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시경

덤프버전 :


파일:대통령장 약장.png
건국훈장 대통령장 수훈자


[ 펼치기 · 접기 ]
파일:B005-C002-0632-01_L1.jpg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width=20%> 강기동 ||<width=20%> 구춘선 ||<width=20%> 권동진 ||<width=20%> 권병덕 || 김경천 ||
|| 김동삼 || 김병조 || 김붕준 || 김상옥 || 김성수[A] ||
|| 김완규 || 김익상 || 김지섭 || 김하락 || 나석주 ||
|| 나용환 || 나인협 || 남상덕 || 남자현 || 노백린 ||
|| 린썬 || 문창범 || 문태수 || 민긍호 || 민종식 ||
|| 박열 || 박승환 || 박용만 || 박은식 || 박준승 ||
|| 백용성 || 신규식 || 신돌석 || 신석구 || 신채호 ||
|| 신홍식 || 쑨커 || 쑹자오런 || 안재홍 || 양기탁 ||
|| 양전백 || 양한묵 || E. T. 베델 || 언더우드 || 여운형 ||
|| 여지이 || 연기우 || 오세창 || 오화영 || 유동열 ||
|| 유여대 || 유인석 || 윤기섭 || 우빈 || 이갑성 ||
|| 이동녕 || 이동휘 || 이명룡 || 이범석 || 이범윤 ||
|| 이봉창 || 이상설 || 이상재 || 이승희 || 이위종 ||
|| 이은찬 || 이인영 || 이재명 || 이종일 || 이종훈 ||
|| 이필주 || 임예환 || 장건상 || 장인환 || 전명운 ||
|| 전해산 || 정환직 || 조성환 || 조완구 || 주시경 ||
|| 주자화 || 지청천 || 채상덕 || 천청 || 최석순 ||
|| 최성모 || 탕지야오 || 편강렬 || 홍기조 || 홍범도 ||
|| 홍병기 || 황싱 || 후한민 ||
||<-5> [A] 친일 행적으로 인한 서훈 취소 ||




}}}
[ 펼치기 · 접기 ]
1990년
7월
김정희
8월
장영실
9월
김소월
10월
세종대왕
11월
김홍도
12월
신재효
1991년
1월
나운규
2월
정철
3월
한용운
4월
김정호
5월
방정환
6월
정약용
7월
문익점
8월
안익태
9월
허준
10월
주시경
11월
윤선도
12월
이해랑
1992년
1월
이황
2월
정선
3월
박지원
4월
우장춘
5월
신사임당
6월
류성룡
7월
일연
8월
홍난파
9월
고유섭
10월
이윤재
11월
안창호
12월
윤동주
1993년
1월
이이
2월
이인문
3월
장보고
4월
이천
5월
윤극영
6월
원효
7월
지석영
8월
안중근
9월
박연
10월
최현배
11월
장지연
12월
윤백남
1994년
1월
우륵
2월
황희
3월
김유정
4월
홍대용
5월
강소천
6월
이상백
7월
안견
8월
박은식
9월
박승희
10월
이희승
11월
정도전
12월
신채호
1995년
1월
강세황
2월
조식
3월
월터 정
4월
최무선
5월
이원수
6월
김병로
7월
이육사
8월
김구
9월
채동선
10월
김윤경
11월
이수광
12월
곽재우
1996년
1월
김만중
2월
최치원
3월
이순지
4월
서재필
5월
김명국
6월
유일한
7월
도선
8월
심훈
9월
왕산악
10월
정인승
11월
전형필
12월
이제마
1997년
1월
송석하
2월
성현
3월
최윤덕
4월
이중환
5월
초의 (의순)
6월
한호
7월
이세보
8월
박제가
9월
박진
10월
장지영
11월
왕인
12월
송진우
※ 선정 당시 기관명은 문화부(1990~1993) → 문화체육부(1993~1998) → 문화관광부(1998~2005)였다.
이달의 문화인물(1998-2005)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주시경
周時經 | Ju Si-gyeong


파일:주시경.png

출생
1876년 12월 22일[1]
황해도 봉산군 돈뫼방(錢山坊; 전산방) 무릉동[2]
(現 황해북도 은파군 광명로동자구[3])
사망
1914년 7월 27일 (향년 37세)
경기도 경성부 (現 서울특별시)
사인
돌연사
묘소
국립서울현충원 제2유공자 묘역-3호
본관
상주 주씨 (尙州 周氏)[4]
직업
언어학자, 교육자
학력
배재학당 (졸업)
흥화학교 (양지과 / 졸업)
정리사 (수물과 / 졸업)
별칭
아명(兒名)은 주상호(周相鎬)
자(字)는 경재(經宰)
호(號)는 한힌샘[5], 한흰메[6], 백천(白泉), 일백천(一白泉), 태백산(太白山), 학신(學愼)
가족
아버지 주학원, 어머니 연안 이씨
배우자 김순봉[7]
슬하 3남 2녀
종교
유교 (성리학)개신교 (감리회)대종교개신교 (감리회)

1. 개요
2. 생애
3. 어록
4. 기타
5.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대한민국독립유공자, 국어학자이다. 20세기 초의 한국어 최고 권위자로서 현재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현대 한글 표준화, 철자법, 어휘는 주시경의 연구를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그 제자들이 이어받아 완성된 것이다.

2. 생애[편집]


1876년 12월 22일 황해도 봉산군 전산방 무릉동(現 황해북도 은파군 광명로동자구)에서 아버지 구암(龜岩) 주면석(周冕錫, 1843 ~ 1884. 8. 14)[8]과 어머니 연안 이씨(1846 ~ 1918. 10. 30)[9] 사이에서 4형제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이후 둘째 큰아버지 주면진(周冕鎭, 1838 ~ 1913. 8. 9)[10]입양되었다. 조부 수강(首岡) 주방렬(周方烈, 1798 ~ 1881. 6. 10)[11]은 김포군수를 지냈다.

주시경이 국어를 연구하게 된 계기는 어릴 때 서당에서 한문을 배우다가 한문 강독법에 의문을 품은데서 비롯된다. 당시 한문 강독법은 한문 원문을 그대로 음독하여 달달 외우게 한 뒤 나중에 우리말 '토'를 붙여 무슨 뜻인지 풀어 주는 방식이었다. 이를테면 學而時習之, 不亦說乎 → 학이시습지, 불역열호 → 학이시습지 불역열호 → 배우고 때때로 익히면 또한 즐겁지 아니한가와 같은 것. 주시경은 마지막 우리말 단계에서야 애들이 말귀를 알아듣는 것을 보고 한문과 우리말이 서로 다르다는 것을 인식하고 우리말의 중요성을 깨달아 국어를 연구하게 되었다고 한다. 이후 서울로 상경하여 1894년 배재학당에 입학하면서 신학문을 접하고 이때부터 국어 연구에 매진하게 된다. 이때 본인이 근대화에 열린 사고를 가져 가족과 의절하며 친구들이 보는 앞에서 나서서 머리를 깎았단 얘기가 있다.

<독립신문>이 출간될 때 1896년 5월 독립신문사 내에 독립신문의 국문표기 통일을 위해 한국 최초의 국어 연구회인 '국문동식회'를 창립해 순한글로 교정보는 일을 했으며 독립협회에도 참여했다가 서재필이 떠난 후에는 <제국신문>에 글을 싣거나 이화학당의 설립자 메리 스크랜튼의 한국어 강사, 상동청년학원 강사로 취직해서 살았다. 그 와중에 배재학당을 졸업하였으나 높은 학구열로 흥화학교 양지과(量地科), 정리사[12] 수물학(數物學)을 3년 동안 공부하고 졸업했다. 양지과는 지리학, 수물학은 수학 분야를 의미한다. 엄청난 학구열로 여러 학교에서 강사를 맡게 되었는데 간호학교, 공옥학교, 명신학교, 숙명여학교, 서우학교의 교원이었으며 협성학교, 오성학교, 이화학당, 흥화학교, 기호학교, 융희학교, 중앙학교, 휘문의숙, 보성중학교, 사범강습소, 배재학당의 강사를 맡았다. 국어 교사만 했을 것 같지만 양지과와 수물학을 나왔기에 주산지리에도 능했다. 책가방을 쓰지 않고 보따리에 책을 넣고 다녔는데 빡빡한 수업 일정 때문에 늘 바쁘게 뛰어다녔고 그로 인해서 보따리가 대차게 휘날리는 탓에 별명이 '주보따리'였다.

내부 서기관(內部書記官)을 지내다가 1907년 학부에 국문연구소(國文硏究所)가 창립되자 그해 7월 12일 국문연구소 위원에 임명되었고, 이후 이곳에서 활동하면서 국어 음운 연구와 국어 문법 등을 짜임새있게 정리하는 등 황무지에서 국어학을 개척하였다. 호인 '한힌샘'을 비롯하여 문법 용어와 학술 용어들을 토박이말로 지으려고 처음으로 시도하였는데 이를 두고 한문에 젖어 있던 사람들은 '두루때글'[13]이라며 비웃기도 했다. 1910년 국어 문법서 「국어문법」을 저술하였다.

마지막 저술서 <말의 소리>는 1914년 발간되었으며 서구의 구조주의 언어학의 방법론을 앞서 적용한 본격적인 문법서였는데 구조주의의 초기 형태를 발견할 수 있다. 국어학에서는 <말의 소리>에서 나오는 개념인 '고나'를 구조주의 언어학의 분절음 개념으로, '늣씨'를 형태소 개념과 동등한 것이었다고 주장한다. 그만큼 서구의 선진 이론들을 국어에 적용하려고 노력하였고 현대적 한국어 음운론 연구의 기틀을 다진 것은 분명하다. 또한 근세국어(17세기) 이후 음가를 잃은 아래아를 정서법에서 폐기하고 혹은 로 환원시키자는 주장을 최초로 한 것이 바로 <말의 소리>였기에 현대 남북한의 정서법에서도 의미있는 책이다.

그러나 <말의 소리>의 개념 체계 중 여전히 국어음운론 체계에서 좀비처럼 남아있는 것이 있다. 예를 들어 음소와 운소를 각각의 소(素)로 이해한 것이 <말의 소리> 당시의 최신 이론이었으나 언어학에서는 구조주의 중후반 이후 운소를 소가 아닌 자질로 이해한다. 그러나 현대 국어학에서는 여전히 운소 개념을 고수하고 있어 현대의 최신 언어학과의 괴리가 심하다.# 이것은 주시경의 잘못이라기보다는 주시경 정신을 새 시대에 맞게 발전시키지 못한 후학들의 잘못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말의 소리>의 논리 중 오늘날 국어학에서 받아들이지 않는 것들도 있다. 주시경은 <말의 소리> 이전까지 형태 음소적 표기를 지향했으나 <말의 소리>에서 이를 번복한다. 즉, 초기 주시경 이론은 오늘날 사용되는 한국어 표기법과 같이 형태를 살려 쓰고 소리에 이끌려 쓰지 않는다. 예컨대, "이름이", "끝", "까닭" 이라고 쓰는 것이 바로 주시경 이론 초기의 정서법이다. 그러나 주시경은 <말의 소리>에서 소리에 이끌린 표기를 주장한다. 예컨대, "이르미", "끗", "가닥"으로 쓸 것을 주장한 것이다. 이는 오늘날 국어학계에서 받아들이지 않는 이론이다.

1914년 7월 27일 급작스러운 복통을 호소하다가 사망하였다.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콘텐츠에 이정선 박사가 집필한 주시경 항목(링크)현재 삭제됨에는 사인에 대해서 정확히 표기되어 있지 않지만 대부분은 급체로 인해 사망했다고 알려져 있다.[14] 향년 37세라는 너무나도 안타까운 요절이었으며 이로 인해 한국 국어학계는 아까운 인재를 보내야 했다. 제자인 한글학자 열운 장지영은 주시경 선생 50주기 추도식에서 통곡하며 스승의 요절을 애석해 했으며 장지영이 쓴 <주시경 회고록>은 1990년대 중학교 교과서에 실리기도 했는데 여기서도 가난했던 주시경 이야기를 안타깝게 언급했다. 그의 시신은 처음에는 서대문 밖 수색 고택골(현 서울특별시 은평구 신사동)에 안장하였다가 1960년 한글학회의 주선으로 경기도 양주군 진접면 장현리(현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장현리)로 이장[15] 하였고 1981년 12월 12일 국립서울현충원 제2유공자 묘역으로 재이장하였다. 남양주에 묻혔을 때의 묘비는 서울 동대문구의 세종대왕기념관에 남아 있다.


3. 어록[편집]


말(言)이 오르면 나라도 오르고, 말이 내리면 나라도 내리나니라


"오늘날 나라의 바탕을 보존하기에 가장 중요한 자기 나라의 말과 글을 이 지경을 만들고 도외시한다면, 나라의 바탕은 날로 쇠퇴할 것이요 나라의 바탕이 날로 쇠퇴하면, 그 미치는 바 영향은 측량할 수 없이 되어 나라 형세를 회복할 가망이 없을 것이다. 이에 우리 나라의 말과 글을 강구하여 이것을 고치고 바로잡아, 장려하는 것이 오늘의 시급히 해야 할 일이다."

- 주시경의 저서 <국어문전음학> 중에서 -


문명 강대국은 모두 자국의 문자를 사용한다.[16]


4. 기타[편집]


  • 서구권 알파벳의 영향인지 풀어쓰기를 주장했었다. 이는 당시 제대로 된 한글 타자기가 나오지 않았던 이유도 있는데 이는 이후 최현배 등의 국어학자들에 의해 실험되었으나, 결과는 모두 알다시피 모아쓰기의 승리. 모아쓰기 타자기는 이후 안과의사인 공병우에 의해 개발되었다. 자세한 것은 풀어쓰기 참조.

  • 이승만고종 퇴위 음모에 연루되어 한성감옥에 투옥되었을 때 주시경이 탈옥용으로 리볼버를 몰래 넣어준 적도 있다고 한다.

  • 본래는 개신교 신자였지만 대종교로 개종했으며 동시에 다른 개신교인들에게 대종교 같은 민족 종교를 믿으라는 개종 운동을 전개하여 비난을 받기도 했지만 그러다가 다시 개신교로 돌아왔다고도 한다.[17] 한때 종교적인 주제로 주시경과 논쟁을 벌인 전덕기라는 감리회 목사도 있었다. 전덕기 목사 역시 주시경 선생처럼 평생을 독립운동에 헌신한 애국지사였는데 나이도 비슷했고[18] 1914년 한창 나이로 비슷하게 38세에 요절했다.

  • 한글이라는 말은 주시경이 지은 이름이라고 한다. 한글을 창제한 건 세종대왕이지만 그 때는 한글이라고 하지 않았고 훈민정음(줄여서 '정음')이라고 했으며 민간에서는 '언문', '암클', '아해클'[19]이라는 낮춤말이 더 많이 쓰였다. 한글은 조선시대 내내 있었지만 주시경이 사실상 현대인이 사용하는 한글을 정립했는데, 한글날에 세종에게 밀려 어째 언급이 안되는 인물 중 하나지만, 현대 한글의 아버지는 주시경인 셈. 맞춤법도 주시경이 만든 것이므로 사실 맞춤법이 틀리는 상황에서는 세종이 아니라 주시경을 소환하는 것이 옳다.
다만 이것도 정확하지 않은게 훈민정음 반포 이후 임진왜란 전까지 조선 정부 차원에서 한자 독음 표준화를 포함한 언어 표준화를 줄곧 실시해왔기에 맞춤법의 초안은 그 때 완성된 것. 따라서 개항기 무렵 존 로스 선교사가 맞춤법을 사용하는 등 규범표기 자체는 이미 존재한 상황이었다. 다만, 이것을 현대화하고 정립한 것이 주시경이고 주시경의 제자들로 구성된 조선어학회에서 집대성한 한글 맞춤법 통일안이 남북한 현행 언어규범의 직계 전신이 되었다. 간단히 말하면 규범화는 조선전기에 이미 한 차례 이루어졌고 근대에 다시 규범화가 이루어질 때는 아래아, 순경음비읍 등 현대 한국어에서 사용하지 않는 기호들을 제거하는 등의 소규모 작업이 있었다.

  • 주시경의 제자들 또한 국어 연구에 큰 발자취를 남겼으며 한국어를 연구하고 한글을 쓰기 쉽게 다듬어 한국어를 근대성을 지닌 언어의 반열에 올려놓는데 이바지했다. 주시경의 제자들 중 유명한 사람은 북한의 초대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을 지낸 한글학자 김두봉, 대한민국에 남았던 동문 최현배로 남북한 모두 같은 스승 밑에서 배운 사람이 언어 정책을 맡아 남북의 언어가 지금까지도 서로 크게 달라지지는 않았다.[20]
그의 다른 유명한 제자로는 이규영, 김윤경, 권덕규 등이 있으며 550명 정도가 주시경 사후 본인이 주시경의 제자였음을 주장하였다.




  • NYU 언어학과 대학원생 중에서 자신이 주시경의 후손이라고 주장하는 사람이 있다. 틱톡영상#



5.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7 09:46:52에 나무위키 주시경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음력 11월 7일.[2] #[3] 황해도 봉산군 무릉동(무릉골) - 북한지역정보넷에서 인용. 대한민국이북5도 행정구역으로는 황해도 봉산군 쌍산면 궁대리. 황해도 봉산군 쌍산면 - 북한지역정보넷[4] 문민공파 17세손 시(時) 항렬이다.[5] '크고 하얀 샘'이라는 뜻의 순 한글 이름.[6] 태백산.[7] 金舜烽. 1880. 4. 27 ~ 1925. 8. 7. 경주 김씨 김명훈(金明勳)의 딸이다.[8] 족보상 이름은 주학원(周鶴苑). 자는 경서(卿瑞).[9] 이성수(李聖壽)의 딸이다.[10] 족보상 이름은 주학만(周鶴萬). 자는 서수(瑞壽).[11] 초명 주봉래(周鳳來). 자는 화보(化甫).[12] 3년제 전문학교.[13] 두루때글은 주시경의 한자를 새김(훈)으로 읽은 것. 주시경의 이름에 쓰인 한자들인 두루 주(周)/때 시(時)/글 경(經)의 훈독 부분을 차례로 붙이면 두루때글이 된다.[14] 물론 급체라는 게 원인이 다양하다. 단순 배탈로 죽을 리는 없으니 심근경색이나 복막염으로 추정이 되나 일단 밝혀진 것이 없으니 추정으로 둔다.[15] 오늘날 장현농협 뒤편에 있는 야산에 있었는데, 이 야산이 한글학회 소유의 산이었다고 한다. 최현배의 묘도 주시경의 묘 옆에 있었는데, 최현배의 묘는 2009년 대전현충원으로 이장되었다.[16] 문명 강대국이 고대 그리스, 고대 로마, 청나라, 러시아 제국 같은 나라를 지칭하는 것이라면 옳다. 그러나 영국, 프랑스, 독일, 미국 같은 당시 열강들이 자국의 문자를 쓴다고 보기에는 다소 어폐가 있다. 그들의 문자는 고대 그리스, 고대 로마의 유산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주시경이 살아생전 당시 존재했던 일본 제국 역시 중국에서 유래된 한자(漢字)를 사용하는 나라였다. 히라가나가타가나를 사용하기는 하지만 한자를 보조하기 위함이다.[17] 말년에 별세할 때까지 상동청년학원, 배재학교, 이화학교 등 개신교 계통 학교 교사로 활동했으며 장례식 또한 감리교 상동교회에서 거행됐다고 한다. #[18] 다만 전덕기는 1875년생으로 주시경보다 한 살 많았다.[19] '언문'의 경우 훈민정음 언해본 등의 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조선시대에 비교적 중립적으로 훈민정음을 지칭하는 표현이었으나, 암클은 '암놈이나 쓰는 글', 아해클은 '아이들이나 쓰는 글'이라는 비하적 표현이다.[20] 다만 이러한 주장은 상당히 엘리트주의적인 언어관으로서 규범이 언어생활을 규제하고 선도해야 한다는 규범주의이다. 기술주의적 관점에서 남북의 언어가 애초에 크게 다르지 않은 이유는 같은 스승을 둔 제자가 각각 남과 북에서 언중들을 영도/령도했기 때문이 아니라 애초에 차이가 크지 않았던 서울말과 평양말을 중심으로 표준어/문화어가 발전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