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하(1896)

덤프버전 :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제주특별자치도지사

[ 펼치기 · 접기 ]
초대
박경훈
제2대
유해진
제3대
임관호
제4대
김용하
제5대
김충희
제6대
최승만
제7대
길성운
제8대
전인홍
제9대
양제박
제10대
김선옥
제11대
강성익
제12대
김영관
제13대
강우준
제14대
정우식
제15대
구자춘
제16대
권용식
제17대
이승택
제18대
장일훈
제19대
강신익
제20대
박상렬
제21대
이규이
제22대
최재영
제23대
장병구
제24대
이창수
제25대
이군보
제26대
홍영기

제27·28대
우근민
제29대
신구범
제30대
김문탁
제31대
신구범

제32·33대
우근민

제34·35대
김태환
제36대
우근민

제37·38대
원희룡
제39대
오영훈
파일:제주특별자치도 브랜드.svg
제주특별자치도지사 권한대행




제4대 제주도지사
김용하
金容河 | Kim Yongha


파일:우당 김용하.jpg

출생
1896년 12월 22일
전라남도 제주목 신우면 하귀리
(現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하귀리)
사망
불명(1950년 납북)
본관
광산 김씨

우당(愚堂, 禹堂)
학력
평양고등보통학교 (졸업)
호세이대학 (예과 / 졸업)
경성제국대학 (철학 / 학사)
재임기간
제4대 제주도지사
1949년 4월 21일 ~ 1949년 11월 15일
경력
대구사범학교 교장
경상북도 학무부 학무과장
용산중학교 교장
경기사범학교 교장
서울대학교 상과대학 교수
제4대 제주도지사

1. 개요
2. 생애
3. 가족 관계
4. 우당도서관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교육인, 관료. 본관은 광산(光山)[1], 는 달우(達宇), 아호는 우당(愚堂, 禹堂).


2. 생애[편집]


1896년 12월 22일 전라남도 제주목 신우면 하귀리(현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하귀리)[2]#에서 아버지 김상수(金庠洙, 1871 ~ 1926. 6. 8)와 어머니 밀양 박씨 박계생(朴癸生, 1873 ~ 1937)[3] 사이의 4형제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평양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제주도에서 서기로 2년간 일하다 일본으로 건너가 도쿄 호세이대학 예과를 마쳤다. 귀국하여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에 입학하여 철학과를 제2회로 졸업했다.

졸업 후 함경북도 종성중학교 교사와 대구사범학교장을 지냈다. 박정희가 대구사범학교 재학 중일 때 학생과 교장으로 인연을 맺었다.[4]

해방 후 미군정에서 경상북도 학무부 학무과장에 임명되었고 서울 용산중학교와 경기사범학교[5] 교장을 거쳐 서울대학교 상과대학 교수가 되었다.

1947년 정부 중앙물자행정처 기획국장 및 중앙청소비조합 전무이사를 역임하고, 1949년 제4대 제주도지사로 임명되었다.

그러나 도지사 부임 7개월만에 표면적으로는 예전 사범학교 교장 시절의 공금횡령 등 혐의로, 실질적으로는 제주 4.3 사건 이후 혼란한 제주도정에 강경히 대응하지 못했다는 이유로 퇴임하였으며, 1950년 서울로 이주한 후 곧 6.25 전쟁이 발발하여 납북되었다.


3. 가족 관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범대우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부인 전주 전씨(全州 全氏) 전인항(全仁恒)은 평안북도에서 탄광을 운영하는 대부호의 집안에서 4남 3녀 중 둘째 딸로 태어났다. 숭덕학교를 거쳐 이화여자전문학교 보육과를 마쳤다. 졸업 후 영변으로 돌아가 유치원 선생과 소학교 피아노 선생으로 재직하다가 형부의 소개로 김용하와 결혼하였고, 6남1녀를 두었는데 둘째 아들은 6.25 전쟁 때 아버지 김용하와 같이 납북당했고 다섯째 아들이 전 대우그룹 회장 김우중이다. 그리고 차남 김윤중은 전인항 여사 소생이 아닌 것으로 보인다. 2003년 남북 이산가족 상봉때 생모를 김평아라고 기재했다는 기사가 있다.



4. 우당도서관[편집]


대우그룹에서는 김용하의 교육 정신을 기리기 위해 그의 호를 딴 우당도서관을 지어 제주도에 기증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6 14:40:12에 나무위키 김용하(1896)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문정공파-문간공파 35세. 본래는 35세손인데 조부 대부터 3세 아래의 항렬을 써서 38세손 용(容)자 항렬을 쓰게 되었다. 다음은 출처 사진이다. 파일:김용하 증손자 족보 1.png[2] 광산 김씨 집성촌이다.[3] 박성수(朴性守)의 딸이다.[4] 이러한 인연으로 경북대학교 대구캠퍼스 내에는 그의 호를 딴 '우당교육관'이라는 사범대학에서 사용하는 건물이 있다.[5] 1946년 설립된 초등교원 양성학교. 1949년 서울사범학교로 교명이 바뀌었고, 1963년 폐교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