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테미스 1호

덤프버전 : (♥ 0)

||



아르테미스 1호
ARTEMIS 1
파일:아르테미스 1 미션 패치.png
아르테미스 1호 미션 패치
명칭아르테미스 1 (공식)
탐사 임무-1 (EM-1) (이전)
발사체SLS 로켓
발사일2022년 11월 16일 6시 47분 44초 (UTC)
2022년 11월 16일 15시 47분 44초 (KST 한국시간)
2022년 11월 16일 1시 47분 44초 (EST 미국동부시간)
발사장케네디 우주센터 LC-39B, 플로리다
귀환일2022년 12월 11일 17시 39분 41초 (UTC)
태평양
궤도 삽입2022년 11월 25일 21:52 UTC
궤도 출발2022년 12월 01일 21:53 UTC
미션 기간25일 11시간 36분
우주선오리온 CM-002
(보잉, 록히드 마틴, 에어버스)
1. 개요
2. 상세
2.1. 과정과 궤도
2.2. 발사 ~ 캡슐 착륙
3. 진행
3.1. 1차 발사 시도
3.2. 2차 발사 시도
3.3. 3차 발사 시도
3.4. 발사
3.4.1. 생중계
3.5. 발사 후
3.6. 실시간 중계 영상
3.6.1. 발사 라이브
3.6.2. 문 아웃바운드 환승 라이브
3.6.3. 궤도를 도는 달 라이브
3.6.4. 지구로 복귀 라이브
3.6.5. 오리온 화면 라이브
4. 둘러보기



1. 개요[편집]


파일:Artemis I Launch (NHQ202211160002).jpg
케네디 우주센터 LC-39B 발사대에서 발사 중인 아르테미스 1호
2022년 11월 16일 1시 47분, 케네디 우주센터 LC-39B

3,2,1, booster ignition, and liftoff of Artemis 1!

We rise together, back to the Moon and beyond.

3,2,1, 부스터 점화, 그리고 아르테미스 1호가 발사됩니다!

우리는 함께, 다시 달과 그 너머를 향해 나아갑니다.

발사 당시 캐스터의 멘트


2022년 개시된 21세기 유인 탐사 프로젝트, 아르테미스 계획의 1번째 주 임무.

2. 상세[편집]


NASA의 아르테미스 1호에 관한 애니메이션[주의]

아르테미스 계획의 첫 임무인 만큼 유인 우주 계획인 아르테미스 2호에 앞서 SLS 로켓오리온 우주선 모듈의 안전성과 기능을 검증할 예정이며 지구대기권 진입 시 오리온의 열보호시스템으로 빠른 속도(11km/s)로 진입하는 것을 실증 시험하는 미션이다. 그 외에도 10개의 큐브샛과 같이 동행한다.

달 표면에서 물과 얼음을 찾는 큐브샛.
소행성에 플라이바이를 하고 소행성 관측 데이터를 수집.
유기체인 효모가 18개월간 심우주 방사선에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실험해 우주비행사 보호에 활용할 예정.
달 표면의 물 퇴적물을 매핑하여 달 자원의 분포와 중요도를 평가할 수 있도록 함.
이탈리아 우주국, 유럽 우주국, 이탈리아 기업이 개발한 큐브샛. 오리온 우주선이 분리된 후 몇 시간 후에 발생하는 큐브샛 배치 단계에서 ICPS가 원격 측정값을 보낼 수 없단 문제가 있다. ICPS와 정밀 근접 비행을 해, 사진을 찍고 검사 데이터를 제공해 큐브샛 배치가 성공적인지를 확인한다.
태양 입자, 방사선 등 모니터링.
적외선 이미징으로 달 표면 관찰.
NASA의 큐브 퀘스트 챌린지 경진대회 우승작. 플라즈마 추진기를 사용해 우주에서 드래그 레이스를 벌일 예정.
JAXA도쿄대 연구진이 개발. 지구의 플라즈마권 이미지 촬영.
JAXA도쿄대 연구진이 개발. 달 충돌 임무 수행. 에어백을 통한 착륙이 가능한지를 실증.

아르테미스 1호는 무인 우주 계획으로 우주선에는 여러 측정 센서가 부착된 더미 인형 3개가 실려있다. 이 마네킹 이름은 '무네킨 캄포스'(Moonikin Campos). 무네킨은 문(Moon)과 마네킨(manikin)의 합성어이고, 캄포스는 달로 향하던 중 산소탱크가 폭발한 아폴로 13호의 무사귀환을 도운 NASA 매니저 아르투로 캄포스에게 경의를 표하는 뜻으로 공모를 통해 붙여진 이름이다.

2.1. 과정과 궤도[편집]


파일:Artemis 1 infographic 202110.jpg
아르테미스 1호
NASA 오리온 우주선SLS 로켓
첫 번째 통합 무인 비행 시험
발사
SLS와 오리온 우주선이 케네디 우주센터 LC-39B에서 발사
부스터, 페어링, 발사 중단 시스템 분리
주 엔진 가동 정지 및 분리
근지점 상향 기동
지구궤도 도달
시스템 정비 및 태양광 패널 조정
달전이궤도(TLI) 진입
약 20분간 엔진 점화
임시 극저온환경 추진단(ICPS) 분리
ICPS는 오리온 우주선의 TLI 진입에 사용됨
↳ 🅐 🅑 🅒 ICPS, 큐브위성 10개 배치
여러 번의 달 진입 궤도수정(OTC) 기동
원거리 역행궤도(DRO)를 활용한 달 근접통과 궤도 형성에 필수적
달 진입 근접통과(OPF)
달까지 최대 60해리(111킬로미터)까지 접근 후 DRO 겨냥
달궤도 진입
DRO 진입
원거리 역행궤도
월면 기준 고도 38,000해리(70,400킬로미터) 달궤도에서 반 바퀴 또는 한 바퀴 반 체류
DRO 이탈 후 지구로 귀환 시작
귀환 근접통과(RPF)
엔진 점화 준비 및 지구 귀환 개시
전이궤도 진입
지구 대기권으로 돌아오는 데 필수적인 여러 번의 귀환궤도수정(RTC) 기동
승무원 모듈 서비스 모듈과 분리
지구 대기권 재진입
착수
미 해군 소속 회수함의 감독 하에 태평양 착수
파일:NASA 로고.svg파일:아르테미스 계획 로고 2.jpg

2.2. 발사 ~ 캡슐 착륙[편집]


미션 경과 시간시간 (EST)이벤트
T+00:00:0001:47:44Liftoff(완료)
T+00:00:0701:47:51Tower Clear & Initiate(완료)
Roll/Pitch Maneuver(완료)
T+00:01:1001:48:54Max Q(완료)
T+00:02:1201:49:56Solid Rocket Booster (SRB) separation(완료)
T+00:03:1101:50:55Service module fairing jettision(완료)
T+00:03:1601:51:00Launch abort system (LAS) jettision(완료)
T+00:08:0301:55:47Core stage main engine cutoff (MECO) commanded(완료)
T+00:08:1501:55:59Core Stage/ICPS separation(완료)
T+00:18:0902:05:53Orion Solar Array Wing Deploy Begins(완료)
T+00:52:5602:40:40Perigee Raise Maneuver(완료)
T+01:29:2703:17:11Trans-lunar injection(완료)
T+01:57:3603:45:20Orion/ICPS separation(완료)
T+01:58:5803:46:42Upper Stage Separation Burn(완료)
T+03:21:3605:09:20ICPS Disposal Burn(완료)
Moon outbound transit
T+07:47:3109:35:15Outbound Trajectory Correction-1 burn(완료)
Days 2~511-17 ~ 11-20Outbound coasting phase(완료)
Days 611-21Lunar gravity assist(완료)
Orbiting Moon
Days 6~911-21 ~ 11-24Transit to distant retrograde orbit (DRO)(완료)
Days 10~1511-25 ~ 11-30In DRO (완료)
Days 1612-01/09:53 pmDRO departure burn (완료)
Days 16~1912-01 ~ 12-04 Exiting DRO (완료)
Earth Return
Days 2012-05/11:43 amReturn powered flyby burn (완료)
Days 20 ~ 2612-05 ~ 12-11Return transit (완료)
Days 2612-11/12:40 pmEntry and splashdown(완료)
Days 2612-11/12:00:10 pmCrew Module/Service Module Separation(완료)
Days 2612-11/12:20:14 pmCrew Module Entry Interface(완료)
Days 2612-11/12:35:28 pmAltitude 40K(완료)
Days 2612-11/12:36:02 pmFBC Chute Deploy(완료)
Days 2612-11/12:36:04 pmFBC Jettison(완료)
Days 2612-11/12:36:06 pmDrogue Chute Deploy(완료)
Days 2612-11/12:37:26 pmMain Chute Deploy(완료)
Days 2612-11/12:37:26 pmDrogue Chute Jettison(완료)
Days 2612-11/12:39:41 pmSplashdown(완료)

3. 진행[편집]


아르테미스 1호 미션의 개념은 SLS 개발 당시 '탐험미션-1 (Exploration Mission-1)'이란 명칭으로 추진된 비행 임무에서 비롯되었다. 당시 계획은 2017년까지 오리온 우주선을 탑재한 SLS 로켓의 첫 발사를 수행하는 것이었다. 이후 2019년 5월 트럼프 행정부가 유인 달 탐사 계획 아르테미스 계획을 발표하면서 탐험미션-1은 '아르테미스 1호'로 개칭되었다. 당시 예정된 일정은 2020년 11월 발사였다.

사용 로켓은 SLS 로켓으로 정해졌으나 SLS의 개발 지연으로 한때 스페이스X팰컨 헤비ULA델타 IV 헤비의 사용이 거론된 적도 있었다. 하지만 NASA에서 2019년 11월 말 SLS 코어를 완성하였고 12월에는 내구도 테스트까지 성공하면서 SLS 사용이 기정사실화되었다.

2020년, 기존 계획에서 1년 연기되었다.


현지 시각 2021년 1월 16일, 발사에 사용할 SLS 로켓이 연소시험을 진행했다. 본래 계획되었던 485초 연소나 충분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요구되는 250초 연소에는 한참 못 미치는 67초 동안 연소 후 중단되었다. 로켓이 고장난 것은 아니지만 충분한 테스트가 이루어지지 않았으므로 추가 연소시험이 진행될지가 주목된다. 한편, 2월까지 케네디 우주 센터로 로켓을 출하하지 않으면 연내 발사가 불가능하므로 연소시험을 한 번 더 진행하게 될 경우 일정이 밀리게 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

2021년 3월 18일, 연소시험에 성공하였다.#

2021년 10월 21일, 드디어 기다리고 기다리던 아르테미스 1호의 최종조립이 SLS 위에 오리온 CM-002가 올라가면서 완료되었다.

현재 최종 발사일이 연기되는 상황에서 2022년 1월 로켓에 연료까지 채우는 최종 리허설까지 한 후 결정될 예정이다. 2월 이후 미션의 '발사의 창'(launch window)은 2월 12일부터 2월 27일 사이, 3월 12일부터 3월 27일 사이, 4월 8일부터 4월 23일 사이다.

NASA 관계자에 따르면 SLS 로켓의 출고 시점을 3월 중순으로 보고 있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리허설에는 최대 2주의 시간이 필요하므로, 발사 날짜는 4월 초 혹은 5월까지 미뤄지게 되었다. # 하지만, 우주선에 대한 최종 기능점검이 두 차례 중단 끝에 이후로 연기됐다. 6월 - 7월로 연기됐다.

2022년 4월 19일, SLS가 연료 주입을 위한 3차례 시도가 모두 실패로 끝남에 따라 내주에 조립동으로 옮겨 고장 난 부분을 수리받는다.#

NASA는 아르테미스 1호를 5~6월쯤 발사해 무인 비행 시험을 할 예정이라고 밝혔으나, 이후 기술적 문제를 들어 잠정 발사일을 8월 29일과 9월 2일, 5일 등으로 정했다. #


3.1. 1차 발사 시도[편집]


2022년 8월 17일, 발사체가 조립동에서 발사대로 이송되었다. #1 #2 발사일은 8월 29일로 정해졌다.

Artemis I: We Are Ready

무인으로 발사되지만 우주비행사 대신 탐지장치를 장착한 마네킹 더미 3체가 탑재되어 우주비행사들이 우주에서 받을 여러가지 영향들에 대해 계측할 예정이다.

발사 준비 과정에서 3번 엔진 및 주 연료 탱크, 균열 및 액체 수소 누출이 발견되어 29일 발사가 취소되고 KST 9월 4일로 연기되었다.


3.2. 2차 발사 시도[편집]


파일:아르테미스 1호(22.09.03).jpg
발사를 대기하고 있는 아르테미스 1호
2022년 9월 3일, 케네디 우주센터 LC-39B'''
KST 2022년 9월 4일 오전 3시 33분에 발사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1차 발사 시도 때와 마찬가지로 액체 수소 누출 문제가 발생되어 발사가 연기되었다. #


3.3. 3차 발사 시도[편집]


KST 2022년 9월 28일 0시 37분에 발사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현지시간으로 9월 24일, 카리브해에서 열대성 폭풍 이언이 허리케인 세력으로 키워서 플로리다로 북상함에 따라 3차 발사 시도를 취소했다고 밝혔으며 조립동(VAB)[1]으로 옮기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

결국 아르테미스 1호의 조립동으로의 복귀가 현지시간으로 9월 26일로 확정되었다.[2]# 격납고로 돌아오는 4마일의 여정까지 로켓은 플로리다 동부 해안에 있는 케네디 우주 센터 발사대 39B에 수직으로 보관된다. 이번 결정에 대해 NASA 과학 부국장인 토마스 추어부헨 박사는 FOX Weather에 우주국이 임무뿐만 아니라 허리케인 이언의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임무에서 일하는 '사람들을' 우선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9월 27일, 로켓의 조립동 귀환 직후 작은 화재가 발생했으나 다행히 인명 피해 및 발사체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

3.4. 발사[편집]


파일:아르테미스 1호(22.11.04).jpg
VAB에서 나와 다시 발사대에 선 아르테미스 1호
2022년 11월 4일, 케네디 우주센터 LC-39B

2022년 11월 14일 발사 예정이었지만 허리케인 니콜로 인해 이틀 연기된 11월 16일에 발사되었다.

발사가 2시간 남았는데 또 다시 연료 누출이 발견되었다. 발사 10분 전 앞선 누출로 인해 카운트다운을 중단하였지만, 다행스럽게도 이동식 발사대 "크롤러" 에서 연료 누출이 발견된 것으로 로켓 자체에는 이상이 없다고 한다. 이로 인해 NASA에 따르면 발사가 30분 연기됐다고 한다. #

30여분 후 문제가 해결되어 다시 카운트다운이 재개되었다.


3.4.1. 생중계[편집]



3.5. 발사 후[편집]


파일:Artemis I Launch (NHQ202211160002).jpg
발사 중인 아르테미스 1호
2022년 11월 16일, 케네디 우주센터 LC-39B

파일:Artemis부스터분리.jpg
분리되는 아르테미스 1호의 고체연료 부스터
2022년 11월 16일 MET 00:02:17







파일:ICPS SEP.png
오리온 우주선에서 촬영한 분리되는 SLS 로켓의 ICPS 엔진
2022년 11월 16일 MET 01:55:20

파일:아르테미스지구촬영.jpg
아르테미스 1호에서 촬영한 지구
2022년 11월 18일, 미션 2일 차

파일:아르테미스-달-사진.jpg
아르테미스 1호에서 촬영한 달
2022년 11월 19일, 미션 3일 차

파일:cmasaw1_20221118204608_034-scaled.jpg
아르테미스 1호의 셀프 카메라
2022년 11월 20일, 미션 4일 차

파일:screenshot-earthrise.png
아르테미스 1호가 달의 영향권 내에서 촬영한 지구
2022년 11월 21일, 미션 5일 차

파일:earthset-screenshot-1024x630.png
달을 선회하고 있는 아르테미스 1호
2022년 11월 21일, 미션 6일 차

파일:Orion Home Stretch.png
지구로 접근하고 있는 아르테미스 1호
2022년 12월 11일, 미션 26일 차

파일:Orion Splashdown.png
USS 포틀랜드에서 찍은 아르테미스 1호의 귀환
2022년 12월 11일, 미션 26일 차



3.6. 실시간 중계 영상[편집]



3.6.1. 발사 라이브[편집]



3.6.2. 문 아웃바운드 환승 라이브[편집]



3.6.3. 궤도를 도는 달 라이브[편집]



3.6.4. 지구로 복귀 라이브[편집]



3.6.5. 오리온 화면 라이브[편집]


IBM NASA Artemis l LIVE
Artemis I Live Feed from Orion Spacecraft (Official NASA Broadcast)


4. 둘러보기[편집]




파일:나무위키 하얀 별 로고.svg 21세기의 우주개발
[ 펼치기 · 접기 ]

현재 주요 우주개발 프로젝트
파일:NASA_Artemis_Gateway_logo.png
루나 게이트웨이

화성 개척
파일:아르테미스 계획 휘장.svg
아르테미스 계획
주요 우주개발 기관
파일:NASA 로고.svg파일:러시아 연방 우주국 로고.svg파일:유럽 우주국 로고.svg
파일:국가항천국 로고.svg파일:JAXA 로고.svg파일:인도 우주연구기구 로고.svg
주요 우주개발 기업
파일:스페이스X 로고.svg파일:e09f7d22dc9bc30461d3df3936811718.png파일:blue-origin-logo.png
파일:로켓 랩 로고.png파일:아리안스페이스 로고.svg파일:버진 갤럭틱 로고.svg
국가기관 주력 발사체
ta-hash-start=w-57059f591928daaeb800384fdbef7627[[파일:러시아 국기.svg 소유즈ta-hash-start=w-57059f591928daaeb800384fdbef7627[[파일:러시아 국기.svg 안가라ta-hash-start=w-57059f591928daaeb800384fdbef7627[[파일:러시아 국기.svg 프로톤
ta-hash-start=w-4a44a230105ccdbcc59c27720a7982da[[파일:미국 국기.svg SLS파일:유럽 우주국 로고.svg 베가-Cta-hash-start=w-1673f24c9abe37f84014c11314ec7643[[파일:중국 국기.svg 창정
ta-hash-start=w-52c63b89e1a61f9509cf2c409902d88f[[파일:인도 국기.svg PSLVta-hash-start=w-52c63b89e1a61f9509cf2c409902d88f[[파일:인도 국기.svg GSLVta-hash-start=w-9bb65bb66d0ca2d0f61045758778f0d2[[파일:일본 국기.svg 엡실론
ta-hash-start=w-b53b3a3d6ab90ce0268229151c9bde11[[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누리ta-hash-start=w-acc06626b90dd42608681ea114cf4017[[파일:북한 국기.svg 천리마-1
민간기업 주력 발사체
ta-hash-start=w-4a44a230105ccdbcc59c27720a7982da[[파일:미국 국기.svg 팰컨 9ta-hash-start=w-4a44a230105ccdbcc59c27720a7982da[[파일:미국 국기.svg 팰컨 헤비ta-hash-start=w-4a44a230105ccdbcc59c27720a7982da[[파일:미국 국기.svg 아틀라스 V
ta-hash-start=w-4a44a230105ccdbcc59c27720a7982da[[파일:미국 국기.svg 델타 IV 헤비ta-hash-start=w-9bb65bb66d0ca2d0f61045758778f0d2[[파일:일본 국기.svg H-IIAta-hash-start=w-1673f24c9abe37f84014c11314ec7643[[파일:중국 국기.svg 콰이저우
소형 발사체
ta-hash-start=w-4a44a230105ccdbcc59c27720a7982da[[파일:미국 국기.svg 일렉트론ta-hash-start=w-4a44a230105ccdbcc59c27720a7982da[[파일:미국 국기.svg 런처원ta-hash-start=w-4a44a230105ccdbcc59c27720a7982da[[파일:미국 국기.svg 페가수스
ta-hash-start=w-b53b3a3d6ab90ce0268229151c9bde11[[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빛-TLV
운용 예정 발사체
ta-hash-start=w-4a44a230105ccdbcc59c27720a7982da[[파일:미국 국기.svg 스타십ta-hash-start=w-4a44a230105ccdbcc59c27720a7982da[[파일:미국 국기.svg 뉴 글렌ta-hash-start=w-4a44a230105ccdbcc59c27720a7982da[[파일:미국 국기.svg 벌컨
ta-hash-start=w-4a44a230105ccdbcc59c27720a7982da[[파일:미국 국기.svg 뉴트론ta-hash-start=w-57059f591928daaeb800384fdbef7627[[파일:러시아 국기.svg 이르티시파일:유럽 우주국 로고.svg 아리안 6
ta-hash-start=w-9bb65bb66d0ca2d0f61045758778f0d2[[파일:일본 국기.svg H-IIIta-hash-start=w-b53b3a3d6ab90ce0268229151c9bde11[[파일:대한민국 국기.svg KSLV-IIIta-hash-start=w-4a44a230105ccdbcc59c27720a7982da[[파일:미국 국기.svg 테란 1
소형 발사체
ta-hash-start=w-b53b3a3d6ab90ce0268229151c9bde11[[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고체연료 발사체ta-hash-start=w-b53b3a3d6ab90ce0268229151c9bde11[[파일:대한민국 국기.svg KSLV-s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6 16:32:29에 나무위키 아르테미스 1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주의] 아르테미스 계획 전에 나온 애니메이션이다.[1] Vehicle Assembly Building[2] LC-39B 발사장 앞에 조립동으로의 운송장비(Crawler Transporter)가 허리케인 대비 비상복귀 목적으로 9월 24일부터 이미 있었기 때문에 3차 발사 스크럽 후 조립동으로 빠르게 복귀할 수 있었다.[3] 받는 지구의 중력보다 달의 중력이 더 세지는 지점[4] 최고 근접 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