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윤재(국어학자)

덤프버전 :

파일:김해시로고6.png
김해시의 독립운동가

[ 펼치기 · 접기 ]
성명
운동계열
생몰년도
훈격
강원석
의열단
? ~ ?

고영건
3.1운동
1887 ~ 1941
애족장
김두갑
일본방면
1922 ~ 1944
애족장
김만수
3.1운동
? ~ ?

김석암
3.1운동
1891 ~ 1959
대통령표창
김선오
3.1운동
1865 ~ 1919
애국장
김성득
일본방면
1923 ~ 1983
애족장
김승래
3.1운동
? ~ ?

김승태
3.1운동
1878 ~ 1940
애족장
김양산
3.1운동
? ~ ?

김원수
3.1운동
? ~ ?

김용이
3.1운동
1891 ~ 1919
애국장
김용주
3.1운동
? ~ ?

김정태
3.1운동
1890 ~ 1958
애족장
김종훤
3.1운동
1893 ~ 1948
애족장
김헌규
의병
? ~ 1916
애족장
노백용
국내항일
1885 ~ 1961
건국포장
노상익
만주방면
1849 ~ 1941
대통령표창
노상직
파리서명
1855 ~ 1931
건국포장
노석호
국내비밀
결사조직

1916 ~ 1944
애족장
류진옥
파리서명
1871 ~ 1928
건국포장
문위동
국내항일
1903 ~ 1976
애족장
반양환
광복군
1924 ~ ?

박도백
3.1운동
1892 ~ 1939
애족장
박재홍
국내항일
1903 ~ 1979
애족장
박정수
광복군
? ~ ?
애족장
배덕수
국내항일
1895 ~ 1970
대통령표창
배동석
3.1운동
1889 ~ 1924
애족장
배종철
국내항일
1895 ~ ?
대통령표창
배치문

1890 ~ 1942
애국장
서석재
3.1운동
? ~ ?

서진령
3.1운동
1899 ~ 1971
대통령표창
손명조
3.1운동
1884 ~ 1919
애국장
송기송
대한통의부


송상진

1887 ~ 1967
대통령표창
송세탁
3.1운동
1884 ~ 1939
대통령표창
신수명
일본방면
1924 ~ 2007
대통령표창
안무술
3.1운동
? ~ ?

안효구
3.1운동


안효진
3.1운동
1874 ~ 1946
건국포장
이강석
3.1운동
1879 ~ 1923
애족장
이윤재
조선어학회
1888 ~ 1943
독립장
이윤희
노동운동


이진석
3.1운동
1896 ~ 1970
애족장
이차수
3.1운동
? ~ ?

임학찬
국내항일
1890 ~ 1952
건국포장
조영우
3.1운동
1887 ~ 1923
애족장
조정환
대한독립단
1875 ~ 1926
애족장
전용헌
국내항일
1890 ~ 1934
건국포장
정적윤
3.1운동
? ~ ?

조동출
3.1운동
? ~ ?

조용명
3.1운동
? ~ ?

조항래
3.1운동
1884 ~ 1949
애족장
최여봉
국내항일
1899 ~ 1970
애족장
최현호
3.1운동
1890 ~ 1974
애족장
한임길
의병.미상
? ~ ?
애국장
허 발
자금지원
1874 ~ 1931

허윤송
광복군
1919 ~ 1985
애족장
허 평
파리서명
1882 ~ 1968

황찬숙
국내항일
1905 ~ 1970
애족장
김해에서 태어난 독립운동가들과
김해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들을 포함함.

파일:건국훈장애족장약장.jpg
파일:건국훈장애국장약장.jpg
파일:건국훈장독립장약장.jpg





}}}
[ 펼치기 · 접기 ]
1990년
7월
김정희
8월
장영실
9월
김소월
10월
세종대왕
11월
김홍도
12월
신재효
1991년
1월
나운규
2월
정철
3월
한용운
4월
김정호
5월
방정환
6월
정약용
7월
문익점
8월
안익태
9월
허준
10월
주시경
11월
윤선도
12월
이해랑
1992년
1월
이황
2월
정선
3월
박지원
4월
우장춘
5월
신사임당
6월
류성룡
7월
일연
8월
홍난파
9월
고유섭
10월
이윤재
11월
안창호
12월
윤동주
1993년
1월
이이
2월
이인문
3월
장보고
4월
이천
5월
윤극영
6월
원효
7월
지석영
8월
안중근
9월
박연
10월
최현배
11월
장지연
12월
윤백남
1994년
1월
우륵
2월
황희
3월
김유정
4월
홍대용
5월
강소천
6월
이상백
7월
안견
8월
박은식
9월
박승희
10월
이희승
11월
정도전
12월
신채호
1995년
1월
강세황
2월
조식
3월
월터 정
4월
최무선
5월
이원수
6월
김병로
7월
이육사
8월
김구
9월
채동선
10월
김윤경
11월
이수광
12월
곽재우
1996년
1월
김만중
2월
최치원
3월
이순지
4월
서재필
5월
김명국
6월
유일한
7월
도선
8월
심훈
9월
왕산악
10월
정인승
11월
전형필
12월
이제마
1997년
1월
송석하
2월
성현
3월
최윤덕
4월
이중환
5월
초의 (의순)
6월
한호
7월
이세보
8월
박제가
9월
박진
10월
장지영
11월
왕인
12월
송진우
※ 선정 당시 기관명은 문화부(1990~1993) → 문화체육부(1993~1998) → 문화관광부(1998~2005)였다.
이달의 문화인물(1998-2005)
}}}



파일:20190309_152446.jpg


한뫼, 환산(桓山), 식산(植山)
본관
광주 이씨(廣州 李氏)
출생
1888년 12월 24일[1]
경상도 김해도호부 우부면 답곡리
(現 경상남도 김해시 대성동)
사망
1943년 12월 8일 (향년 54세)
함경남도 함흥부 함흥형무소
직업
파일:대한민국 임시정부 국장.svg 국어학자, 역사학자
학력
김해공립보통학교[2] (졸업)
대구 계성학교 (졸업)
베이징대학 (사학 / 학사)
가족
아버지 이용준, 어머니 경주 이씨
묘소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1-1묘역-499호
상훈
건국훈장 독립장 추서

1. 개요
2. 생애
2.1. 아동기
2.2. 우리말과 역사에 관심을 가지다
2.3. 독립운동가로서의 활동을 시작하다
2.4. 조선어학회 사건과 순국
3. 묘소
4. 여담
5. 같이보기



1. 개요[편집]


"우리가 지금 일본의 총칼 밑에 잠시 눌려 산다고 언제나 이럴 줄 알아서는 큰 잘못이다. 나는 나이도 들었고, 지금 형세로는 감옥에서나 죽게 생겼지만, 너희들은 대명천지 밝은 날에 내 나라 다시 찾고, 독립 국민으로 떳떳이 살날이 꼭 올 것이다. 너희들은 틀림없이 독립을 보리라. 그러자면 지금부터 정신을 똑바로 차려야 한다."

- 1929년 경신학교에서 -


대한민국독립유공자, 국어학자, 역사학자.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받았다.

우리글을 연구하는 한글학자로 또 민족적 역사의식을 고취하는 교육자이며 독립운동가로 활동하였다.


2. 생애[편집]



2.1. 아동기[편집]


1888년 12월 24일 경상도 김해도호부 우부면 답곡리(現 경상남도 김해시 대성동)의 양반가에서 아버지 이용준(李容俊)과 어머니 경주 이씨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났다.

6살 무렵 서당에서 한문 공부를 시작하였는데, 총명하고 재능이 뛰어나서 인근 고을까지 소문이 났다고 한다.


2.2. 우리말과 역사에 관심을 가지다[편집]


당시 외세의 침략에 시달리고 있었는데, 애국계몽운동이 일어나고 있어 이윤재 선생도 생각을 같이하여 늦은 나이에 김해공립보통학교에 입학하여 21세에 졸업하였다.

졸업 후 김해 합성학교(현 합성초등학교)에서 교사 생활을 하며 민족의식과 민족의 얼을 가르치기 시작하였다.

대구 계성학교에서 고등과정을 배우면서 선생은 우리말과 글, 역사에 깊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이후 1913년 마산 창신학교, 마산의신여학교(현 마산의신여자중학교)에서 우리말과 국사를 가르쳤다. 이때 주시경 선생의 학문을 스스로 배우며 한글학자의 길을 걷기 시작하였다.


2.3. 독립운동가로서의 활동을 시작하다[편집]


이후 평안북도 영변군 영변면 서부동(現 평안북도 영변군 영변읍)으로 이주했고, 그곳에서 기독교 숭덕학교 교사로 재직했다. 그 뒤 1919년 영변군 지역의 3.1 운동을 주도한 혐의로 체포되었고, 이른 바 보안법 위반 및 출판법 위반 혐의로 징역 3년형을 선고받았다. 이에 공소했으나 공소가 기각되었고, 이어 상고했으나 1919년 7월 31일 고등법원 형사부에서 위 혐의에 대해 상고가 기각되어 결국 평양형무소에서 3년간 옥고를 치렀다.

1921년 출옥 후 중국으로 망명, 신채호 선생의 도움으로 베이징대학 사학과에 입학하여 3년간 역사를 배우고 1924년 귀국하였다.

귀국 후 정주 오산학교를 거쳐 상경했고, 경기도 경성부 팔판동(現 서울특별시 종로구 팔판동) 83번지로 이주해 본적을 두었고, 이후 경성부 신당동(現 서울특별시 중구 신당동) 304-57번지, 경성부 창신정(現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신동) 633-10번지 등지에서 거주했다. 그리고 협성학교·경신학교·동덕여자고등보통학교·배재학당·중앙고등보통학교 등에서 교편을 잡았다. 동덕여자고등보통학교에 재직할 때에 독립운동가 이관술과 친분이 깊었다.

1927년 계명구락부에서 국어사전 편찬을 위한 준비를 하였을 때, 조선어사전 편찬위원으로 참가하였고, 민족정신의 보전·계승을 위한 잡지 『한빛』을 편집, 발행하였다. 1929년 조선어연구회·조선어사전편찬위원회의 집행위원, 1930년 한글맞춤법통일안의 제정위원이 되어 국어통일운동의 중진으로 활동하기 시작하였다.

1931년부터 연희전문학교에서 강의를 맡았으며, 이때부터 4년간 매년 여름 지방을 순회하며 한글강습회를 열었다. 1932년에는 조선어학회의 기관지 『한글』의 편집 및 발행 책임을 맡았으며, 1934년에는 진단학회(震檀學會)의 창립에 참여하였다. 1935년 감리교신학교에서 강의를 맡았으며, 조선어 표준어사정위원회의 사정위원이 되었고, 1936년 조선어사전편찬위원회의 편찬전임집필위원이 되었다.


파일:이윤재(1937년).png

1937년 8월 23일, 서대문형무소에서 촬영된 사진.

그러다 1937년 6월 7일 수양동우회 사건에 연루, 체포되어 1937년 8월 10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이른 바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에 대해 유죄 판결을 받아 당일 투옥되었다. 이듬해인 1938년 7월 29일 보석으로 출옥했으나 8월 15일에 다시 기소되었고, 1939년 1월 12일 경성복심법원에서 이른 바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에 대해 원래 결정이 취소되고 경성지방법원 합의부의 공판에 회부되었다. 1939년 12월 8일 경성지방법원 합의부에서 이른 바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에 대해 무죄선고받았으나 검사 측의 공소로 인해 1940년 8월 21일 경성복심법원에서 이른 바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에 대해 공소 이유 있음으로 징역 2년형(원심 미결구류 일수 중 280일 본형에 산입), 집행유예 3년을 선고받았다. 그러나 검사 측에서 상고해 1941년 7월 21일 고등법원 형사부에서 이른 바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에 대해 원심 판결이 취소되고 경성지방법원 합의부의 공판에 회부되었으며, 본 건에 부쳐 사실을 심리한다는 판결이 나왔다. 그 뒤 1941년 11월 17일 고등법원에서 이른 바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에 대해 상고 파훼 및 무죄 판결을 받아 곧 출옥했다.

출옥 후에는 대동출판사(大同出版社)에 입사하여 근무하였다.


2.4. 조선어학회 사건과 순국[편집]


1940년대 일제는 민족말살정책의 일환으로 조선어 사용을 금지하였다. 조선어학회에서는 우리말을 지키기 위해 《우리말 큰사전》편찬을 시도하였고, 일제 몰래 세상에 있는 우리말을 수집하고 있었다.

그러나 1942년 10월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일제에 발각되어 최현배, 이희승 등과 함께 검거되었다. 선생은 함남 홍원경찰서에서 모진 고문과 살기 어려울 정도의 구타와 폭력을 당하였다.

결국 선생은 수감생활 중 1943년 12월 8일 새벽 5시 옥중에서 55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3. 묘소[편집]


파일:20161113_111340.jpg
순국 후 선생의 아들 이원갑이 화장을 한 뒤 유골함에 담고 경기도 광주군 방이리에 있는 집으로 모셔온 뒤 선생이 생전에 개간하여 만든 과수원 근처의 야산에 봉분도 없이 가매장하였다.

해방 뒤 감옥에서 나온 조선어학회 간부들은 봉분도 없이 매장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이윤재 선생을 제대로 안장하기 위해 힘썼다.

1946년 4월 6일 조선어학회 간사장 이극로의 사회로 경기도 광주군 중대면 방이리 유족 주택 부근 산상에서 고 이윤재 선생 이장식이 성대히 거행되었다. 봉분 옆에 묘비도 세웠다.[3] 묘비의 3면에는 순 한글로 이윤재 선생의 업적이 기술되어 있다. 이장식 이후에야 이윤재 묘소는 제대로 자리를 잡았다.

그런데 셋째 사위의 사업 실패로 그만 이윤재 선생의 묘소와 집터를 남에게 매도하게 되었다. 6·25전쟁 때 대구에 거처를 정한 셋째 사위는 장인이 남긴 산과 집터를 매도하여, 거기서 남은 돈을 바탕으로 장인의 유골을 수습하였다.

1973년 봄에 셋째 사위는 장인의 묘소를 경상북도 달성군 다사면 이천리 산 48번지로 다시 이장하였다. 이후 묘소는 제대로 관리되지 않다가 2013년 9월 28일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1-1묘역으로 이장하였다. 그러나 비석은 계속 남아 있었는데, 약 3년간 방치되어 있다가 2016년 외동 나비공원 기념조형물에 비석을 안치하게 되었다.


4. 여담[편집]


  • 김해도서관 광장에 이윤재 선생을 기리기 위한 흉상과 어록비가 1991년 세워졌다.
파일:20161113_111253.jpg
  • 외동의 나비공원에 2005년에 세운 기념 조형물과 2016년 옮긴 묘비 비석이 세워져 있다.
  • 사후인 1962년에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한글 보급 운동의 공로를 인정받아 건국훈장 독립장에 추서되었다.
파일:E2018_11_21_163841.jpg
  • 지하 1층 지상 2층 규모의 이윤재ㆍ허웅 선생 기념관이 나비공원과 김해문화원 사이에 2019년 3월에 착공해서 2020년 상반기 개관한다. 하지만 코로나 때문인지 2021년 11월에 개장했고 명칭은 '김해한글박물관'이다.


5. 같이보기[편집]


아직도 제자리 잡지 못한 어느 독립운동가의 묘지
광복 69년이 흘렀어도 홀대받는 김해의 독립운동가들
독립운동가·한글학자 '한뫼 이윤재' 선생 묘비 뜻 깊은 귀향
'이윤재ㆍ허웅 선생 기념관' 2020년 상반기 개관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4 08:50:28에 나무위키 이윤재(국어학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1937년 일제감시대상인물카드에는 12월 27일생으로 등재돼 있다.[2] 現 김해동광초등학교[3] 이 비석의 글은 한글학자 한결 김윤경(1894~1969) 선생이 지었다. 글씨는 한글 궁체의 대가이자 <매일신보>에서 우리나라 최초의 여기자로 활동한 이각경(1897~미상) 선생이 썼다. 1946년에 세워진 우리나라 최초의 순 한글 비문으로서의 가치도 지니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