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남여객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시외버스 회사에 대한 내용은 금남고속 문서
금남고속번 문단을
금남고속# 부분을
, 대전광역시의 시내버스 회사에 대한 내용은 금남교통 문서
금남교통번 문단을
#s-번 문단을
금남교통#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제주특별자치도 버스 회사
공영버스
(제주·서귀포)
관광지 순환버스
극동여객
금남여객
동복리 마을버스
동진여객
삼영교통
삼화여객
서귀포운수
우도사랑
협동조합
제주여객
제주특별자치도
관광협회
추자교통




금남여객운수(주)
錦南旅客運輸
Keumnam Passenger Service Co., Ltd

설립일
1970년 5월 22일
업종명
시내버스 운송업
대표자
조경수
사원수
287명[1]
기업 분류
중소기업
상장 여부
비상장
보유 대수
135대
주소지
본사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서광로 128 (오라삼동)
제2차고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제성1길 72(도두이동)[2]
서귀포영업소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중산간동로 8222 (호근동)
1. 개요
2. 특징
3. 보유 차고지
4. 운행 노선
4.1. 급행버스
4.2. 간선버스
4.3. 지선버스
5. 면허 체계
6. 현재 보유 차종
7. 과거 보유 차종



1. 개요[편집]


1970년 5월 22일에 설립한 제주특별자치도의 버스 회사로 급행버스 3개, 일반간선 5개, 제주시 간선 2개, 제주시 지선 4개, 서귀포시 지선 11개 노선을 운행하고 있다.

충청남도에 연고를 둔 금남고속광주광역시 원도심의 핵심도로인 금남로와는 관계가 없다. 물론 금남고속과 금남로도 한자가 '錦南'인데, 금남고속의 경우 본거지가 대전광역시인 회사답게 '금강의 남쪽'이라는 뜻이라고 추측할 수 있고, 금남로의 경우 임진왜란, 정묘호란 때 활약한 정충신(鄭忠信)의 봉호(금남군, 錦南君)에서 유래되었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지만, 제주도 금남여객의 금남은 무슨 뜻인지 잘 감이 오지 않는다. 한자 사명을 통해 풀이해보면 비단(錦) 같이 아름다운 남(南)쪽 섬(제주)을 뜻할 것으로 추측된다.

2017년 8월 대중교통 개편으로 서귀포시 지선버스를 운행하기 시작했으며, 개편 초기에는 신례리에 임시 차고지를 차려 영업하다 호근동에 서귀포영업소를 준공하여 현재에 이른다.


2. 특징[편집]


  • 삼영교통 다음으로 규모가 크며, 시외버스 출신 업체 중에서는 가장 큰 회사이다.

  • 전국에서 왕복 운행거리가 가장 긴 두 노선들이 모두 이 회사 소속이다.[3]

  • 과거 시외버스 출신의 타 회사와는 다르게 2017년 제주 시내버스 개편 전까지는 시외버스 노선에 고급형 챠량이 1대도 없었다가, 2017년 개편 때 고급형 차량이 투입되었다.

  • 급행버스 노선에 뉴 슈퍼 에어로시티BS106과 같은 일반좌석 차량을 일부 투입하는 다른 회사들과는 다르게, 이 회사는 예비차량을 포함한 모든 급행버스 차량을 고급형 차량인 현대 유니버스만 사용한다.

  • 그러나 저상버스는 운행하지 않는데, 331, 332번[4] 이외에는 대부분 초장거리 노선이거나 수요가 그다지 많지 않은 지선 노선들만 있기 때문이다. 추후 전기 저상버스가 도입되어도 331, 332번 또는 일부 서귀포시 지선버스에만 투입할 것으로 보인다.

  • 삼영교통, 삼화여객과 함께 전면부 사명을 한자로 붙였다. 해서체를 사용하여 정갈한 느낌을 주며 삼영교통처럼 사명의 네 글자 사이를 넓게 띄어둔 것이 특징이다.

  • 에어컨은 주로 두원공조의 것을 선호하나, 현대차량의 경우 풍성제 에어컨도 사용한다.


3. 보유 차고지[편집]


  • 제1차고지(본사)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서광로 128 (오라삼동 2401-10) - 제주버스터미널에서 400m 인근에 있으며, 간선버스, 지선버스(421~424) 위주로 주박한다.
  • 제2차고지(제주)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제성1길 72 (도두이동 1110-1) - 제주오일장 부근이며, 급행버스, 간선버스 위주로 주박한다.
  • 서귀포차고지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중산간동로 8222 - KCTV제주방송 서귀포지국 건너편이며, 서귀포 착발 노선, 지선버스(600번대) 위주로 주박한다.


4. 운행 노선[편집]



4.1. 급행버스[편집]




4.2. 간선버스[편집]


  • 201: 제주버스터미널 - 고성환승정류장 - 서귀포버스터미널
  • 211, 212: 제주버스터미널 - 대천환승정류장 - 성산항여객선터미널
  • 260: 제주버스터미널 - 송당리 - 해녀박물관
  • 295: 서귀포버스터미널 - 표선리 - 성산항여객선터미널
  • 331, 332: 한라수목원 - 제주국제공항 - 삼양종점(삼양3동포구)


4.3. 지선버스[편집]


  • 421, 422: 제주대학교 - 영평 - 중앙로 - 화북 - 제주대학교
  • 423, 424: 제주버스터미널 - 화북 - 영평 - 아라 - 제주시청 - 제주버스터미널
  • 611, 612: 충혼묘지광장 - 토평마을회관 - 중앙로터리 - 천지연폭포
  • 615: 하례2리입구 - 토평초교 - 서귀포향토오일시장/(남주고) - 중앙로터리 - 외돌개
  • 633: 대평리 - 중문우체국 - 서귀포버스터미널 - 서귀포여중(서귀포여고) - 서귀포등기소(구터미널) - 동문로터리 - 삼성여고
  • 641, 642: 천지연폭포 - 서귀포항 - 동문로터리 - 중앙로터리 - 서홍동복지회관 - 서귀포경찰서 - 월드컵경기장서문 - 수모루 - 서귀포여고 - 샛기정공원 - 서귀포항 - 천지연폭포
  • 643, 644: 농업기술원 - 신시가지 - 강정천 - 법환초 - 중앙로터리 - 농업기술원
  • 651, 652: 회수마을회관 - 중문우체국 - 중문고 - 강정천 - 서귀포여고 - 구터미널 - 동문로터리 - 서복전시관
  • 655: 천제연폭포 - 중문우체국 - 회수마을회관 - 신시가지 - 중앙로터리 - 서귀포농업기술센터 - 신례초교 - 제주공천포전지훈련센터


5. 면허 체계[편집]


  • 제주 79아 30##
  • 제주 79아 32##(지금은 없어진 영주운수의 면허.)


6. 현재 보유 차종[편집]



6.1. 현대자동차[편집]



6.2. 자일대우버스[편집]




7. 과거 보유 차종[편집]



7.1. 자일대우버스[편집]



7.2. 현대자동차[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5 05:57:12에 나무위키 금남여객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020년까지는 기업 정보 사이트에는 89명으로 조회되었나, 2021년 287명으로 제대로 정정해서 기업공시를 했다.[2] 급행버스 차량들의 차고지로 사용중이다.[3] 1위 201번, 2위 101번[4] 과거 100번이라는 노선번호로 삼영교통이 운영하던 시절에는 6대의 저상버스가 운행한 적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