/wiki/Economy_of_Montenegro[9] http://en.wikipedia.org/wiki/List_of_countries_by_credit_ra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