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성득(1775)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초대
-
제2대
제3대
은언군
(상계군)
이성득
익평군
제4대
-
제5대
제6대
덕안군
이언용
이완용
이해만
(제7대)
(제8대)
(제9대)

(이택주)
(이우석)
(이성기)







은언궁 제2대 궁주


대한제국 장조의 손자
이성득 | 李成得


조선 장조의 손자
이성득 | 李成得

출생
1775년
조선 한성부
(現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망
1818년 1월 3일 (향년 43세)
조선 강화도 관아
(現 인천광역시 강화군)
묘소
미상

[ 펼치기 · 접기 ]
본관
전주 이씨

성득(成得)
부모
부친 은언군
적모 상산군부인 진천 송씨
형제자매
8남 1녀 중 5남

1. 개요
2. 생애
3. 기타



1. 개요[편집]


조선 후기의 왕족, 평민. 사도세자의 서자인 은언군 이인의 서자로 생모는 미상이다. 상계군 이담, 이창순, 이창덕의 이복 동생이자 풍계군 이당, 전계대원군 이쾌득(이광)의 이복 형이다.


2. 생애[편집]


은언군의 정실 부인 상산군부인 송씨 소생 아들 이창순과 이창덕[1]은 모두 일찍 죽었고, 상계군 이담도 홍국영의 입양 사건으로 탄핵받다가 의문의 독살을 당했으므로, 1812년(순조 12) 당시 강화도에 유배된 이철득, 이당, 이쾌득 등 살아남은 은언군의 아들들 중에는 그가 최연장자였다. 이쾌득전계대원군 이광으로 밝혀졌지만 1780년생 이철득은 1783년생인 풍계군과 출생년대가 맞지 않아 동일 인물로 보기 힘들다.

상계군 이담 사건과 관련되어 일가족이 강화도로 유배갈 때 따라 유배되었다. 간간히 보이는 기록 외에는 그의 행적에 대한 것은 미상이다. 철종 즉위 후 은언군, 상계군에 관련된 자료들을 대량으로 말소시켰기 때문이다. 그는 한쪽 발과 한쪽 팔이 마비되었다는데 제때 진료를 받지 못했다.

1817년 11월 27일 강화부 관아에서 고문을 받다가 사망하였다. 그러나 철종 즉위 후 은언군, 상계군과 관련된 자료들을 대량으로 세초, 인멸해버려서 그가 어떤 이유로 관아에서 고문을 받았는지는 알수 없다. 당시 43세였고 그는 미혼이었다.


3. 기타[편집]


그의 죽음을 계기로 순조이당, 이철득, 이쾌득 등 그의 동생들의 석방을 고민하다가 1820년1822년 일시적으로 풀어주었다.[2] 제일 늦게 석방된 인물은 이쾌득으로 1830년 석방되었다.

그가 은언군의 봉사손으로 정식 추대되지는 않았지만 은언군의 살아남은 자녀들 중에는 그가 최연장자였고 당연히 제사에 대한 권리는 조선시대 당시 법률상 그에게 있었다. 그러나 철종 즉위 후 철종이 은언군 가문 사람들에게 시호작호, 품계를 추증했을 때 이성득은 제외당했고 봉사손도 지명받지 못했다.[3] 그래서 은언군가의 후계는 이복형 상계군의 양자인 익평군이 이었고 이성득은 은언군가의 사손으로 제대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4 00:21:58에 나무위키 이성득(1775)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그의 이복 형들이다.[2] 그리고 그때 관례를 치루고 성인식을 했으며, 이당은 첩을 두고 서자를, 이쾌득은 이해동으로 바꿨다가 이광으로 이름을 바꾸고 장가를 간다.[3] 이철득도 함께 제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