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분당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새로운미래




1. 개요
2. 발단
3. 전개
3.1. 세력 분화
3.1.1. 잔류파 중심 더불어민주당
3.1.2.1. 원외 이낙연계 '민주주의실천행동' 창당 선언
3.1.4. 이용섭 前 광주시장 창당 시사
3.1.5. 더불어민주당 출신 무소속 창당설
3.1.5.2. 손혜원 신당 창당설
3.1.5.3. 조국 신당 창당설
3.2. 제3지대 세력과의 연대?
4.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1987년 6월 항쟁 이후 민주당계 정당 역사상 6번째 분당이다.[1] 또한 민주당계 정당 역사상 가장 규모가 작은 분당이다.[2]


2. 발단[편집]




2022년 8월 전당대회를 통해 이재명 의원이 더불어민주당의 제6대 대표로 선출되었고 친이재명계가 당의 중심으로서 당을 이끌던 상황을 못마땅하게 여기던 이낙연 전 총리를 중심으로 한 비이재명계를 중심으로 불만이 고조되어 갔다. 이재명 체포동의안 표결에서 민주당 내부에서 일부가 가결에 표를 던진 것이 드러나 이후 계속 급속도로 관계가 험악해져 이낙연 전 대표가 "가칭 이낙연 신당" 창당을 시사하고, 더불어민주당 내부 비명계인 원칙과 상식도 신당 창당을 시사하면서 더불어민주당 분당이 가시화되었다. 이후에 이낙연 전 대표가 12월 13일, 신당 창당 질문에 한다고 답변해 실제로 신당 창당 가능성이 높아보였다. 이후 원칙과 상식 의원 중 윤영찬 의원을 제외한 3인이 1월 10일 제일 먼저 더불어민주당을 탈당하고, 이후 1월 11일에는 이낙연 전 총리도 탈당하였다.

이낙연 신당 합류를 확정한 이석현 전 국회부의장은 “민주당에서 이낙연 신당 합류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국회의원은 7~8명 정도” 라고 주장했다.


3. 전개[편집]



3.1. 세력 분화[편집]


더불어민주당

더불어민주당

새로운미래

새로운미래

개혁신당

미래대연합[3]

무소속[4]

정치검찰해체당 (가칭)[5][6]

3.1.1. 잔류파 중심 더불어민주당[편집]


이낙연 전 총리를 비롯한 비주류가 탈당하자 친명, 친노/친문계는 잔류를 선택했다. 친낙/비명계 의원들은 1월 10일, 1월 11일에 일부가 탈당할 예정이고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지역구 후보 공천에서 컷오프당하는 인물들은 탈당할 가능성이 높다.

일부 비주류 계열이 탈당하여 새로운미래로 결집하면서 비주류의 세가 줄어들어 친명계를 중심으로 한 주류 세력의 세가 더 강해졌다.


3.1.2. 이낙연 신당 '새로운미래'[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새로운미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이낙연이 탈당해서 만든 신당이다. 원외 이낙연계 일원들도 합류한 상황. 그리고 원칙과 상식 계열이 만든 창준위인 미래대연합을 흡수해서 창당하였다. 다만 조응천이원욱은 여기에 합류하지 않았다.

2024년 2월 9일, 위에 언급한 조응천,이원욱 그리고 새로운선택과 같이 개혁신당으로 흡수되었다.

3.1.2.1. 원외 이낙연계 '민주주의실천행동' 창당 선언[편집]

신당 창당을 선언한 이낙연계 그룹으로 원외 반명 성향 유권자들이 참여하고 있다. 이들은 # 윤석열 대통령의 당무개입을 두고 '소수에 의한 전체주의'라면서 이를 용산전체주의로, 이재명 대표 지지자들의 문자폭탄을 두고 '다수에 의한 전체주의'를 개딸 전체주의라고 규정하며 비판했다.

원칙과 상식과의 연대 가능성은 아직 확정되진 않았지만, 성향을 보면 같이 할 가능성이 높다는 의견도 있다. 실제로 원칙과 상식 토크쇼에서 민주주의실천행동 측의 피켓 구호를 외치기도 하였다. # 이낙연 전 대표가 신당 창당을 공식화하면서 이 신당에 합류할 가능성이 높아졌으며, 결국 이들도 민주당을 탈당하고 이낙연 전 대표의 쉽지 않은 길에 동행하겠다며 이낙연 신당 지지를 표명했다.#


3.1.3. 원칙과 상식 신당 '미래대연합'[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미래대연합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024년 2월 4일자로 새로운미래에 흡수통합되었다.

3.1.4. 이용섭 前 광주시장 창당 시사[편집]


이용섭 시장이 제3의 혁신 신당이 만들어진다면 민주당 등이 하지 못한 혁신을 이룰 수 있다며 창당을 시사했다.#

양향자, 금태섭의 신당에는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나, 이낙연, 이준석과의 연대 가능성은 열어놓았고, 실제로 이준석의 토크 콘서트에 참석해 축사한 탓에 개혁신당 입당이 점쳐지고 있는 중이다. 타 신당 입당과 관련해선 “단일 신당에는 가입하지 않을 것”이라며 “지금 나와있는 단일 신당들을 묶어내는 역할을 하고, 통합 신당이 만들어지면 그때 어떻게 할 것인가는 가봐야한다”고 설명했다.


3.1.5. 더불어민주당 출신 무소속 창당설[편집]


  • 현재 신당에 합류하지 않은 인사중 나무위키에 문서가 존재하는 인물
    • 장만채 전 전남교육감 1월 16일 탈당
    • 이원욱 현직 국회의원 1월 10일 탈당
    • 조응천 현직 국회의원 1월 10일 탈당

3.1.5.1. 송영길 신당 '(가칭) 정치검찰해체당'[편집]

송영길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비례 전용 신당 창당을 시사했다. 송영길은 신당 창당 언급과 함께 조국이나 변희재, 이언주, 이준석과의 연대도 열려있다는 발언을 하였다.[7] 조국은 최근에 문재인 전 대통령을 만나는 등 정치적 행보를 보이고 있고 송영길 대표의 언급으로 미루어 보아 직접 신당 창당을 시사한 적은 없지만 함께 할 가능성은 있다. 만약 창당된다면 민주당에 우호적인 정당이 될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정작 더불어민주당의 반응은 시원찮다. 민주당 홍익표 원내대표와 최혜영 원내대변인을 비롯해 상당수의 민주당 지지자들이 이 신당을 비판적으로 보고 있다.

12월 2일 인터뷰에서 일명 '윤석열 퇴진당'[8] 창당을 시사하였다. 비례정당 형식의 신당이 될 것이며, 반윤석열 세력을 모으면 ‘200석 압승’을 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이외에도 이준석과 이언주와의 연대를 시사했다. #

그러나 동년 12월 19일 총선이 얼마 안 남은 시점에서 송영길이 구속되면서 창당이 힘들 것으로 예상했지만, 2024년 1월 19일, 유튜브 커뮤니티를 통해 옥중 창당을 선언했다. #

3.1.5.2. 손혜원 신당 창당설[편집]

손혜원 전 민주당 의원이 김남국 의원과 송영길 전 대표의 정치적 생명을 살리기 위해 호남 기반의 비례대표 전용 신당 창당을 하겠다고 밝혔다. # 송영길이 창당을 추진하고 있는 (가칭)정치검찰해체당에 합류할 가능성도 있다.


3.1.5.3. 조국 신당 창당설[편집]

조국을 중심으로 친문계가 비례대표 정당을 창당한다는 설이 나왔다. # 실제로 조국은 최근에 문재인 전 대통령까지 만나며 ‘비법률적 방식의 명예회복’을 거론하면서 내년 총선 출마를 시사하면서 정치적 행보를 보이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측 반응은 당연히 좋지 않다.[9] # 민주당의 최혜영 원내대변인과 홍익표 원내대표 등은 우려를 표하며 신당과 선을 긋는 모습을 보였다. #

하지만 11월 22일 본인의 SNS에 신당 설에 대해 일축하고 민주당을 필두로 하여 정권 심판을 하겠다는 글을 게시하며 신당 창당에 대해 선을 그었지만, # 2023년 12월 5일, 김어준의 겸손은 힘들다 뉴스공장에서 신당 창당 의지를 밝히며 그간의 입장을 바꾸었다. # 다만 단순히 싱크탱크 역할만 할 것이라는 관점도 있다.

홍종학중소벤처기업부장관이 조국과 행동을 같이 하고 있다.

리셋코리아행동이라는 이름으로 창당을 준비한다는 기사가 속속들이 나오고 있다. #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046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3.1.9;"
, 3.1.9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046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3.1.9;"
, 3.1.9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3.2. 제3지대 세력과의 연대?[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새로운미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새로운선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개혁신당/다른 정당과의 관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2-09 18:02:10에 나무위키 더불어민주당 분당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1987년 통일민주당 분당 (평화민주당 창당), 1995년 민주당 분당 (새정치국민회의 창당), 2003년 새천년민주당 분당 (열린우리당 창당), 2007년 열린우리당 분당 (중도개혁통합신당 창당), 2015년 새정치민주연합 분당 (국민의당 창당), 2024년 더불어민주당 분당 (새로운미래 창당)[2] 다른 분당의 경우 현역 의원이 최소 20명씩 당을 이탈하여 최소 교섭단체가 생성되었다. 1987년과 1995년의 분당은 김대중을 지지하는 동교동계와 호남 출신 의원들이 줄지어 탈당했고 2003년 분당 때는 친노 계열 정치인들이 대거 탈당했으며 2007년 분당 때도 김한길계 정치인 20여명이 탈당했다. 2015년에는 안철수계 정치인들과 새정치민주연합 내 강성 비문 세력이 대거 당을 나갔다.[3] 김종민, 이원욱, 조응천원칙과 상식[4] 이원욱, 조응천[5] 송영길[6] 민주당에 우호적인 정당이 될 가능성이 크다.[7] 다만 이준석이 확실히 선을 그어 송영길의 신당창당을 원하지 않는 민주당 지지자들은 오히려 다행이라는 반응을 보였다.[8] 물론 국민의당 창당 직전에 나온 '안철수신당'의 예시에도 알 수 있듯 선관위 측에서 사람 이름을 직접 넣은 당명은 쓸 수 없다는 유권해석을 내린 바 있기 때문에 검찰개혁당 등의 다른 이름으로 창당 예정이라고 한다. '윤석열퇴진당'이라는 건 어디까지나 비유적 의미로 쓴 말이다.[9] 대선 당시 조국 사태에 대해 사과하며 이른바 '조국의 강'을 건넜기에 더더욱 그렇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