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부광역철도

덤프버전 : (♥ 0)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김포~부천을 잇는 광역급행철도에 대한 내용은 서부권 광역급행철도 문서
서부권 광역급행철도번 문단을
서부권 광역급행철도#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원종~홍대를 잇는 광역철도에 대한 내용은 원종홍대선 문서
원종홍대선번 문단을
원종홍대선#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서부광역철도
西部廣域鐵道 | WESTERN Metro
파일:서부광역철도-로고.png
설립일2014년 12월 23일
대표자김명운
모회사IBK금융그룹[1]
주요 주주중소기업은행[2]: 62.02%
중소기업은행[3]: 27.98%
현대건설: 4.40%
대우건설: 2.85%
한화건설: 0.60%
태영건설: 0.40%
기타: 1.75%
기업 분류중소기업
상장 여부비상장기업
직원 수14명(2020년 12월 기준)
자본금1,337억 6,125만원(2020년 기준)
매출액64억 5,058만 3,000원(2020년 기준)
영업이익-6억 6,438만 7,502원(2020년 기준)
순이익-6억 4,129만 7,216원(2020년 기준)
자산총액9,546억 1,819만 8,273원(2020년 기준)
부채총액8,259억 8,785만 8,271원(2020년 기준)
운영 구간파일:Seohae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서해선[수행업무]
영업 거리23.4km
소재지본사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토당로 35 (능곡역, 통합유지관리사무소 4층)
콜센터 및 유실물센터
본사: 02-740-6908
초지역 유실물센터: 031-5183-2798

1. 개요
2. 역대 대표이사
3. 운영 노선



1. 개요[편집]


서해선 대곡역 ~ 소사역 구간(대곡소사선)의 사업 시행과[4] 철도시설관리 및 운영, 철도운전운행 업무를 향후 20년간 담당한다. IBK금융그룹[A]의 자회사로 중소기업은행[A]이 최대 주주이다. 따라서 서울북부고속도로와 방계회사이다. 과거에는 현대건설이 최대 주주로 현대자동차그룹의 자회사였으나, 중소기업은행에 대부분의 지분을 내어줬다.

2. 역대 대표이사[편집]


  • 초대 이영천 (2014~2016)
  • 2대 윤철수 (2016~2018)
  • 3대 박찬수 (2018)
  • 4대 신윤철 (2018~2022)
  • 5대 김명운 (2022~)
  • 6대 김창균 (2023~)

3. 운영 노선[편집]


  • 파일:Seohae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서해선[수행업무]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02:12:42에 나무위키 서부광역철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KIAMCO 대곡소사복선전철사모특별자산투자신탁제2호의 신탁업자[2] KIAMCO 대곡소사복선전철사모특별자산투자신탁제2호의 신탁업자[3] KIAMCO 대곡소사복선전철사모특별자산투자신탁제1호의 신탁업자[수행업무] A B 대곡~소사 사업 시행 업무[4] 본래 수도권 전철 서해선의 열차운행은 서부광역철도였으며 한국철도공사가 열차 운행과 유지보수를 위탁운영했었다. 2021년 5월 운영체계 개편으로 열차 운행과 유지보수 업무를 수행하지 않으며 대곡소사선의 사업 시행만을 담당한다. 참고로 대곡소사선의 역사 운영과 유지보수는 한국철도공사가 담당한다.[A] A B KIAMCO 대곡소사복선전철사모특별자산투자신탁제2호의 신탁업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