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복수(탐라국)

덤프버전 :


파일:hangukeojok_jeju_little.png
탐라 군주


[ 펼치기 · 접기 ]
신화
시대

신화상
족보상
첫째
둘째
셋째
초대
양을나
고을나
부을나
고을나왕
삼국
시대


족보상 (~6세기)
제15대
제26대
제27대
제30대
고후
담왕
지운왕
담왕
문헌상 기록 (7세기)
제?대
제?대
제?대
도동음률
유리도라
고여
족보상 (9~10세기)
제43대
제44대
제45대
경직왕
민왕
자견왕
기타
고후 |

왕자*
고청 |

도내*
고계
담왕 | 도동음률
고려
시대

고자견 | 고말로 | 주물 | 고오노 | 가리 | 고일 | 두량 | 가야잉 | 가어내 | 가양잉 | 고복령 | 의인 | 구대 | 양호 | 고인조 | 고인단 | 고수좌 | 고복수 | 고순량 | 고순원 | 고실개 | 고신걸 | 고봉례

왕자
두라 | 양구미 | 호잉 | 수운나 | 문창우 | 문창유 | 문충걸 | 문충보 | 문충세
조선
시대


좌도지관
고봉례 | 고상온 | 고충원

우도지관
문충세
* 신라에 세 형제가 내조하여 각각 받은 칭호. 시기 불명. 고려사상 확인됨.
** 백제 문주왕에게 담왕이 받은 칭호로 족보상 기록됨, 후대 도동음률(명칭에 이설 있음)은 삼국사기상 좌평으로 확인됨.





1. 개요
2. 행적


高福壽
(? ~ ?)

1. 개요[편집]


공민왕 시기의 탐라 성주다.


2. 행적[편집]


고복수가 성주로서 남긴 가장 큰 행적은 몽골인 목호들과 함께 고려에 대항하는 반란을 일으킨 것이다.

50여년 전 성주 고인단원나라에 청해 탐라국은 다시 고려에 예속됐다. 그러나 제주도 현지에서 말을 키우던 몽골인 목호들은 키운 말을 모국에 바치기를 그만두지 않았다. 목호들은 원나라를 배격하고 명나라를 따르게 된 공민왕을 달가워하지 않았을 것인데[1], 마침 제주도의 유력 토호인 고복수가 이들과 손을 잡았다.

공민왕 11년(1362) 8월 24일 고복수는 목호 초고독불화(肖古禿不花), 석질리필사(石迭里必思)와 함께 고려에 배반하는 반란을 일으켰다. 고복수 등은 원나라에 예속되기를 요청함과 동시에 새 만호 임명을 부탁했다. 10월 22일 부추 문아단부카가 탐라만호로 새로 임명됐으며 반란 세력은 기존 제주만호 박도손(朴道孫)을 살해했다. 고복수가 세운 새 탐라만호 체제는 공민왕 12년(1363) 6월 만호 문아단부카가 고려에 동생 문인부를 사절로 보낼 때까지도 유지됐다. 『신증동국여지승람』과 『선조실록』에 따르면 고려에서 임명한 제주목사 성준덕이 반란군을 진압하며 끝을 맺는다. 『고려사』에 따르면 성준덕이 목사에 오른 것은 문인부의 내방 6개월 뒤인 12월 5일의 일이다.

성주 고복수는 이후 기록에서 나오지 않지만 초고독불화와 석질리필사 두 목호는 여전히 남아있었다. 이 둘은 원수 최영목호의 난을 진압할 때 죽임을 당한다. 『동문선』의 「성주고씨가전」에서 주요한 역대 성주의 이름과 행적이 나열되는데, 고복수의 일은 부끄러운 역사라도 되는지 별도로 언급되지 않았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2 12:56:32에 나무위키 고복수(탐라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목호들은 이후에도 자기들이 키운 말이 조국의 적국인 명나라에 간다는 것을 달가워하지 않았으며 말을 조공하기를 거부했다. 1374년 고려 조정에서 목호의 난을 진압하게 된 배경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