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암진 전투

최근 편집일시 :

임진왜란정유재란 전투 목록

[ 펼치기 · 접기 ]
임진왜란


음력
4월

부산진 전투[日] · 다대포진성 전투[日] · 동래성 전투[日] · 김해성 전투[日] · 경상도 방어선 · 상주 전투[日] · 충주 탄금대 전투[日] · 여주 전투[朝]

5월

한강 전투[日] · 기강 전투[朝] · 제1차 경상좌병영 탈환 전투[朝] · 옥포 해전[朝] · 합포 해전/적진포 해전[朝] · 해유령 전투[朝] · 임진강 전투[日] · 정암진 전투[朝] · 사천 해전[朝]

6월

당포 해전[朝] · 제1차 당항포 해전[朝] · 용인 전투[日] · 무계 전투[朝] · 율포 해전[朝] · 여주 전투[朝] · 제1차 평양성 전투[日]

7월

웅치 전투[日] · 안덕원 전투[朝] · 전주성 전투[朝] · 이치 전투[朝] · 한산도 대첩[朝] · 제1차 금산 전투[日] · 안골포 해전[朝] · 우척현 전투[朝] · 제2차 평양성 전투[日] · 삭녕 전투[日] · 해정창 전투[日] · 영천성 전투[朝] · 지례 전투[朝]

8월

제3차 평양성 전투[日] · 청주 전투[朝] · 제1차 경주 전투[日] · 제2차 금산 전투[日] · 영원산성 전투[日] · 장림포 해전[朝]

9월

부산포 해전[朝] · 연안성 전투[朝] · 제2차 경주 전투[朝] · 북관대첩[朝] · 노현 전투[日] · 창원성 전투[日]

10월

제1차 진주성 전투[朝]

12월

독성산성 전투[朝]
1593년

1월

· 수원 전투[朝] · 성주성 전투[朝] · 벽제관 전투[日]

2월

웅포 해전[朝] · 죽주, 상주 전투[朝] · 행주대첩[朝] · 노원평 전투[朝]
강화협상 · 휴전기
제2차 진주성 전투[日] · 송유진의 난 · 제2차 당항포 해전[朝] · 장문포 해전[朝] · 이몽학의 난 · 기문포 해전
정유재란
1597년

7월

칠천량 해전[日]

8월

고령 전투[朝] · 남원 전투[日] · 황석산성 전투[日] · 어란포 해전[朝]

9월

벽파진 해전[朝] · 직산 전투[明] · 명량 해전[朝] · 석주관 전투[日]

12월

사로병진책 · 제2차 경상좌병영 탈환 전투[朝][明] · 울산성 전투[日]
1598년

7월

절이도 해전[朝][明]

9월

사천성 전투[日] · 2차 울산성 전투 · 왜교성 전투[日]

11월

노량 해전[朝][明] · 남해왜성 소탕전[朝][明]
각주: [朝]: 조선군의 승리 / [日]: 일본군의 승리 / [明]: 명나라군의 승리



파일:조선군 좌독기_White.svg 임진왜란 조선 육군의 주요 승리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width=10%><rowbgcolor=#c00d45><tablebgcolor=#FFFFFF,#000000> 전투 ||<width=22.5%> 해유령 전투
(1592. 5. 16.)
||<width=22.5%> 정암진 전투
(1592. 5. 24.)
||<width=22.5%> 이치 전투
(1592. 7. 8.)
||<width=22.5%> 우척현 전투
(1592. 7. 10.)
||
||<bgcolor=#353535> 주장 || 신각 || 곽재우* || 권율 || 김면* ||
||<rowbgcolor=#c00d45> 전투 || 청주 전투
(1592. 8. 1.)
|| 북관 대첩
(1592. 9. 16. ~ )
|| 진주 대첩
(1592. 10. 6.)
|| 행주 대첩
(1593. 2. 12.)
||
||<bgcolor=#353535> 주장 || 영규* || 정문부* || 김시민 || 권율 ||
||<-5> * 의병장 ||




파일:곽재우의 정암진 전투 전쟁기념관, 한국문화정보원(공공누리).jpg

정암진 전투 기록화

정암진 전투
鼎巖津戰鬪

시기
1592년 7월 3일 (음력 5월 24일)
장소
조선 경상도 의령 남강 정암진
원인
일본군 6군의 전라도 진공(進攻).
교전국
조선 파일:조선 어기.svg
일본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920px-Goshichi_no_kiri_inverted.svg.png
지휘관
곽재우
안코쿠지 에케이
병력
의병 50여 명
선봉 2, 000여 명
피해
피해 규모 불명
거의 전멸함
결과
곽재우 의병의 승리, 6군 선봉대 패주.
영향
일본군 6군의 전라도 진공 포기.

1. 개요
2. 전투 전야
3. 전투
4. 결과 및 영향
5. 여담




1. 개요[편집]


곽재우가 일으킨 의병 50여 명이 일본군 6군의 선봉대를 정암진에서 매복해있다 기습하여 일본군 6군의 전라도 진출을 저지시킨 전투이다.


2. 전투 전야[편집]


임진왜란 발발 이후 조선은 일본군에게 당시 주요 곡창지대인 충청도, 경상도, 전라도(일명 하삼도) 중 전라도를 제외한 지역을 모두 빼앗긴 상황이었다. 그리하여 전라도조선에게 있어서 가장 중요했던 곳이었고 이에 일본군은 전라도를 점령키 위하여 6군을 의령으로 이동시킨다. 그러자 앞서 의령 지역에서 의병을 일으킨 곽재우는 6군을 공격하기 위해 남강 정암진 부근의 갈대밭에 의병 50여 명을 매복시켰다.


3. 전투[편집]


음력 5월 24일 왜장 안코쿠지 에케이(安國寺 惠瓊)[1]는 2000여 명의 선봉대를 정암진 인근으로 보내어 도하 지점을 골라 푯말을 세워두게 하였다. 그러나 이날 밤 곽재우의 의병들은 일본군이 세워놓은 푯말의 위치를 늪지대로 옮겨 세워두도록 하였고 이를 몰랐던 안코쿠지의 주력군은 푯말을 따라 진격하였으나 결국 늪지대에 빠지게 되어 미리 매복하던 곽재우의 의병에게 일제히 기습을 받아 크게 패배하고 말았다.


4. 결과 및 영향[편집]


결과는 그야말로 대승. 곽재우 군은 불과 50여 명에 불과한 의병으로 2000명이 넘는 일본군 선봉을 패주시켰으며, 일본군 6군은 전라도 진출을 포기하였다. 이 전투 이후 곽재우의병은 불과 50여 명에서 오운과 박사제의 병력 등이 합세하여 3000명이 넘는 군세를 갖추게 되었다.


5. 여담[편집]


현재 정암진에는 의령군에서 조성한 의령관문공원이 있다. 의령대로를 건설하는 과정에서 정암진의 암벽 중간을 파괴하고 그 자리에 의령관문을 지었던 것에서 더 나아간 것이다. 더불어 남강을 가로지르는 의령대로 다리 아래로는 지금까지도 이 구간의 얕은 수심을 나타내는 하중 사구를 볼 수 있으며, 공원 옆으로는 지명의 유래가 된 정암(鼎巖)이라는 이름의 바위가 강변에 남아 있다.

그러나 문제는 이로 인해 정암진의 천연 장벽 역할을 했던 암벽이 모조리 파괴되었다는 것이다. 이는 비단 관문공원만이 아니라 남강로 건설을 위한 불가결한 선택이었을 터이며, 역사 기록에 따르면 실제 전투가 있었던 곳은 이 암벽이 아니라 암벽 건너편의 갈대밭이므로 정암진에 얽힌 전사(戰史)와 암벽의 보존 여부 사이의 관계성은 거의 없다는 결론이 내려진 것일 수 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2-07-12 00:05:35에 나무위키 정암진 전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6 09:34:35에 나무위키 정암진 전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안국사라는 절의 혜경이라는 법명의 중이다. 즉 안국사 주지스님인데 일본 전국시대에 큰 절의 주지는 거의 다이묘나 마찬가지였던 위치였다. 나중에 안고쿠지는 도요토미 사후 이시다 미쓰나리의 편을 들었다가 세키가하라 전투 패전 후, 참수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