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렉트론 로켓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 하얀 별 로고.svg 21세기의 우주개발

[ 펼치기 · 접기 ]
현재 주요 우주개발 프로젝트
파일:NASA_Artemis_Gateway_logo.png
루나 게이트웨이

화성 개척
파일:아르테미스 계획 휘장.svg
아르테미스 계획
주요 우주개발 기관
파일:NASA 로고.svg
파일:러시아 연방 우주국 로고.svg
파일:유럽 우주국 로고.svg
파일:국가항천국 로고.svg
파일:JAXA 로고.svg
파일:인도 우주연구기구 로고.svg
주요 우주개발 기업
파일:스페이스X 로고.svg
파일:e09f7d22dc9bc30461d3df3936811718.png
파일:blue-origin-logo.png
파일:로켓 랩 로고.png
파일:아리안스페이스 로고.svg
파일:버진 갤럭틱 로고.svg
국가기관 주력 발사체
[[러시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 소유즈
[[러시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 안가라
[[러시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 프로톤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SLS
파일:유럽 우주국 로고.svg 베가-C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 창정
[[인도|

파일:인도 국기.svg
]] PSLV
[[인도|

파일:인도 국기.svg
]] GSLV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엡실론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누리
[[북한|

파일:북한 국기.svg
]] 천리마-1

민간기업 주력 발사체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팰컨 9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팰컨 헤비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아틀라스 V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델타 IV 헤비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H-IIA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 콰이저우
소형 발사체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일렉트론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런처원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페가수스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한빛-TLV
운용 예정 발사체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스타십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뉴 글렌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벌컨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뉴트론
[[러시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 이르티시
파일:유럽 우주국 로고.svg 아리안 6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H-III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KSLV-III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테란 1
소형 발사체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고체연료 발사체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KSLV-s




Electron

파일:rocketlab-pickering2.jpg

운용 여부
운용중
높이
17m
폭 (지름)
1.2m
총 스테이지 수
2단
연료
RP-1 / LOX
추력
진공 192kN(4,3000lbf)
탑재 능력
300 kg (LEO)
200 kg (SSO)
최초 비행
2017년 5월 25일
발사 장소
[[뉴질랜드|

뉴질랜드
display: none; display: 뉴질랜드"
행정구
]]
마히아 반도 Launch Complex 1
[[미국|

미국
display: none; display: 미국"
행정구
]]
버지니아 Wallops 섬 LC-2
발사 횟수
35 (성공: 32 / 실패: 3)

1. 개요
2. 엔진
3. 재사용 계획
4. 발사 기록



1. 개요[편집]




미국뉴질랜드계 민간 로켓 기업 로켓 랩의 주력 발사체. 세계 최초의 100% 탄소섬유 재질 로켓이다. 원래 탄소섬유는 로켓에는 적합하지 않았지만, 로켓랩은 꾸준한 개발을 통해 탄소섬유를 써먹기에 이르렀다. 덕분에 무게는 굉장히 가벼워졌고 로켓의 효율성도 높아졌다. 엔진 배치 등의 외형이 경쟁사인 스페이스X팰컨 9와 닮았지만, 높이 17m로 스페이스X의 초기 모델인 팰컨 1은 물론 은하 3호보다도 작다. 그러나 지구 저궤도에 발사 가능한 페이로드 중량은 은하 3호가 200kg, 일렉트론이 300kg로 성능은 일렉트론이 앞선다.

로켓의 구조와 성능을 보자면, 1단은 러더포드 엔진 9개 (팰컨 9의 그것과 비슷하다.), 2단은 진공 러더포드 엔진 1개로 구성된다. 또 퀴리 엔진이 장착된 3단 Kick-stage 로켓도 옵션으로 장착할 수 있다. 발사시 162kN의 추력을 내는 1단은 비록 작아보여도 로켓 동체 크기와 비교하면 좋다.

참고로 로켓이 흰색-검정색 계열의 도색을 가지고 있는것으로 보일수 있지만, 사실 다 검정색이다. 흰색-검정색 계열 도색으로 보이는 이유는 액화산소가 극도로 차가워서[1] 로켓 외벽에 얼음이 생기기 때문이다.


2. 엔진[편집]


파일:rocketlab2_big.jpg

파일:Rutherford-engine_1000x1500.jpg

러더퍼드 엔진.
핵물리학자 어니스트 러더퍼드의 이름을 차용한 엔진이다. 타사의 로켓 엔진들, 즉 가스 제너레이터식 엔진과 비교했을 때 가장 큰 차이점은 예연소기(프리버너)가 없다. 보통 로켓 엔진은 연료와 산화제를 탱크에서 연소실로 가져올 때 펌프를 사용하고, 펌프의 원동력으로 연료와 산화제 일부를 빼와 예연소기에서 연소반응을 이용하는데, 러더퍼드 엔진은 이 과정에서 전기 모터를 사용한다. 가스 제너레이터식 엔진에 비하면 펌프의 효율이 떨어지고 오히려 배터리와 전기모터가 페이로드 중량을 잡아먹는다는 단점이 있지만, 대부분의 공정에서 3D 프린터를 사용하여 개발 및 생산 비용을 크게 절감하였다.


3. 재사용 계획[편집]




2019년 8월 7일 로켓랩 중대발표를 통해 공개된 계획으로, 스페이스X팰컨 9처럼 로켓 재사용 기술을 통해 일렉트론도 발사비용을 크게 낮출 계획이라고 한다. 정황상 스페이스X가 이틀 전 공개한 소형위성 공동발사 서비스에 대한 맞불로 보인다.

영상을 간단히 요약하자면 1단 로켓은 분리된 직후부터 지구로 자유낙하하며, 엔진 주위에 방열판을 붙여 낙하 시의 열을 견디도록 할 계획이라 한다. 소형 로켓 특성상 연료를 아껴야 하기에 스페이스X처럼 대기권 재돌입 중에 역추진하지는 않고 재돌입 후 풍선 겸 낙하산인 Ballute를 펼쳐 1차 감속을 한다. 그런 다음 2차 감속용으로 패러글라이더를 펼쳐 활공비행하며 이때 로켓 랩 소속 헬리콥터가 패러글라이더를 갈고리에 걸어 로켓을 잡은 뒤 수송선박에 싣고 돌아온다.

이 방식은 키홀 위성의 전신인 코로나 위성의 필름 회수과정과 동일하며, 로켓 재활용 사례 중에서는 과거 시도되었던 스페이스X팰컨 9 초기형의 낙하산 회수방식과 유사하다. 기술 자체는 로켓 랩의 투자기업인 록히드 마틴의 로켓 재사용 기술이 들어간 것으로 추정된다.

2020년 11월 20일 발사에서 처음으로 통제된 해수면 착수(Controlled ocean landing)에 성공했고, 2022년 5월 2일 발사에서 처음으로 헬리콥터로 부스터를 포착하는 데 성공했다. 다만 해당 시도는 포착 직후 헬리콥터 조종사가 하중 배분에 이상을 감지해 부스터를 바다에 떨어뜨리면서 실제 회수에는 이르지 못했다.


4. 발사 기록[편집]


일렉트론 로켓 발사의 전통으로, 모든 미션에 발사 전 특수한 임무 명칭이 붙는다.

임무 명칭
발사 일자 (UTC)
성공여부
발사 장소
의뢰 기관
발사영상
It's A Test
2017년 5월 25일
실패
LC-1A
로켓 랩[2]
영상
Still Testing
2018년 1월 21일
성공
LC-1A
공동발사
영상
It's Business Time
2018년 11월 11일
성공
LC-1A
공동발사
영상
This One's For Pickering
(NASA ELaNa-19)
2018년 12월 16일
성공
LC-1A
NASA
영상
Two Thumbs Up
(DARPA R3D2)
2019년 3월 28일
성공
LC-1A
DARPA
영상
That's A Funny Looking Cactus
(STP-27RD)
2019년 5월 5일
성공
LC-1A
미 공군
영상
Make It Rain
2019년 6월 29일
성공
LC-1A
공동발사
영상
Look Ma, No Hands
2019년 8월 19일
성공
LC-1A
공동발사
영상
As The Crow Flies
2019년 10월 17일
성공
LC-1A
Astro Digital
영상
Running Out Of Fingers
2019년 12월 6일
성공
LC-1A
공동발사
영상
Birds Of A Feather
2020년 1월 31일
성공
LC-1A
미 국가정찰국
영상
Don't Stop Me Now
2020년 6월 13일
성공
LC-1A
공동발사
영상
Pics Or It Didn't Happen
2020년 7월 4일
실패
LC-1A
공동발사
영상
I Can't Believe It's Not Optical
2020년 8월 31일
성공
LC-1A
Capella Space
영상
In Focus
2020년 10월 28일
성공
LC-1A
공동발사
영상
Return To Sender
2020년 11월 20일
성공[3]
LC-1A
공동발사
영상
The Owl's Night Begins
2020년 12월 15일
성공
LC-1A
Synspective
영상
Another One Leaves The Crust
2021년 1월 20일
성공
LC-1A
OHB
영상
They Go Up So Fast
2021년 3월 23일
성공
LC-1A
공동발사
영상
Running Out Of Toes
2021년 5월 15일
실패
LC-1A
BlackSky
영상
It's A Little Chile Up Here
2021년 7월 29일
성공
LC-1A
미 우주군
영상
Love At First Insight
2021년 11월 18일
성공
LC-1A
BlackSky
영상
A Data With Destiny
2021년 12월 9일
성공
LC-1A
BlackSky
영상
The Owl's Night Continues
2022년 2월 28일
성공
LC-1B
Synspective
영상
Without Mission A Beat
2022년 4월 2일
성공
LC-1A
BlackSky
영상
There And Back Again
2022년 5월 2일
성공[4]
LC-1A
공동발사
영상
CAPSTONE
2022년 6월 28일
성공
LC-1B
NASA
영상
Wise One Looks Ahead
2022년 7월 13일
성공
LC-1A
미 국가정찰국
영상
Antipodean Adventure
2022년 8월 4일
성공
LC-1B
미 국가정찰국
영상
The Owl Spreads Its Wings
2022년 9월 15일
성공
LC-1B
Synspective
영상
It Argos Up From Here
2022년 10월 7일
성공
LC-1B
NOAA/CNES
영상
Catch Me If You Can Launch
2022년 11월 4일
성공
LC-1B
SNSA/OHB Sweden
영상
Virginia Is For Launch Lovers
2023년 01월 24일
성공
LC-2
HawkEye 360
영상
Stronger Together
2023년 03월 16일
성공
LC-2
Capella Space
영상
The Beat Goes On
2023년 03월 24일
성공
LC-1B
BlackSky via Spaceflight Inc.
영상
Rocket Like A Hurricane
2023년 05월 08일
성공
LC-1B
NASA
로켓랩 영상
NASA 영상
Coming to a Storm Near You
2023년 05월 26일
성공
LC-1B
NASA
로켓랩 영상
NASA 영상
Scout's Arrow
2023년 05월 26일
성공
LC-2
Rocket Lab
로켓랩 웹사이트

Baby Come Back
2023년 7월 18일
성공[5]
LC-1B
공동발사 [6]
영상
We Love The Nightlife
2023년 08월 24일
성공
LC-1
Capella Space
영상
We Will Never Desert You
2023년 09월 19일
실패[7]
LC-1
Capella Space
영상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5 03:33:09에 나무위키 일렉트론 로켓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약 영하 180도쯤.[2] 테스트 발사[3] 첫 해수면 회수 성공[4] 첫 헬리콥터 포착 성공[5] 재점화와 낙하산으로 착수후 회수성공[6] Rocket Lab,NASA,SFL [7] 단 분리 직후 2단 점화중 이상 현상 발생으로 발사 실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