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란드 신화

덤프버전 : (♥ 0)







Suomalainen mytologia

1. 개요
2. 상세
3. 신화 속의 신
4. 영웅
5. 문헌
6. 외부 링크


1. 개요[편집]


핀란드신화.


2. 상세[편집]


19세기 초에 핀란드의 학자 엘리아스 뢴로트(Elias Lönnrot 1802-1884)는 핀란드의 고대 신과 영웅에 대한 민요를 수집하며 나라를 여행했다. 엘리아스 뢴로트는 이를 수집하여 하나의 연결된 서사 문학을 만들어 <칼레발라>[1]라는 제목을 붙이고 1835년 첫 출판했다. 칼레발라는 핀란드 신화를 최초로 자세하게 다룬 서적으로, 북유럽 신화에 비해 마니악했던 핀란드 신화가 어느 정도 알려지는 시초가 되었다. 칼레발라는 창조 설화와 영웅들의 위업을 주요 내용으로 하지만, 왕이 나타나 독립된 핀란드를 세우기를 고대하는 이야기로 끝난다.

대부분의 핀란드 신들은 핀란드의 자연 세계, 특히 밀림과 차가운 바다를 상징한다. 예를 들어 숲의 신 타피오는 가족이 모두 숲의 신이며, 사람들은 숲에서 사냥을 잘하기 위해 이 신을 숭배했다.

톨킨이 작품을 쓸 적에도 참고를 많이 했다. 핀란드의 신화의 현인 배이내뫼이넨은 간달프의 원조 격이고, 반지의 제왕 전 작품인 실마릴리온에서의 보석, 실마릴리온은 핀란드 신화에서 삼포가 그 역할을 한다. 엘프는 핀족을 참고해 만들기도 했다.

우랄어족이긴 하나 핀족 역시 최고신은 번개신 '우코'(Ukko)로 도끼를 든 형상으로 표상했다. 이 때문에 우코의 도끼날은 북유럽 신화의 묠니르처럼 부적으로 쓰이는 경우가 많았다. 한편 핀란드 신화의 악신으로 '페르켈레'(Perkele)라는 신격이 있는데, 언어학자들은 원시인도유럽 종교의 뇌신 페르쿠노스(*Perkwunos)가 원시 핀란드어에 들어와 남았다고 본다. 페르쿠노스는 리투아니아의 번개신 페르쿠나스(Perkūnas) 또는 슬라브의 번개신 페룬(Perun)의 전신 격이다. 일부 학자들은 우코의 본래 이름이 페르켈레라고 하며 동일한 신격이라고 주장하지만 반박도 많다. 그리스도교 도입 후에 성경을 번역하는 과정에서 페르켈레를 '사탄'의 번역어로 채택했기에, 나아가 영어의 fuck과 같은 욕설로 변했다.

에스토니아 신화가 핀란드 신화와 유사한 면이 많다.[2] 프리드리히 크로이츠발트(Friedrich R. Kreutzwald)가 채록한 '칼레비포에그'(칼레브의 아들) 이야기가 에스토니아의 국민 서사시인데, 핀란드의 칼레발라와 달리 세계적으로 유명세를 타진 못했다.


3. 신화 속의 신[편집]


  • 우코(Ukko): 천상의 신, 뇌신.
  • 일마타르(Ilmatar): 공기의 정령이자 배이내뫼이넨의 어머니
  • 아흐토(Ahti):바다의 신. 배우자는 벨라모(Vellamo)
  • 타피오(Tapio): 숲과 사냥의 신. 부인인 미엘리키(Mielikki)와의 사이에서 아들 니리키(Nyyrikki)와 딸 툴리키(Tellervo)를 낳았다.
  • 삼프사: 농업과 식물의 신
  • 운타모(Untamo): 잠의 정령
  • 칼마: 죽음의 의인화
  • 주말라(Jumala)
  • 로비아타르(Loviatar):질병의 신. 죽음의 신 투오니와 지하세계의 여왕 투오네타르 사이에서 태어난 딸이다.
  • 페이베타르와 쿠타르(Päivätär and Kuutar):태양과 달의 여신이다. 그들은 달의 금과 태양의 은을 소유하고, 금실과 은실을 짜고, 그것으로 옷을 짠다. 칼레발라에서 젊은 처녀들은 패이배테르와 쿠타르에게 금은으로 만든 보석과 옷을 달라고 부탁한다.
  • 쿠이파나(Kuippana)
  • Tuonetar
  • Tuoni
  • Rauni
  • Vammatar


4. 영웅[편집]





  • 쿨레르보


5. 문헌[편집]




6. 외부 링크[편집]


위키백과(영어) 핀란드 신화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4 20:46:18에 나무위키 핀란드 신화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핀란드어 원 발음은 깔레발라이다. 그렇지만 우리나라에서 영어판을 중역하여 정식발간되었을 때는 칼레발라로 출간.[2] 이는 지극히 당연한 소리이다. 핀란드인에스토니아인은 둘 다 우랄어족 핀우그르어파에 속하는 민족이다. 뿌리가 같은 만큼 신화도 비슷할 수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