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콜드 워/장비류/총기 개조

덤프버전 :




1. 개요
2. 옵틱(조준경)
3. 총구
3.1. 초크
4. 배럴(총열)
5. 하부 총열
6. 총신(사이트)
7. 스톡(개머리판)
8. 탄창
9. 그립



1. 개요[편집]


콜 오브 듀티: 워존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콜드 워에 등장하는 무기에 부착하는 총기부착물을 다루는 문서다.

전작 모던 리부트에서는 각 무기들과 부착물들을 전부 가상의 제조사가 만든 총기와 부착물이라는 설정으로 이름을 설정했지만 본작에선 별도의 제조사 명칭 없이 부품 이름만 서술해 전체적으로 두루뭉실하게 설정해놨다. 또한 전작과는 달리 패널티가 거의 없이 장점만 가진 부착물들이 많아서 좀 더 공격적으로 부착물을 착용하기가 편해졌으며 이에 따라 부착물은 꼭 쓰는게 좋다.

전작과 동일하게 총 8개 카테고리로 나뉘며 각 카테고리마다 1개씩 선택해 총 5개의 부착물을 적용할 수 있으며 건파이터 와일드카드 사용시 총 8개를 모두 장착할 수 있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각각의 무기에게 전용 부품이 존재하며 모던 리부트의 무기 설계도처럼 특정한 부착물과 스킨을 입힌 도안 무장을 쓸 수 있다.
커스텀 예시
블옵 콜드워 설계도 일람

기본적으로 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콜드 워의 장비이지만 정식 출시와 함께 콜 오브 듀티: 워존과 통합시켜버리는 패치를 진행함에 따라 워존에서도 모든 총기와 부착물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전작의 매커니즘을 따라가는 워존 특성상 부착물과 총기들의 성능이 콜드 워의 성능과 다르게 적용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총열과 총신(레이저 사이트)은 워존과 콜드 워 에서의 옵션 자체가 전혀 달라서 파츠 구성을 완전히 별개로 맞춰야 할 정도.

블랙 옵스 4에서 선보인 '마스터 크래프트' 요소가 이번작에서도 등장하게 되었다. 마스터 크래프트가 붙은 번들은 외관부터가 남다른 전용 스킨을 가지고 있고 전용 무기 살펴보기 모션을 지니고 있다. 또한, 전설 등급보다 더 높은 등급인 울트라 등급으로 나오며 이는 워존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시즌 2부터 역시 블랙 옵스 4에서 선보인 '반응형 도안'을 제공하는데 이 반응형 무기 도안은 킬 수에 따라서 스킨이 움직이는 이펙트 현상이 나타난다. 해당 도안이 적용된 무기는 한 매치 내에서 누적 킬수 3킬 이상 부터 추가 효과가 나타나기 시작하며 단계마다 스킨 이펙트가 점점 더 화려해진다. 최대 12킬까지 적용된다.
반응형 도안 적용시 1인칭 및 3인칭 모션 모음집

모던 워페어와 같은 타 설계도의 부착물 도안 섞어쓰기가 역시 시즌 2에서 추가되었다.[1] 모던 워페어와 달리 외형은 물론 색상마저도 전혀 바뀌지 않는 부착물들이 상당한 편이라 플레이어가 꾸밀 수 있는 개성은 약간 부족하다.


2. 옵틱(조준경)[편집]


무기의 조준경을 결정해준다. 전작과는 달리 조준 시간에 영향을 전혀 주지 않는다.[2][3] 시리즈 전통으로 고배율 조준경을 장착하게될 경우 사선에 있는 적에게 반사광이 비쳐서 위치가 노출된다. 기본적으로 모든 무기가 동일한 이름과 성능이지만 권총과 산탄총은 일부 저배율 조준경만 장착할 수 있고 기관단총은 SUSAT 콜드워 고배율 조준경을 끼게 되면 모던워페어 조준경 고배율의2배이상 더 확대된다. 워존에서는 현재 버그로 추정되는 사항으로 몇몇 콜드워 고배율 조준경이 전작과는 달리 반사광이 안 뜬다.

무기마다 기본으로 배정되어져 있는 기계식 조준기다. 조준경을 장착하지 않을 경우 기본으로 달려있는 것이지만 예외로 저격총은 기본으로 8배율 망원스코프가 달려있기에 따로 부품칸을 할애하여 조준경으로 달아줘야 하며 총기마다 모양이 조금씩 다르다. 움직이는 표적에 대한 추적기능이 향상되지만 저격총의 경우 이걸 단다고 해서 반사광이 없어지지는 않았으나 4.1일자 패치로 수정되었다.

  • 퀵닷 LED
가장 처음 해금되는 미국제 1.25배율 조준경. C-more사의 도트 사이트가 모티브다. 렌즈 크기가 굉장히 작은데 프레임이 매우 두꺼워 시야를 많이 가리는지라 사용률은 조금 낮은 편이나 오히려 시야가 분산되지 않아 상대를 좀 더 집중해서 맞출 수 있다는 점때문에 장점으로 받아들이는 유저도 있다.

  • 마이크로리플렉스 LED
Phantom이란 가상의 미국 제조사가 만든 도트 사이트로 퀵닷 LED와 같은 1.25배율이다. 모티브는 산탄총용 Noblex-Docter 퀵사이트에 슈어샷 도트 사이트, ADCO Solo sight의 외형을 섞은 형태인 전형적인 도트 사이트의 형상을 하고 있으며 퀵닷 LED와는 다르게 프레임도 얇고 시원시원한 렌즈 크기로 시야 확보에 매우 유리해서 사용률이 높은 편이다. 원조 모던 워페어 1편에서 캠페인 및 멀티에서 선택 가능한 부착물로 출현한 적이 있었고 오랜만에 본작에 귀환하였다.

  • 밀스톱 리플렉스
미국제 1.37배율 도트 사이트. 모티브는 이스라엘의 Elbit falcon 도트 사이트로 블옵1의 도트 사이트를 그대로 가져왔다. 다만, 권총에 붙는 밀스톱은 Tasco사의 도트 사이트를 기반으로 삼고 있다. 1.37 배율의 적당한 확대와 둥근 렌즈로 블랙옵스 1 시절과 똑같이 인기가 많은 사이트이다. 꽤나 초반에 해금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레티클을 따기에도 좋은 광학장비.

  • 코브라 레드 닷
소련제 1.75배율 도트 사이트, 전작 모던 리부트의 바이퍼 반사 조준경을 성능만 조절하여 그대로 가져왔다. 실물 역시 동일하게 러시아 액시온 사의 EKP 코브라.

  • 실릭스 홀로스카우트
홀로그램 1.75배율 도트 사이트. 시대상으로는 도저히 존재할 수 없을 물건이라는게 딱 느껴질 정도로 현대적인 외형을 지녔는데 모티브는 Steiner사의 CQT 도트 사이트동사의 DRS 1X로 이 둘은 전부 2019년에 공개되었다. 조준 시 시야가 묘하게 어둡고 선명하게 보이는 특이한 점이 있다. 때문에 교차로 같이 빛이 많이 들어오는 밝은 맵에서는 시야 확보가 상당히 어려운 다른 조준경과 달리 밝은 맵에서도 상당히 훌륭한 가시성을 보여준다.

  • 호크스무어
사각형의 1.37배율 도트 사이트. 동인광학의 기관총용 도트 사이트인 DCL110AD-3X트리지콘 MGRS 기관총용 도트 사이트의 외형을 섞고 크기를 줄여 Meprolight사의 Mepro-M5 도트 사이트와 비슷한 형태로 만들었다.

  • 다이아몬드백 리플렉스
소련제 1.37배율 원형 도트 사이트. 모티브는 러시아제 Rusak 도트 사이트다.

  • 비전테크 2x
미국제 2배율 조준경. 외형상으로는 캐나다제 C7 돌격소총에 자주 장착되는 엘칸 C79에 가까운 형태다. 초반에 해금 되는데도 2배율이라는 적절 그 자체의 시야를 확보해주고, 조준선도 별로 두껍지 않기 때문에 어느 총기에나 적절하기에 인기가 많으며 특히 DMR을 자주 사용하는 유저들에게 괜찮은 부속품.

  • 액시얼 암즈 3x
미국제 3배율 ACOG. 실제 모델은 베트남전 당시부터 미군 특수부대가 M16 소총에 위버 레일이나 전용 부착대를 사용해 얹어놓던 콜트 사의 3배율 스코프다. 기본 조준선과 디자인이 매우 깔끔해서 시야확보가 잘된다는 장점이 있다. 비전테크와 비슷하게 비교적 초반에 해금되는데다 DMR과 경기관총류와의 궁합이 상당히 좋기 때문에 인기가 많은 편.

  • 로열 & 크로스 4x
영국제 4배율 ACOG. 모던 리부트의 VLK 3배율 조준경과 흡사하게 생겼는데 모티브는 L1A1 SLR의 전용 망원조준경인 L2A2 SUIT(Sight Unit Infantry Trilux) 4배율 조준경이다.

오리지널 모던 워페어 시리즈에서 등장한 영국제 가변 망원조준경. 모든 주무기 군에 장착이 가능하다. PC판 기준 E키를 누르면 2배율과 4배율로 변경할 수 있다. 돌격소총과 기관단총은 이 이상의 배율을 장착할 수 없다.

  • 행맨 RF
전술소총, 저격총, 경기관총 전용 미제 6배율 망원조준경으로 거리측정 기능이 들어가있다. 조준선 상단에 표시되는 숫자로 조준점 기준의 목표와의 거리를 m단위로 표시해준다.

  • 벌처 커스텀 줌
전술소총, 저격총, 경기관총 전용 소련제 가변 조준경. PC판 기준 E/Y키와 Alt/H키를 눌러 1배율~10배율로 배율을 자유자재로 변경할 수 있다. 조준선 커스텀이 불가능하다.

  • 패스트포인트 리플렉스
SMG 전용 소련제 조준경, 전작 모던 리부트의 단렌즈 반사 조준경을 그대로 가져왔다. 모델링은 OKP-7

  • 스냅포인트
SMG 전용 소련제 1.5배율 반사경. 모티브는 러시아제 PK-122 도트 사이트.

  • 울트라줌 커스텀 줌
저격총 전용 소련제 가변조준경. 최대 배율이 무려 20배율로 가장 배율이 높은 조준경이다. 벌처 커스텀 줌과 동일하게 PC판 기준 E/Y키와 Alt/H키를 눌러 2배율~20배율로 자유자재로 변경할 수 있다.

  • AN/PVS-4 열화상/노흐 소바 열화상
기관단총, 권총, 산탄총에는 장착할 수 없는 2.3배율 2세대 야간투시경. 전자는 NATO제로 AN/PVS-4가 모델, 후자는 바르샤바 조약 무장 전용으로 모델은 1PN58 야시경이다. 모든 조준경 중 가장 마지막에 해금되는 조준경으로 이번 작 역시 심각한 색적 탓에 열화상 조준경이 많은 주목을 받고 있는데 하필이면 캠핑 유저들이 가장 애용하고 있으며 특히 경기관총과의 궁합이 어마무시한지라 거점에 누워서 경기관총을 들고 보이는 족족 쓸어버리는 캠핑 플레이를 장려시키는데 적지 않은 영향을 끼친 조준경. 다만, 전작의 열화상 조준경에 비해 2세대라 그런지 시야가 좀 불편하게 되있고 화질이 많이 구리다.[4] 게다가 최대 15배율까지 열화상 스코프를 지원하던 전작에 비해 꼴랑 2.3배율 고정이라 저격소총에 쓰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5] 또한 수중에서는 적군이 식별되지 않기 때문에 캠핑이 불가능하다. 전작과 비슷하게 아군의 연막을 뚫고 볼 수 있기 때문에 연막을 뿌리고 그 속에서 적을 일방적으로 공격하는 플레이도 가능하다. 단, 적의 연막탄까지도 무시하던 모던 리부트와는 다르게 본작에서는 적의 연막탄은 붉은색으로 가려진다.

  • 오테로 소형 리플렉스
권총 전용의 1.37배율 조준경. 액시얼 암즈 3x 조준경을 축소시켜놓은 외형이다.

3. 총구[편집]


총기의 안정성과 총구 화염을 결정해준다. 모든 총기에 장착 가능하지만 예외적으로 산탄총은 일부 총구 부품이 초크라는 부착물로 대체되어있다.

이번작의 보정기는 구경별로 분류되어져 있다. 각각 5.56, 7.62, .45 ACP, 9로 구분되며 수직 반동을 8~10% 줄여준다. 1911에 달리는 소음기는 Wilson Combat제 Multi-Comp Bushing Compensator가 모델이다.
  • 스태빌라이저
저격총 전용 보정기로, 총구 보정기와 마찬가지로 구경별로 분류되어져 .308과 .50 BMG와 20으로 나뉜다. 정조준 시 호흡에 의한 조준점 흔들림을 20% 줄여준다.

  • 서프레서/사운드 서프레서/폭음 조절기
여느 FPS게임에서나 볼 수 있는 흔한 소음기로 무기군마다 명칭이 따로 분류된다. 총구 화염과 발사음을 반감시켜주지만[좀비] 유효 사거리가 15% 감소한다.
서프레서: 돌격소총, 경기관총, 전술소총, 권총용, 돌격소총과 경기관총은 위의 성능 변화에다 탄속도 추가로 감소한다. 동구권 무기와 파라 83의 소음기 모델은 AK-47용 소음기 PBS-1다.
사운드 서프레서: 기관단총과 산탄총용. A-Tec A12 산탄총용 소음기가 모티브다.
폭음 조절기: 저격소총용.

워존에서는 성능이 약간 변경되는데 소음기 효과는 동일하지만 탄환속도, 조준사격 진입 속도가 빨라지는 대신 조준 안정이 감소하는 효과로 변경된다.

  • 소염기
모던 리부트에선 무기군 관계없이 장착할 수 있었지만 이번작에선 산탄총엔 장착할 수 없게 바뀌었다. 보정기와 마찬가지로 구경별로 분류되어졌다. 각각 5.56, 7.62, .45 ACP, 9로 분류되며 총구 화염을 90% 줄여준다.[좀비] NATO제 무기에 장착되는 모델은 끝이 좁아지는 형태인 M16의 구형 소염기인데 화염 분산 갯수가 3개가 아니라 4개로 잘못 모델링되어져 있다.

  • 인팬트리 컴펜세이터/스페츠나츠 컴펜세이터
전자는 NATO제, 후자는 바르샤바 조약 무장에만 달 수 있는 컴펜세이터로 총구 보정기의 강화판이다. 수직 반동을 대폭 감소시켜주지만 수평 반동이 약간 늘어난다.
  • 인팬트리 스태빌라이저
저격총 전용으로, 스태빌라이저의 강화판이다. 소염기와 마찬가지로 구경별로 분류되어져 .308과 .50 BMG로 나뉜다. 정조준 시 호흡에 의한 조준점 흔들림을 50% 감소시켜 상당히 안정적으로 만들어주지만 정조준 시간이 20% 늘어난다.

  • SOCOM 일리미네이터/KGB 일리미네이터
전자는 NATO제, 후자는 바르샤바 조약 무장에만 달 수 있는 총구. 총구 화염이 85% 줄어들고 수직 반동이 17% 감소하지만 수평 반동이 10% 증가하고 사격시 이동 속도가 10% 줄어든다.[좀비]
  • 태스크포스 덮개
저격총 전용 일리미네이터. 총구 화염이 85% 감소하고 정조준 시 호흡에 의한 흔들림을 40%줄여주지만 정조준 시간이 25% 늘어나고 사격 시 이동 속도가 40% 줄어든다.[좀비]

  • 에이전시 서프레서/GRU 서프레서
전자는 NATO제 무장 전용 소음기로 모델은 M16에 달리는 사이오닉스 2단 소음기, 후자는 바르샤바 조약 무장에만 장착할 수 있는 소음기로 모델은 AK-74용 소음기인 PBS-4다. 권총에 달리는 서프레서는 KAC의 45구경용 소음기가 모델이다.
소음기+보정기의 효과로 총구 화염과 수직 반동을 줄여주지만 유효 사거리가 25% 감소한다. 돌격소총과 경기관총은 탄속도 추가로 감소한다.

워존에서는 성능이 약간 변경되는데 모던 워페어의 일체식 서프레서와 비슷하게 기능하여 소음기효과에 유효 사거리와 탄속을 25%늘려주지만 조준 속도가 감소한다. [좀비]
  • 감싼 서프레서/에이전시 조절기(워존)
저격총 전용 에이전시 서프레서로 말그대로 가죽내지 천 재질로 감싼 소음기다. 소음기의 효과에 수직 반동 8%감소 및 정조준 시 호흡에 의한 조준점 흔들림을 25% 줄여주지만 정조준 시간이 20% 늘어나고 탄속이 25% 감소한다.[좀비]

워존에서는 모던 워페어의 일체식 서프레서와 비슷하게 기능하여 소음기 효과에 유효 사거리와 탄속과 조준 안정이 늘어나는 대신 조준 사격 진입 속도가 느려진다.


3.1. 초크[편집]


산탄총 전용 총구로 산탄총의 집탄율을 결정해준다.

  • 덕빌 초크
수평 산탄도를 50% 늘려줘 가로 방향으로 산탄이 뻗게 만들어 체감 명중률을 높여준다.

  • 플래시 콘 12게이지
산탄총 전용 소염기, 총구 화염을 90% 감소시켜준다.[좀비]

  • 인팬트리 V-초크
좌우 산탄각을 줄이기 위해 특이한 모양의 초크를 달아 정조준 시 V자로 튀어나온 총구를 볼 수 있다. 정조준 명중률이 증가한다.

  • SOCOM 블라스트 완화기
총구 화염이 사용자에게 향하지 않게 하는 방염 초크. 총구 화염을 85% 줄여주고[좀비] 정조준 명중률을 올려주지만 사격시 이동 속도가 15% 감소하고 전력 질주 후 사격 시간이 20% 느려진다.

  • 에이전시 초크
SilencerCo Salvo-12 산탄총용 소음기가 모델로 소음기 효과에 명중률 개선을 붙힌 강화판. 총구 화염과 발사음을 반감시키고[좀비] 지향사격 명중률 10% 증가에 정조준 명중률도 늘려주지만 전력 질주 후 사격 시간이 15% 감소하고 유효 사거리가 18% 감소한다. 지향사격 명중률을 올려주는 유일한 총구 부착물이라 빠르게 돌아다니면서 지향사격으로 적을 잡고다니는 샷건 유저들이 선호한다.


4. 배럴(총열)[편집]


총기의 사거리와 화력을 결정해주는 부품, 몇몇 총열은 사거리 대신 특정한 스탯을 향상시켜주는 것이 있다. 인치로 총열이 구분되며 각각의 무장마다 다른 총열이 제공되지만 이 문단에선 스탯이 증감되는 공통되는 부분만을 서술한다. 또한 일부 총열의 경우 워존에서 콜드워와는 전혀 다른 성능을 가지기도 한다.

  • 확장
흔히 볼 수 있는 일부 돌격소총과 경기관총을 제외한 모든 무기에 장착 가능한 연장총열. 효과는 심플하게 탄속을 소폭 늘려준다. 산탄총은 탄속 대신 유효 사거리를 늘려준다.

  • 컷 다운
경기관총 전용 단축 총열로, 사격 중 이동속도가 15% 늘어난다.

  • 캐벌리 랜서
전작들의 FMJ 포지션으로, 본작에서는 벽 관통에 관한 버프는 빠지고 오로지 적 장비에 입히는 데미지에만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모든 총기에 장착할 수 있는 중(重)총열로, 적 이동수단과 스코어스트릭 등 적의 장비에 입히는 피해를 대폭 늘려준다. 기본으로 장비에 대한 피해량을 100%증폭시켜주며 특히 저격소총의 경우 무려 500%나 늘려주기 때문에[6] 경기관총과 함께 가장 효과를 톡톡히 볼 수 있는 무기군이기도 하다. 이 두 무기군들이 실제로도 차량이나 항공 스코어스트릭을 상대하기에 매우 효율성이 좋다. 권총과 산탄총은 장비 피해량을 250%, 기관단총은 200%나 증가시켜주지만 애초에 이쪽은 특성상 대 장비용으로 쓸 일이 거의 없기 때문에 의미가 없다.[좀비B] 예외로 RPD의 경우 스페츠나츠 RPK라는 이름으로 등장하는데 후술할 태스크포스 배럴의 바르샤바 조약 무장 버전과 이름이 같기에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하자.
한편, 모던워페어 M4A1의 택 라이트 배럴과 같은 지뢰 취급을 받는데, 멋진 외형의 총열덮개를 지녔는데 하필이면 이 총열인 설계도가 은근히 많기 때문이다. 그나마 택라이트는 탄속만 조금 떨어지는 수준이라 참고 쓸만하지만, 이 총열은 모든 총기에 있는 것이 문제이다.

  • 강화 헤비/VDV 강화
경기관총을 제외한 모든 무기에 장착할 수 있는 연장 중(重)총열. 전자는 NATO제, 후자는 바르샤바 조약 무장 전용이다. 유효 사거리와 탄속을 동시에 늘려줘 교전거리를 끌어올려주지만 전력질주 속도가 4% 감소하고 정조준 중 이동속도가 줄어든다. 산탄총은 유효 사거리 12%와 연사력이 늘어난다.
워존에서는 통합 시즌4 패치와 함께 경기관총과 돌격소총의 총열 패치가 적용되면서 해당 무기군 한정으로 태스크포스 배럴과 함께 반동제어가 추가된 대신 기동력이 줄어드는 총열이 되었다.
강화 헤비 총열의 경기관총 전용 버전이지만 효과는 조금 다르다. 화력 10%와 사격 중 이동속도가 35% 늘어나는 대신 유효 사거리가 15% 짧아지고 수평 반동이 12% 늘어난다.

  • 초경량 / 컨투어
돌격소총과 저격총에 장착되는 단축 총열. 초경량은 좌우로 이동하는 옆걸음 속도가 5%, 조준 시 이동속도가 10% 늘어나고 컨투어는 옆걸음 속도가 10%, 조준 시 이동속도가 15% 늘어나는 대신 탄환 속도 25% 감소되는 패널티도 있다. 저격총은 옆걸음 속도가 20% 늘어나는 대신 탄속이 20% 느려진다. 헌데 옆걸음 속도 증가는 조준시 속도 증가 옵션의 하위호환 격이라 잉여옵션 취급을 받아 인기가 별로 좋지 못하다.이를 의식했는지 시즌 3부터는 조준 시 이동 속도 옵션이 추가되었다.

경기관총과 저격총, 전술소총을 제외한 모든 총기에 적용되는 강화 총열로 전자는 NATO제, 후자는 바르샤바 조약 무장 전용이다. 탄속이 2배로 빨라지지만 정조준 중 이동속도가 느려진다. 예외로 산탄총은 탄속 대신 유효 사거리가 30% 늘어나는 테이크다운의 포지션을 갖고있다.
  • 컴뱃 리콘
레인저 총열의 저격총 전용 버전. 탄속을 75% 늘려주는 대신 정조준 시 호흡에 의한 조준점 흔들림이 25% 늘어난다.
  • 크롬 라인
크롬 도금한 레인저 총열의 권총 전용 버전. 탄속이 100% 늘어나는 대신 정조준 중 이동속도가 25% 감소한다.

  • 속사
가스블록을 개조한 전술소총 전용 총열로 연사력이 늘어난다. 예외적으로 펠링턴 703을 제외한 저격 소총에도 존재하며 연사력 11% 증가가 적용된다.

  • 스트라이크 팀
전술소총 전용 강화 총열. 화력과, 연사력을 동시에 늘려줘 전투력을 끌어올려주지만 유효 사거리가 짧아지고 수평 반동이 늘어나서 명중률이 낮아진다.

전술소총 전용 개조 총열로 속사 총열의 강화판이다. 연사력을 대폭 늘려주는 대신 유효 사거리가 25% 짧아진다. 참고로 히든 스탯이 존재하는데 탄속 30% 증가도 적용되어 있다. 다만, 워존에서는 히든 스탯이 사라졌다.
  • 해머 포지드
산탄총 전용 개조 총열로 연사력이 늘어나지만 전력질주 속도가 5% 줄어든다. 예외로 LW3 툰드라에도 존재하며 이쪽은 연사력이 30% 늘어나지만 정조준 시 호흡에 의한 조준점 흔들림도 20% 늘어난다.
  • SOR 컷 다운/GRU 컷 다운
경기관총 전용 단축 총열로 컷 다운의 강화판이다. 후자는 RPD 전용이다. 사격 중 이동속도가 50% 늘어나지만 유효 사거리가 35% 짧아진다.

레인저 총열의 강화판인 이중 연장총열로 저격총을 제외한 무기군별로 제각기 다른 이름으로 적용되어있다. 유효 사거리가 150%로 대폭 늘어나지만 전력질주 속도가 5% 감소한다.
  • 라이플
질화 처리한 테이크다운 총열의 기관단총 전용 버전으로 효과는 테이크다운과 동일하지만 유효 사거리 버프 수치가 25%다.
  • 택 옵스
테이크다운 총열의 권총 전용 버전. 마찬가지로 효과는 동일하며 유효 사거리 버프 수치가 60%다.
  • 매치 그레이드
테이크다운 총열의 경기관총 및 전술소총 전용 버전. 마찬가지로 효과는 동일하며 버프 수치는 전술소총 100%, 경기관총 50%다.

  • 태스크포스/스페츠나츠 RPK
스트라이크 팀 총열의 상위호환이자 저격총을 제외한 모든 무기에 적용되는 강화 연장총열로 전자는 NATO제 무장을 포함한 대부분의 무장에 쓰이고 후자는 바르샤바 조약 무장 전용으로 쓰인다. 권총의 아킴보를 제외하면 살보/VDV 대용량 탄창과 함께 가장 최후반부에 열리는 부착물로 화력과 유효 사거리, 탄속을 모두 늘려 전투력을 확실하게 끌어올려주는 대신, 예비 탄창이 1개 줄어들고 수직/수평 반동이 늘어난다. 전술소총은 예비 탄창 갯수가 줄어들지 않으며 경기관총과 돌격소총은 장탄 수도 약간 줄어들고 산탄총은 화력만 대폭 향상시키는 대신 유효 사거리가 13% 줄어든다. 경기관총의 디비전 배럴, 전술소총의 스트라이크 팀 배럴과 함께 몇안되는 피해량을 올려주는 부착물이지만 일부를 제외하면 피해량이 올라가는 수치가 대부분 2~4밖에 안될 정도로 매우 미미한데 반동이 고인물 유저도 쉽게 체감이 될 정도로 심해지고 탄창이 1개 줄어버리는 페널티때문에 AR이나 SMG에 부착하기에는 부담이 크다.[7] 물론 헤드샷 BTK를 줄인다는 이점은 있긴 하나 늘어난 반동을 잘 잡고 헤드라인을 맞출 자신이 없는 유저라면 그냥 안 쓰는게 나은 부착물이다. 그래도 피해량을 올려준다는 점 때문에 좀비 모드에서는 많이 사용되고 특히, 산탄총의 경우 유효 사거리를 조금 희생하는 대신 화력이 대폭 늘어나서 원샷킬을 내기가 수월해지기 때문에 거의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경기관총용 태스크 포스 배럴은 반동 증가 패널티가 없으며 기본 예비 탄창수가 1개 감소하고 탄창 용량과 최대 탄약 소지수가 7% 감소하는 대신 대미지가 증가하고[8], 사거리가 100%, 탄속이 100% 증가한다. 패널티에 비해 보너스가 굉장히 후해서 경기관총을 사용할 때 거의 필수로 사용되는 배럴이다. 여담으로 RPD의 경우 스페츠나츠 RPK 총열이 캐벌리 랜서 총열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 총열의 성능을 가진 총열의 이름은 태스크포스 총열로 NATO제 무장의 그것과 동일하다.
워존에서는 통합 시즌 4패치와 함께 돌격소총과 경기관총의 총열 패치가 적용됨에 따라 해당 총기군 한정 강화 헤비(디비전) 총열과 함께 반동제어가 추가된 대신 기동력을 대폭 깎아먹는 콜드워와는 정반대의 성능을 보여주는 부착물이 되었다.
  • CMV 밀스펙
크리그 6, 그로자 전용 태스크포스 배럴로, 화력이 6% 증가하고 옆걸음 속도가 8% 빨라지며 조준 시 이동속도가 25% 빨라진다. 대신 예비 탄창 갯수가 줄어들고 유효 사거리가 40% 감소한다. 특이하게 돌격소총군임에도 반동 증가 패널티가 없고 조준 시 이동속도를 기관단총에 비견될 수준으로 늘려주지만 사거리 감소량이 무시 못할 수준이라는 것이 단점으로 지적된다. 사실상 돌격소총을 기관단총으로 바꿔버린다는 의미를 지닌 배럴. 중거리용 올라운더 소총인 크리그보다는 근접전용 소총인 그로자에 주로 사용된다.
  • 타이거 팀
태스크포스 배럴의 저격총 버전. 화력 20% 증가, 탄속 50% 증가, 유효 사거리 50% 증가가 적용되지만 장탄 수 20% 감소, 예비 탄약 갯수 20% 감소, 최대 장탄수 20% 감소의 패널티가 있다. 펠링턴 703은 예외로 해당 스탯에 추가로 재장전 시간이 14% 빨라진다. 본작의 저격총들이 원샷킬 범위가 매우 좁은 만큼 거의 필수로 장착되는 총열이며 특히 스위스 K31은 이 총열이 없으면 헤드샷 이외에는 원샷킬을 못 내기 때문에 반드시 장착해주어야 한다.
  • 시그마 스페셜
태스크포스 배럴의 ZRG 20mm 전용 버전. 화력 33%증가 탄속 50%증가가 적용되어있지만 연사 속도가 14%감소한다. ZRG 20mm에 이 총열을 장착할 경우 아무래도 느린 볼트 당기는 속도가 더 느려져서 쓰기 까다로워지지만 허벅지까지도 원샷킬이 날 정도로 절륜한 위력을 자랑하게 된다. 다만, 워존에서는 스탯이 완전히 뒤바뀌는데 탄속과 사격속도가 올라가는 대신 조준속도가 느려지는 패널티가 있는 부착물로 성능이 판이하게 바뀐다.

5. 하부 총열[편집]


총열 하단에 부착되는 전방 손잡이 부품으로 반동과 기동력을 결정한다. 콜 오브 듀티 4: 모던 워페어 시절부터 악명높았던 언더배럴 유탄발사기와 샷건이 드디어 없어져서 오직 손잡이 부착물만 존재하며 현대전 시리즈 중에서는 유일하다. 유탄발사기는 단일무기인 M79와 워 머신 뿐이며 워 머신은 스코어스트릭이고 M79는 보조무기에다 단발식이고 탄약도 적은지라 활용도가 확 줄었다. 산탄총과 권총을 제외한 전 무기군에 장착가능하다.

  • 전방 손잡이
돌격소총, 기관단총, 경기관총 전용 목재 또는 폴리머 수직 손잡이로 Kley-Zion사의 수직 손잡이LMT사의 에르고 그립의 외형을 섞었다. 수평 반동을 소폭 감소시켜준다.
  • 프론트 손잡이
전술소총과 저격소총 전용 폴리머 수직 손잡이 조합. 루마니아 AK인 AIM의 총열 보호대 일체식 전방 손잡이를 반으로 썬 모양새며 SR의 경우엔 장착 시 양각대가 펼쳐진다. 수평 반동을 소폭 줄여주며 저격총은 여기에다 수직 반동까지 줄여준다.

  • 정찰 손잡이
모든 무기에 달리며 전력 질주 속도가 소폭 증가한다. 기관단총의 경우 질주 후 사격 전환 시간도 소폭 감소한다. NATO제 무장은 FN 미니미의 그립, 바르샤바 조약 무장은 헝가리제 AK인 AKM-63의 전방 손잡이가 모티브다. 재질은 무기에 따라 폴리머/목재 중 하나가 결정된다.

  • 브루저 손잡이
Delrin제 수직 손잡이가 모티브로 백병전 속도가 빨라진다.[9] 재질은 무기에 따라 뭉특한 수직 손잡이/짧은 폴리머/목재 중 하나가 결정된다. 현재 워존에서 히든스텟으로 반동제어 효과가 강하게 붙어있는걸로 추측된다.
  • 레드 셀 전방 손잡이
SMG 전용 브루저 손잡이. 전력질주 속도가 5%, 백병전 공격이 30% 더 빨라지지만 이동속도, 정조준시 이동속도, 사격시 이동속도가 3%씩 감소한다.

  • 인필트레이터 손잡이
AR, TR, LMG, SR 전용 기동 손잡이. NATO제 무장은 XM148의 그립, 바르샤바 조약 무장은 BS-1의 그립이 모티브다. 이동 속도, 사격 중 이동 속도, 조준 중 이동 속도가 증가한다. 재질은 무기에 따라 폴리머/목재/베이클라이트 중 하나가 결정된다.

  • 현장 요원 전방 손잡이/스페츠나츠 손잡이
전자는 NATO, 후자는 바르샤바 조약군 주무기에만 사용 가능한 폴리머 수직 손잡이로 NATO제 무장은 FN FAL의 그립이 모티브다. 저격소총을 제외한 전 주무기군에 장착된다. 수직 반동 제어력과 수평 반동 제어력이 개선되지만 사격 중 이동 속도가 감소한다.
  • 바이포드
저격소총 전용 현장 요원 전방 손잡이. 착용시 양각대도 함께 펼쳐진다.[10] 수직 반동과 수평 반동을 크게 줄이지만 전력 질주 속도가 줄어든다.

  • SFOD 스피드그립/스페츠나츠 스피드그립
각각 NATO와 바르샤바 조약군 주무기에만 사용 가능한 폴리머 수직 손잡이. M16A1의 그립이 모티브다. 전력 질주 속도가 증가하고 수평 반동 제어력이 개선되지만 이동 속도, 사격 중 이동 속도, 조준 중 이동 속도가 감소한다. 예외적으로 MAC-10은 수직 반동 10%증가 옵션이 추가로 붙는다.


6. 총신(사이트)[편집]


모던 리부트의 레이저 사이트 역할을 하는 부착물로 3가지의 레이저 포인터 뿐이었던데서 플래시 라이트 등 종류가 대폭 늘어났다. 권총을 포함한 일부 총기는 총열 하부에 있는 레일에 그대로 부착되지만 그 이외의 무장은 측면 레일이나 총열 하단의 공간이 없어 강철 케이블 타이로 묶어 억지로(?) 부착시키는 식으로 장착된다. 또한 본작에서는 레이저와 스포트라이트가 기본적으로 적에게도 보이는 대신 보이는 범위가 줄어들어서 자세히 보는게 아니라면 눈치채기 어렵게 됐다.

워존 21.05.20 업데이트로 SR무기군의 총신 부착물의 워존에서의 성능이 크게 변화하였다. 단순히 버프 수치만 달라진게 아니라 아예 효과 자체가 완전히 다른 부착물이 된다.

  • 스테디 에임 레이저
다이오드식 레이저 사이트, 지향 사격 명중률이 늘어난다. NATO제 무장에 붙는 것은 인사이트 테크놀러지 AN/PAQ 4C 레이저 사이트가 모델이며 바르샤바 조약제 무장에 붙는 것은 현대식 레이저 포인터다.[11]
SR 무기군의 경우 워존에서는 조준 사격 진입 시간을 줄여주는 효과로 변경된다.

  • 거치형 플래시라이트
적의 닉네임이 보여지는 탐지 거리가 20% 늘어난다. Maglite사의 C-Cell 손전등이 모델인데 부착물 자체는 1981년에 나온 손전등이라 문제가 없지만 총열 옆에 장착하는 방식은 1990년대에야 가능했다는걸 고려하면 그것이 가능했던 시간선을 잘못 탔다는 결론 밖에 안 나온다.
워존에서는 이동속도와 조준 시 이동속도를 올려주는 효과로 변경된다.

  • SOF 타겟 표시기/KGB 타겟 표시기
정조준해야 작동하는 손전등으로 정조준시 적의 닉네임이 보여지는 표시 거리가 60%나 늘어나고 패널티도 없다. 전자는 NATO, 후자는 바르샤바 조약 무장만 사용 가능하다. 조준 운용이 주가 되는 저격총과 DMR에 적합하다.
SR 무기군의 경우 워존에서는 조준안정과 조준 시 이동속도를 올려주는 효과로 변경된다.

  • SWAT 5mW 레이저 사이트/GRU 5mW 레이저 사이트
스테디 에임 레이저의 강화판으로 지향 사격 명중률을 36~40%로 대폭 늘려주지만 조준 사격 진입 속도가 8% 감소한다. 전자는 NATO제 무장 전용으로 Steiner사의 OTAL(Offset Tactical Assault Laser) 레이저 사이트Steiner사의 DBAL 레이저 사이트의 외형을 섞은 모습이고 후자는 바르샤바 조약 무장만 사용 가능하다.
SR 무기군의 경우 워존에서는 조준 사격 진입 속도를 올려주는 효과로 변경된다.

  • 타이거 팀 스포트라이트
거치형 플래시라이트의 강화판으로 탐지 거리가 40% 늘어나지만 전력 질주 후 사격할 수 있는 시간이 10% 감소한다. 상대가 냉혈 특전을 사용하는 경우를 제외하면 웬만한 중장거리에서도 닉네임과 아이콘이 뜨기 때문에 가시성이 안 좋은 맵이나 상대 식별이 서투른 초보 유저들은 이 부착물을 사용하는것이 좋다.

  • 엠버 사이팅 포인트
Imatronic LS45 레이저 사이트가 모델이다. 5mW 레이저와 타이거 팀 스포트라이트를 합쳐놓은 성능으로 지향 사격 명중률과 적의 닉네임이 보여지는 탐지 거리를 모두 30%씩 늘려주지지만 전력 질주 후 사격할 수 있는 시간과 정조준 시간이 10% 감소한다. 전술소총과 경기관총에 적합하다. 기관단총의 경우 지향사격 명중률 버프수치가 25%다. 하지만 SR에 장착은 비추천인데, 왜냐하면 저격소총으로 근접에서의 명중은 고인물이 아닌 이상 힘들고, 차라리 위의 라이트를 장착하여 중거리에서의 선제공격 우위를 가지는 것이 낫다. 저격소총 밖에 못 쓰는 SR난투에서나 가끔 쓰는 편이다.



7. 스톡(개머리판)[편집]


무장의 반응 속도와 기동력을 결정시켜준다.

  • 전술 스톡
전통적인 고정식 개머리판, 정조준시 이동 속도가 빨라진다.

  • 와이어 스톡/CQB 스톡
전력 질주 후 사격 전환 시간이 10% 빨라진다. CQB 스톡은 펠링턴 703과 LW3 툰드라 전용으로 효과는 동일하다.

  • 더스터 패드/더스터 스톡
전자는 가죽으로 만든 칙 패드, 후자는 현대식 총기에 맞게 만든 긴 개머리판으로 슬라이딩 속도를 5% 빠르게 한다. 여담으로 캐벌리 랜서총열처럼 아무도 안 쓰는데 총기 설계도에 이 부착물이 은근히 많이 들어가 있어 똑같이 지뢰 취급을 받고 있다.

  • 스톡 제거/CQB 패드
전자는 개머리판을 아예 떼거나 접어버리고 후자는 충격 완화 받침을 장착한 불펍소총과 저격 소총 전용 부품이다. 전력 질주 후 사격 전환 시간이 30% 빨라지지만 지향 사격 명중률이 15% 감소한다. 산탄총은 전력 질주후 사격 전환 속도가 40% 빨라진다.

  • SAS 컴뱃 스톡/스페츠나츠 PKM 스톡
전자는 NATO 무장에 긴 개머리판에 민간 총기용 칙 패드를 단 모습이고 후자는 바르샤바 조약 무장에 PKM의 개머리판을 달았다. 사격시 이동 속도, 정조준시 이동 속도가 늘어나지만 지향 사격 명중률이 15% 감소한다.

  • 레이더 패드/레이더 스톡/KGB 패드/KGB스켈레탈 스톡
레이더 패드는 NATO 무장에 경량 칙 패드를 달은 형상이고 레이더 스톡은 경량 골조 개머리판으로 기동력을 가장 크게 끌어올려주는 스톡이다. KGB 패드는 64식 전용으로 반동 경감 칙 패드를 장착한다. KGB 스켈레탈 스톡은 바르샤바 조약 무장으로 접이식 골조 개머리판을 장착한다. 전력 질주 후 사격 시간을 30% 단축시키고 정조준시 이동 속도를 40% 더 빠르게 만들지만 지향 사격 명중률을 30% 감소시킨다. KGB패드는 64식 전용으로 반동 경감 칙 패드를 장착한다.
  • 마라톤 스톡
레이더 스톡의 일부 무기와 산탄총 전용 버전으로 밀라노 821, 펠링턴 703, LW3 툰드라는 전력 질주 후 사격 전환 시간이 30% 빨라지지만 지향 사격 명중률이 15% 감소하며 산탄총은 전력 질주 속도 5% 증가, 사격 중 이동속도 10% 증가, 전력 질주 후 사격할 수 있는 시간 25% 단축, 정조준시 이동속도 10% 증가, 지향 사격 명중률 20% 감소가 적용된다.

시리즈 전통으로 등장하는 부착물로 본작에서는 모던 리부트와 동일하게 권총 전용이지만 특전이라는 별도의 부착물로 사용하던 전작과는 달리 개머리판류를 대체하고 있다. 말그대로 쌍권총을 드는 부착물로 심플하게 양손에 무기 두개를 동시에 들고 쏘는 효과다. 무기가 2배로 늘어나기 때문에 지급 탄약 수도 2배로 늘어난다. 단, 화력이 2배가 되는 대신 지향사격만 가능하고 명중률이 감소한다는 단점이 있다. 모던 리부트에서는 2개를 동시에 장전해야되기에 재장전 속도가 느려지는 패널티도 있어 그나마 밸런스를 맞추고있었으나 본작에서는 아킴보를 들면 오히려 장전속도가 빨라지는 정신나간 성능을 가진데다 장전속도를 올려주는 탄창 부착물과 동시에 장착이 가능해서 전작 이상으로 보조무기군인 권총을 웬만한 주무기군이랑도 비빌수있게 만드는 밸런스 붕괴의 원흉으로 지적받는 부착물이다. 특히 디아마티 아킴보가 권총이라고는 믿을수없는 흉악한 화력으로 근접전을 씹어먹고 다니는 중이라 더더욱 욕을 먹고 있다.

8. 탄창[편집]


장탄수를 늘리고 재장전 속도를 빠르게 하는 등 지속전투력에 영향을 주는 부품이다. 그런데 워존에서는 몇몇 총기들의 장전 속도가 패스트 탄창을 끼든 일반 대용량 탄창을 끼든 똑같은 장전속도가 존재하는 총기들도 있다. 일부 돌격소총 탄창에는 탄종 변경 특성이 적용되어 피해량이 늘거나 줄어드는 경우가 있다.

  • n발 확장/드럼
평범한 확장탄창으로, 장탄수를 소폭 늘려주고 그에 따라 예비탄약수도 늘어나는 대신 재장전 시간이 10% 더 길어진다. 단, 하우어77는 재장전 시간이 그대로이며 스트리트 스위퍼의 경우 확장탄창이 2단계로 되있고 재장전시간도 그에 따라 대폭 늘어난다.

  • 정글식 탄창/테이프 탄창
퀵드로우 계열 탄창으로 돌격소총, 기관단총, 전술소총 전용. 2개의 탄창을 위아래로 테이프로 묶은 형상이다. 효과는 심플하게 재장전 시간을 소폭 감소시켜준다. 전자는 NATO, 후자는 바르샤바 조약 무장 전용이다.
  • 패스트 탄창
권총과 경기관총 전용으로 효과는 정글식/테이프 탄창과 동일하다. 예외적으로 밀리노 821, KSP45, 불프로그, LW3 툰드라, M82도 쓸 수 있다. 일반 탄창에 파라코드로 고리를 만들어 테이프로 붙힌 형상이다.

  • 스피드 탄창
산탄총을 제외한 모든 무장에 적용할 수 있는 확장탄창+빠른 재장전을 합친 탄창, 장탄수를 늘려주고 예비탄약수도 늘어나고 재장전 시간도 빨라져서 전투유지력을 대폭 끌어올려주는 대신 정조준 속도가 조금 많이 느려진다. 확장탄창에 파라코드로 고리를 만들어 테이프로 붙히거나 덕트 테이프를 감아놓은 형상이다.

  • STANAG/베이클라이트/스페츠나츠
대용량 확장탄창으로 NATO제 무장들은 STANAG 탄창[12], AK-47과 63식은 베이클라이트 탄창, 바르샤바 조약 무장들은 스페츠나츠 탄창이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 장탄수를 가장 크게 늘려주고 예비탄약수도 그에 따라 대폭 늘어나는 대신 재장전 시간이 조금 많이 느려지고 정조준 속도도 약간 느려진다. 특히 경기관총에 이 느려지는 단점들이 더욱 체감된다. 사용하려면 지향사격 부품들과 조합하여 람보식 지향사격 런앤건 플레이 스타일에 적합하다.


  • SAS 탄창 클램프/GRU 탄창 클램프
퀵드로우 계열의 탄창으로 재장전 시간을 대폭 줄여주고 예비탄창 1개 분의 탄약을 더 제공하지만 정조준 시간이 6% 느려진다. 전자는 NATO, 후자는 바르샤바 조약 무장 전용이다. 정글식/테이프 탄창에서 결합부위를 금속제로 강화한 형태이다.
  • 반달 스피드로더
권총, 기관단총(AKS-74u 제외), 경기관총 전용으로 패스트 탄창에서 고리 부분을 금속제로 강화한 형태다. 효과는 SAS/GRU 탄창 클램프와 동일하다. 경기관총은 재장전 시간 45% 단축, 예비탄창 1개 분의 탄약을 추가 지급하는 대신 이동 속도, 전력 질주 속도, 사격 중 이동속도, 정조준시 이동속도를 각각 5% 감소시킨다.

  • 살보 패스트 탄창/VDV 패스트 탄창
n발 스피드 탄창의 상위 호환이자 탄창 부착물의 끝판왕으로 STANAG탄창+SAS 탄창 클램프를 합친 최강의 성능을 자랑한다. 장탄수를 대폭 늘려주고 예비탄약수도 늘어나고 재장전 시간마저 빨라지는 대신 정조준 시간이 상당히 느려진다. 전자는 NATO, 후자는 바르샤바 조약 무장 전용이다. 일부 총기에는 성능이 조금 다른 다른 탄창들이 제공되기도 한다.



9. 그립[편집]


총기의 기동력이나 안정성을 올려주는 부착물로 본작에서 유일하게 정조준 속도를 올려주는 부착물이다.

  • 스피드 테이프
덕트 테이프로 그립을 둘둘 감은 형태로 정조준 시간을 10% 빠르게 한다.

  • 드롭샷 랩
천 밴드로 그립을 둘둘 감은 형태로 피격시 흔들림을 80%반감시키고 드롭샷[13]을 가능하게 해준다 단, 워존에서는 모던 워페어의 시스템을 따라감에 따라 콜드워의 무기도 드롭샷이 기본으로 가능하게 되어있어 드롭샷 기능이 조준 안정과 정조준 시간 단축으로 대체된다.

  • 야전 테이프
절연 테이프로 그립을 둘둘 감은 형태로 피격시 흔들림을 90% 줄여준다.

  • 서펜트 랩/서펜트 손잡이
절연 테이프를 그립에 두껍게 감은 형태로 정조준 시간이 25% 빨라지지만 전력 질주 후 사격 시간이 10% 느려진다.

  • SASR 정글 손잡이/스페츠나츠야전 손잡이
절연 테이프를 그립에 두껍게 감고 고무줄로 마감한 형태로 정조준 시간이 25% 빠르게 하고 피격시 흔들림을 80% 줄여주지만 전력 질주 시간이 12% 줄어든다. 전자는 NATO, 후자는 바르샤바 조약 무장만 가능하다.

  • 에어본 엘라스틱 랩/GRU 엘라스틱 랩
서펜트 랩+야전테이프+드롭샷 랩을 모두 합친 그립류의 끝판왕 부착물로 천 재질의 미끄럼 방지 그립. 정조준 시간이 대폭 빨라지고 피격시 흔들림이 90% 감소하고 드롭샷도 할 수 있지만 전력 질주 후 사격 시간이 15% 느려지고 사격 중 이동속도가 30% 느려진다.

[1] 단, 레벨 상 해금되지 않은 부착물의 경우 섞어쓰기는 불가능하고 해당 도안을 장착해야 사용할 수 있다.[2] 전작은 고배율일 수록 조준 속도가 느려졌다.[3] 그렇다고 전부 다가 아니다. 스탯상 페널티에 조준 시간이 적혀 있지 않으나 특별 성능을 가진 고배율일수록 조준 속도가 느려지는 히든 스탯이 존재한다.[4] 초대 프레데터의 열화상 화면이 모티브이기 때문에 조준선이 안 보이게 되었다.[5] M82는 제외. M82는 반대로 경기관총 이상의 끔찍한 시너지를 발휘한다.[좀비] A B C D E F G H I 좀비 모드에서의 총구 화염은 어차피 닥돌하는 좀비들에게는 의미없어 장비 드랍율을 올려주는 효과로 변경된다.[6] ZRG 20mm 제외.[좀비B] 좀비 모드에선 탑승물이 아예 없기 때문에 장갑 피해를 늘리는 걸로 변경된다.[7] 피해량은 거의 TTK를 줄인다기보단 TTK를 확립시킨다는 느낌이 강하다.[8] 증가량은 경기관총마다 다르다. RPD는 5%, 스토너는 8%, M60은 10%[9] 모던 워페어 리부트 빠른 백병전 특전의 효과지만 데미지가 늘어나서 원킬을 내는게 아니라 개머리판으로 후려치는 속도가 증가하게 된다.[10] LMG에도 양각대가 달려있긴 하지만 장식이다.[11] 시대상에 맞게 만들려면 슈어파이어 L70이나 슈어파이어 L75가 나와야 되지만 각각 1990년, 1991년에 나온 제품이라는 고증오류가 존재한다. 이는 5mw 레이저 사이트의 경우에도 마찬가지.[12] 예외로 불프로그도 사용가능하다.[13] 엎드리면서 정조준 유지. 본작에선 모던 리부트와는 달리 엎드리거나 슬라이딩의 무빙을 하면서 정조준을 유지하는 드롭샷이 기본으로 불가능하게 되어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436)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436)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1 01:30:31에 나무위키 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콜드 워/장비류/총기 개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