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일(북한)

최근 편집일시 :




[ 펼치기 · 접기 ]

내각 수상
정무원 총리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김일성
김일



정무원 총리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제10대
박성철
리종옥
강성산
리근모




정무원 총리
내각 총리

제11대

제12대
제13대
제14대
제15대
연형묵
강성산
홍성남
박봉주





제16대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김영일
최영림
박봉주




제21대

제22대
김재룡
김덕훈



1. 개요
2. 생애
3. 대중매체에서


金一
1910년 ~ 1984년 3월 9일


1. 개요[편집]


본명은 박덕산(朴德山)으로, '김일'이라는 이름은 광복 직후 김일성이 '나밖에 본명을 모른다'는 뜻으로 하사했다고 한다.


2. 생애[편집]


함경북도 출신으로 김일성과 함께 중국 공산당이 지휘하는 동북항일연군에서 항일 빨치산 활동을 했다.

광복 후 귀국해서 1945년 11월에 북조선공산당 평북 당비서, 1946년 4월에 북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상무위원 겸 정치위원 등을 지냈고, 1946년 9월에는 제1사단 문화부사단장이 되었다. 1948년 9월 정부가 수립되자 민족보위성 문화부상(☆)[1]으로 임명되었다.

1948년에 최고인민회의 제1기 대의원에 선출되었고, 이후 사망시까지 계속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으로 선출되었다. 6.25전쟁 당시 민족보위성 문화부상으로 6.25 전쟁에 참전했으나, 1950년 12월 패배주의적 언동[2]을 했다는 이유로 좌천되었다.[3]

이후 김일성의 전폭적인 신임 덕분에 1953년 6월에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비서, 8월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 중앙위원회 상무위원회 위원, 당 군사위원회 위원 등에 선출되면서 정계에 다시 복귀했다.

박헌영을 위시한 남로당파가 대거 숙청당하자 1954년 부수상 겸 농업상에 선임되었고, 1959년 8월 종파사건이 거의 정리된 시점에선 제1부수상이 되어 김일성, 최용건에 이은 서열 3위에 오르면서 각종 직책들을 역임했다. 1972년 12월 김일성이 주석, 최용건이 제1부주석이 되면서 김일은 정무원 총리에 선출되었다.

최용건 사후에는 제1부주석이 되었고, 1979년에는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위원장에 취임하면서 대남관계에서도 활동하게 되었다.

1980년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상무위원회 위원에 김일성, 김정일, 오진우, 리종옥과 함께 5인의 한 명으로 선출되면서 권력의 정점에 오르게 되었다.서열 3위 시점에서 이미 정점 중의 정점입니다만

1984년 3월 오랜 병고 끝에 사망했고, 장례는 국장으로 치러졌다.


3. 대중매체에서[편집]


1980년작 KBS-TV 100분 드라마 《붉은 왕조》에선 배우 이일웅이 연기했는데, 1982년작 《지금 평양에선》과 1984년작 6.25 연속기획 《함정》에서도 같은 배역을 맡았다.
[1] 민족보위성 부상은 대한민국으로 친다면 국방부 차관 정도 되는 직책이다[2] 그래도 전쟁 발발 후 얼마 지나지 않아 북한 공군이 미 공군에게 얻어 터지고 난 이후 항공전력의 중요성을 체감한 상황에서 '현대전에서 비행기 없이는 싸우지 못한다' 라고 주장한, 나름 합리적인 발언이었다. [3] 6.25전쟁 당시에는 계파를 막론하고 패전의 책임을 물어 좌천당한 인물들이 여럿 있었다. 연안파의 김무정과 전우 등도 그렇고, 소련파의 리청송, 심지어 김일성의 최측근이라는 빨치산파 역시 이때만 해도 최광, 림춘추, 김광협 등이 좌천되었다. 김일의 경우에는 연안파인 김무정의 숙청에 공정성을 실어주기 위해 덤터기로 좌천된 경우였다. 물론 덤터기인 만큼 전쟁이 끝나고 승승장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