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호부인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부호부인(鳧好夫人) / 강화부인(康和夫人)(?)[1]
별칭
부이(鳧伊)
이름
부호(鳧好)?
배우자
김위홍
생몰연도
? ~ ?

1. 개요[편집]


신라 말기의 인물. 김위홍의 전처[2]. 경문왕에게는 제수가 되며 헌강왕, 정강왕, 진성여왕에게는 숙모이다. 막내 시조카 진성여왕의 유모이기도 하다. 가계나 성씨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삼국사기에는 등장하지 않고 삼국유사의 <진성여대왕거타지조>에서 딱 1번 나온다. 진성여왕이 즉위한 지 몇 년이 지난 후, 남편 김위홍[3]과 더불어 정치를 문란케 했다고 서술되어 있다.

삼국사기에서는 김위홍만 2번 등장하고 부호부인은 나오지 않지만, 삼국유사에서는 '여왕의 유모 부호부인과 그 남편 위홍잡간'이라고 쓰여 있어 부호부인 쪽이 강조되고 김위홍이 아내 덕에 여왕의 총애를 받는다는 느낌이 강하다.[4]

신라에서 왕후를 가리키는 부인(夫人)의 호를 받은 것으로 보아 남편 김위홍이 사후 혜성대왕으로 추존될 때 세트로 부인에 봉해진 것일 수도 있다[5]. 그런데 추존의 주체가 김위홍의 후처[6]진성여왕이라는 것을 생각해보면 뭔가 묘하다... 로얄 미스트리스에서 성별만 반대로 바꿔서 부호부인이 진성여왕의 총애를 얻기 위해 자신의 남편을 바쳤을 가능성도 있지만 이 또한 추정이다. 추존 국왕의 아내가 되었으므로 그녀 또한 왕대비의 지위를 얻어[7] 수렴청정할 권한을 얻게 되었을 수도 있다.

그러나 상술한 봉보부인 등 전근대 귀족사회의 유모는 대개 천민인 경우가 많았으므로, 부호부인도 김위홍의 본처가 아닌 첩실일 수도 있다. 삼국유사 왕력편에서는 김위홍이 진성여왕의 남편이라고 서술했다가 기이편에서는 부호부인의 남편이라고 서술하여 기록상 혼돈이 나타나는 것 또한 이에 기인했을 수도 있다. 왕거인의 다라니에 나오는 “3명의 아찬”이 그녀와 김위홍의 자식들이라면, 6두품의 여성일 수도 있다. 그러나 위홍이 부호부인 사별 후 진성여왕과 재혼했다는 설을 따르면 본처이다.

이외에 삼국유사에서 진성여왕의 막내아들이라는 김양정(金良貞)은 연대를 따져봤을 때 부호부인의 소생일 수도 있다. 860년 결혼한 경문왕의 세 번째 자녀인 진성여왕이 888년 김위홍과 다시 사통하여 최소 두 명의 아들을 낳고 그 마지막 아들이 897년까지 장성하기는 꽤 시간적으로 촉박하기 때문이다. 또한 진성여왕의 유모이기도 하므로, 그녀의 자식들[8] 중 진성여왕과 같은 연배의 아들이 있었을 수도 있다.

태조 왕건에서는 위홍의 처라고만 불린 김위홍의 아내가 나오지만 이 사람이 부호부인이라는 언급이 없다. 또한 부호부인인 김위홍과 함께 권세를 휘두른 걸로 사료에 적혀있지만 이쪽은 김위홍의 불륜이나 실정을 비판하는 태도를 꾸준히 보여준지라 사실상 창작인물에 더 가깝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1 05:57:24에 나무위키 부호부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매계집»에 따르면 위홍의 아내라고 한다. 다만 음운상 그의 어머니인 광화부인과 유사한 점을 보면 오기로 보는 것이 합당할 수 있다. 오기가 아니라면 후술할 이유로 부호부인이 김위홍의 첩실이고 강화부인이 (어떠한 이유로든지) 정실에 해당할 수도 있다.[2] 후처는 진성여왕이다.[3] 삼국사기에서는 진성여왕 2년에 사망하지만 여기서는 멀쩡히 살아있다(...).[4] 참고로 김위홍이 경문왕의 남동생이자 헌강왕, 정강왕, 진성여왕의 숙부라는 사실은 삼국사기, 삼국유사에 나오지 않고 후대의 금석문 발굴로 밝혀졌다.[5] 물론 왕의 유모를 봉보부인으로 삼았던 조선과 같은 관습으로 봉해진 것일 가능성도 있다.[6] 삼국사기에서는 둘을 내연 관계로 묘사했다.[7] 진성여왕의 어머니 문의왕후는 이미 사망한 상태였다. 차비 김씨의 경우 생사를 알 수 없고 출궁되었을 수도 있다.[8] 김양정인지 기록되지 않은 그의 큰아들인지는 알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