좁쌀소주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증류식 소주



파일:고소리술1.jpg
제주도의 고소리술

粟燒酒

1. 개요
2. 상세
3. 특징
4. 종류


1. 개요[편집]


좁쌀누룩을 재료로 사용해 빚은 술을 증류하여 만드는 증류식 소주의 한 종류.

2. 상세[편집]


좁쌀은 선사시대부터 전통적으로 한반도 각지에서 재배되었지만 그중에서 아예 좁쌀을 주식으로 삼으면서 좁쌀소주 문화가 보편적이었던 것은 바로 제주도였다. 흔히 고소리술이라고 널리 알려져있는 것이 좁쌀약주인 오메기술을 증류한 좁쌀소주에 해당된다.[1]

사람들이 흔히 하는 오해가 오메기술이나 고소리술이 한 종류라고 생각하는 것인데 사실 제주도는 집집마다 술을 빚는 양조방식이 달라서 그 맛도 다 달랐기 때문에 한 종류가 아닌 수많은 종류의 오메기술들이 있었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당연히 밑술인 오메기술의 맛이 다르면 증류주인 고소리술의 맛도 달라진다. 지금 민속주로 지정된 것들은 그중 가장 대표적으로 보이는 오메기술과 고소리술을 하나씩 고른 것일 뿐이다.

제주도 외의 지역에선 좁쌀농사가 활발했던 이북 지방과 강원도 산간 지역에서도 좁쌀을 원료로 사용한 소주들이 많이 제조되었는데 지금에 와서는 유의미하게 남아있는 종류가 거의 없다. 전통주의 수난기였던 근현대 시기에 밀주단속 등을 통해 대부분 사라져서 그렇다.

3. 특징[편집]


좁쌀이 들어가 있어 특유의 향과 크림같이 독특한 맛을 진하게 지니고 있다. 고도주의 특성상 술에 빨리 취하나 상대적으로 숙취는 적다.

일단 마시는 순간 입안에 포도·배와 같은 달콤한 과일향과 신선한 곡물향이 시원하고 부드럽게 퍼지는데 이런 특유의 향과 단맛이 술을 어느정도 부드럽게 만든다. 입 안에 향이 오래남고 목넘김은 깔끔한 편이다.

높은 도수를 부드럽게 해줄 수 있는 맑은 국물음식이나 기름기가 감돌면서도 담백한 맛을 가진 음식과 잘 어울린다. 특히 고등어회같이 기름기 많은 생선회와 잘 어울린다고 한다.

4. 종류[편집]


※ 국가에서 민속주로 지정한 전통주는 볼드체 강조 표시[2]
  • 고소리술(서귀포시) - 고소리술익는집에서 제조.
  • 고소리술(제주시) - 제주샘주에서 제조.
  • 좁쌀소주(해남군) - 해남의 향토주. 좁쌀소주곡이라는 전용 누룩을 사용한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7 07:18:14에 나무위키 좁쌀소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제주도의 자연환경 상 좁쌀이 재배하기 좋았다.[2] 국가무형문화재, 시도무형문화재, 식품명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