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흠/기타 창작물

최근 편집일시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장흠



1. 개요[편집]


정사연의를 제외한 다른 창작물에서 등장하는 장흠을 다루는 문서.


2. 상세[편집]


전반적으로 온몸이 만신창이가 되어도 맹활약한 동기인 주태나 장료와 필적할 정도의 에이스인 감녕에 비하면 하위호환 신세다. 잘 쳐봐야 B급 수준의 무관. 의외로 괄목상대의 수혜자이기도 하나 이마저도 여몽에게 묻힌다.


3. 게임[편집]



3.1. 코에이 삼국지 시리즈[편집]


장흠(삼국지 시리즈) 문서 참조.


3.2. 진삼국무쌍 시리즈[편집]


진삼국무쌍 BLAST 등장인물
[ 펼치기 · 접기 ]

SR
하후돈, 곽가, 장료, 견희, 순욱(SR), 조비, 조조, 왕이, 문빙(낭아봉)(SR), 조인, 가후, 장합, 만총(요필)(SR), 악진
R
순욱(장검), 조홍(쌍월), 만총(타구곤), 문빙(언월도), 변씨(피리), 문흠(극), 화타(구조), 하후희(위복장)(피리), 조절(권), 장창포(피리), 조모(쌍인검), 조식(비연검), 최씨(양인창)
N
조휴(화염궁), 조진(폭탄), 왕랑(쌍인검), 조아(순패검), 주령(장검), 관구검(쌍월), 조상(폭탄), 하안(타구곤), 왕경(비연검), 마준(신세검)

SR
육손, 주연, 손상향, 감녕, 손책, 태사자, 손권(도), 정봉, 보연사(노), 대교, 소교(철선), 여몽, 능통, 주환(SR)(극)
R
서성(극), 서씨(피리), 손익(극), 오국태(쌍두추), 정보(쌍모), 주환(용창), 장흠(쇄분동), 고옹(비연검), 능조(극), 유씨(권), 주이(용창), 손노반(쌍두추), 제갈근(비연검), 육항(비연검), 손노육(적), 보천(비연검)
N
우번(도), 여대(도), 하제(선곤), 원희(권), 주치(극), 제갈각(비연검)

SR
조운, 관우, 장포, 관은병, 장성채, 마대, 유선, 관색(양절곤), 유비, 장비, 하후희(SR)(쌍선), 강유, 마초, 제갈량
R
주창(귀신수갑), 하후희(촉복장)(피리), 엄안(박도), 왕평(양인창), 제갈씨(순패검), 왕도(양인창), 미당(쌍모), 호제(용창), 왕열(쌍두추), 비의(비연검), 마량(비연검), 마속(비연검), 이씨(쌍두추), 요화(R)(열격도)
N
간옹(구조), 부사인(신세검), 요화(열격도), 미방(쌍검), 습씨(십자극), 장익(순패검), 황호(비연검)

SR
사마소, 왕원희, 종회, 문앙, 사마의, 사마사, 가충, 하후패, 제갈탄, 등애(나선창)
R
호열(극), 장반(비연검), 초이(극), 문호(용창), 신헌영(순패검), 가남풍(구조), 양호(구조), 두예(비연검)
N
신창(비연검)
여포
SR
여포, 여령기, 초선, 장료, 장패(언월도)(SR)
R
고순(박도)
N
장패(언월도)
원소
SR
원소
R
안량(연인자), 문추(아벽)
N
없음

SR
수경선생(SR), 호로(ホロウ)(총), 옥새, 잔다르크, 번옥봉(SR)(인노), 소마(금쇄봉), 동탁, 맹획, 동백(단철편)(SR), 아르나스
R
수경선생(R), 화웅(극), 우길(폭탄), 기령(쌍모), 화만(귀신수갑), 하태후(구조), 번옥봉(권), 풍씨(권), 마등(극), 한수(쌍월)
N
동백(십자극), 곽사(극), 황조(아벽), 이각(박도), 수경선생(쌍검), 유표(구조),
엄백호(쇄분동), 왕윤(비연검), 원술(신세검), 장수(비연검), 추씨(피리), 장로(도)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Jiang_Qin_%28DWB%29.png

진삼국무쌍 시리즈에서는 친구인 주태 못지않은 활약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클론 무장.

진삼국무쌍 6에서는 주태의 열전인 선성방위전에서 아군 본진을 지키는 역할로 등장한다. 병졸의 대사로 주태와 오랜 친구임이 나온다.

진삼국무쌍 7에서는 장성모드에서 주태의 대화 상대로 등장. 인연이 오래되며 주태의 상처는 늘어났는데 말수는 그대로라는 잡담이다.

그러다가 진삼국무쌍 블라스트에 참전했다. 연의에서 주태와 함께 해적 출신으로 손책이 거병했을때 참가했음을 나타내려고 했는지 감녕 못지 않은 쾌남으로 등장했다.


3.3. 영걸전 시리즈[편집]


영걸전에선 별 캐릭터성이 없는 전차로 나오며, 이름이 장으로 나온다. 템빨도 없어서 그냥저냥 평범하다.

공명전에서는 지나가던 엑스트라급 장수. 맥성 전투에서 산적으로 등장한다.

조조전에서는 치사하고 찌질한 해적 나부랭이란 캐릭터가 부여되었다. 원작에서 동료였던 주태와 비교하면 이뭐병스런 컨셉이다. "살려줘… 헤헤 난 도망가야지."란 대사를 남기면서 항복하는 척하다가 도망치거나, 관색의 복수를 위해 일기토를 신청한 관우를 보고 너랑 싸우기 싫다고 도망치다가 단칼에 썰리는 등 전체적으로 추한 묘사. 일러스트마저 찌질하게 생겼다. 스펙조차도 주태나 감녕에 비하면 아무것도 특화되지 않아 해적 최약체 장수일 뿐. 여담으로 3인 중에서 유일하게 영걸전에서 일기토가 없다.[1]

삼국지 조조전 온라인에서는 오나라 계열 연의에서 주태와 함께 자주 등장한다. 병종은 수군. 효과는 연속공격 강화 - 공격 명중률 증가 - 방어력 보조 - 연속 반격. 능력치 자체는 크게 나쁘지 않지만 효과가 따라주지 않는데다가 고유 외형도 없어 인기는 없다. 애시당초 공격에서는 감녕보다 밀리고 방어에서는 주태에게 밀리기 때문에 어필할 수 있는 능력 자체가 부족한 것이다. 원작에서처럼 마찬가지로 둘의 하위호환.


4. 만화[편집]



4.1. 요코야마 미츠테루 삼국지[편집]


파일:전략장흠.png

손책이 유요를 공격할때 내부에서 호응하는 도적으로 주태와 함께 등장하는데 이름이 아니라 자인 공혁으로 등장한다. 적벽대전 이후에 재등장하는데 역시나 작화가 바뀌었다.


4.2. 삼국전투기[편집]


장흠(삼국전투기) 문서 참조.


4.3. 창천항로[편집]


창천항로에서는 적벽대전 즈음부터 등장한다. 외형이 좀 특이하다. 전체적으로 긴 두상에 머리 스타일이 머리카락을 상투 부분 빼고 다 밀어버리고 앞에 몇가닥만 남겨놓은 것같은 모습이다. 외형과 달리 성실한 성격. 특히 최강의 무에 도전하길 바라며 오찬에게 "내 부족한 부분은 너의 지략으로 매꿔줘."라고 하며 자신의 부족한 부분을 인정할 줄 안다. 최강에 모두가 힘을 모아 도전한다는 손오진영 컨셉을 그대로 재현하는 캐릭터. 그리고 손오 최고의 명궁이다.

관우와의 결투에서 최후를 맞이한다. 마충이 관우를 물고 매달린 상황에서 그에게 일격을 가하긴 했지만, 여기서 말과 마충에 뒤엉켜 깔리면서 청룡도에 가슴을 관통당하는 처참한 죽음을 맞이한다. 관우가 죽고 귀환하던 도중에 사망했기 때문에 이렇게 각색한 것으로 보인다.[2] 여몽에 의하면 그야말로 "참으로 끔찍한 광경".


4.4. 삼국지톡[편집]


파일:장흠(삼국지톡).jpg
여몽과 함께 공부했다고 언급된다. 마침내 시즌 8 20화에서 등장했는데 갈색 피부에 안경을 쓴, 손상향과 비슷한 분홍색 반삭 헤어 스타일의 여장수로 나온다.


5. 영상 매체[편집]



5.1. 삼국[편집]


드라마 삼국 46화에도 등장. 성우는 홍진욱.

헌데 난데없이 조인의 부장으로 나온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0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0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02-01 09:30:35에 나무위키 장흠/기타 창작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5 14:29:45에 나무위키 장흠/기타 창작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감녕은 강릉 전투에서 조운과, 주태는 이릉 전투에서 사마가와 일기토가 있다.[2] 관우 하나를 잡으려고 장흠, 반장, 정봉을 비롯해 수백의 오병이 달려드는 상황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