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조실록

덤프버전 :

파일:조선 전기 국왕 용보.svg 조선왕조실록

[ 펼치기 · 접기 ]




파일:조선 전기 국왕 용보.svg
선조
관련 문서


[ 펼치기 · 접기 ]
일생
평가
관련 문서
목릉
기타
선조실록 · 선조수정실록





파일:선조소경대왕실록 권지일.jpg


1. 개요
2. 내용
3. 외부 링크



1. 개요[편집]


선조실록(宣祖實錄)은 조선 제14대 국왕인 선조 이연(李昖) 재위(1567년~1608년) 40년 7개월 간의 국정 전반에 관한 역사를 기록한 조선왕조실록. 총 221권 116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한민국의 국보 제151호에 해당한다.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국가기록원에 소속된 역사기록관에서 소장하고 있다.


2. 내용[편집]


국사편찬위원회 선조실록 전문

실록의 정식 명칭은 선조소경대왕실록(宣祖昭敬大王實錄)이다.

1567년 7월부터 1608년 1월까지 선조 재위 40년 7개월간의 역사를 다루고 있는 조선왕조실록으로, 1609년(광해군 1년) 7월부터 편찬하기 시작하여 다음 해 11월에 완성하였다.

총 221권 116책에 이르는 방대한 분량이나, 임진왜란이 일어난 1592년 이후의 기록이 대부분이고 그전의 기록은 25권 12책에 불과하다. 즉, 1567년부터 1591년까지 약 25년간의 재위 기록이 임진왜란 이후 선조 사망까지 16년간의 재위 기록의 1/10 수준이다. 이는 임진왜란 이전에 작성된 사초들과 승정원일기, 비변사등록 등이 왜란의 전화에 홀랑 날아갔기 때문이다. 그래도 선조 재위 초기의 자료들을 어떻게든 기록하려고 사대부들의 일기와 지방에 보관되어있던 조보(朝報)들을 악착같이 뒤져서 겨우겨우 기록한 것이 이 수준이다.

단적으로, 선조 재위 기간에 관측된 두 초신성인 SN 1572와 SN 1604의 기록을 비교해 볼 때 SN 1572는 기록이 아예 없지만(선조수정실록에는 딱 한 줄 기록되어 있다.) SN 1604는 매우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어 케플러가 남긴 기록보다도 더 상세할 정도이다.

이에 대해 선조실록에서는 일본군의 방화로 이런 일이 벌어졌다고 기록하고 있지만, 선조수정실록에서는 당시 사관 네 명이 사초를 불에 태우고 튀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사관 조존세, 김선여, 임취정, 박정현 등이 도망하였다. 존세 등은 좌우 사관으로서 처음부터 호종하면서 침문을 떠나지 않았으므로 상이 자제처럼 대우하였다. 이날 밤 네 사람은 상이 요동으로 건너갈 것을 의논하여 결정하자 도망칠 것을 몰래 의논하고는 먼저 사초책을 구덩이에 넣고 불을 지른 뒤 어둠을 타고 도망하였다. 상이 길에서 자주 돌아보며 사관은 어디 있느냐고 물었는데 모두 보지 못하였다고 대답하자, 상이 이르기를, "김선여가 탄 말이 허약한데 걸어서 오느라 뒤에 처졌는가" 하였다. 새벽이 되어서야 그들이 도망한 것을 알고는 사색이 참담하였다. 따르는 자들이 모두 격분하며 매도하기를 '뒷날 상이 환국하시면 이 무리들이 어떻게 살아나겠는가' 하였다. 네 사람이 각각 영남과 호남 사이에서 가족을 찾았는데 주현에서 먹을 것을 구하며 핑계대기를 '상이 물러가라고 허락하였기 때문에 왔다'고 하였다.

<<선조수정실록>> 25년 6월 1일[1]


훗날 1641년(인조 19년)에 기존의 선조실록이 잘못된 점이 많다고[2] 하여 인조가 이식에게 명하여 선조실록을 개수하게 하였는데, 여러 가지 이유로 흐지부지되다가 1657년(효종 8년)에 선조수정실록선조대왕실록수정청의궤를 최종 완성하였다. 선조수정실록은 기존에 편찬된 실록을 개수한 최초의 사례이다.


3. 외부 링크[편집]



[1] 해당 사관들은 훗날 어찌어찌 관직 생활을 이어가긴 했으나 두고 두고 오명을 얻게 되었다. #[2] 권율, 류성룡, 이순신등 S급 거물들은 까내리고, 이이첨만 빨아준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07:40:18에 나무위키 선조실록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