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체육대회/야구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전국체육대회

[ 펼치기 · 접기 ]
구분명칭
프로1군KBO 리그
2군KBO 퓨처스리그
(북부리그 | 남부리그) | KBO 교육 리그 | 낙동강 교육 리그
국제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독립
실업한국실업야구
아마추어
KBO 챌린저스 | KBSA 리그 | 권역별 지역 대회
여자
한국여자야구대회
(챔프리그 | 퓨처리그)
학생 · 유소년
대학KUSF 대학야구 U-리그 및 왕중왕전 | 대학야구선수권 | 대통령기 | 전국체전
고교고교야구 주말리그
대통령배 | 봉황대기 | 청룡기 | 황금사자기 | 신세계 이마트배 | 명문고 야구열전 | 전국체전
중학
전국소년체육대회 | 대통령기 중학야구대회 | 전국중학야구선수권대회 | 백호기전국중학야구대회 | U-15 전국유소년야구대회
초교
박찬호기 전국초등학교야구대회 외 3개 대회
리틀야구 주니어부 | 리틀야구 리틀부
폐지독립KIBA 드림 리그
실업전국종합야구선수권대회
대학회장기 춘계리그 | 회장기 하계리그
고교야구대제전 | 대붕기 | 무등기 | 화랑대기 | 미추홀기
국제한일 슈퍼게임 | 아시아 시리즈 | 한일 클럽 챔피언십 | 한대 클럽 챔피언십 | 아시아 윈터 베이스볼 리그




1. 개요
2. 일반부 역대 우승, 준우승 구단
3. 고등부 역대 우승, 준우승 구단
4. 중등부 역대 우승, 준우승 구단




1. 개요[편집]


한국대학야구 대학 구단과 상무 야구단이 참가하는 전국체육대회 야구 일반부의 우승(금메달), 준우승(은메달) 수상 구단을 연도별로 정리한 문서. 과거에는 한국실업야구 실업 구단도 참가했다.

사람들이 흔히 알고 있는 고교야구부는 고등부(남자 18세부[1])이며 우승(금메달), 준우승(은메달) 학교를 기재했다.


2. 일반부 역대 우승, 준우승 구단[편집]


회수 개최 연도 우승 준우승
-1982동아대대구선발
-1983동아대성무(공군)
-1984상무영남대
-1985한국전력인하대
-1986계명대인천전문대
-1987한일은행상무
-1988서울 올림픽으로 미개최
-1989경남대단국대
-1990단국대한국화장품
-1991단국대경남대
-1992인하대한국전력
-1993연세대원광대
-1994단국대원광대
-1995단국대중앙대
-1996원광대단국대
-1997영남대인하대
-1998경성대현대전자
-1999건국대한양대
-2000동의대연세대
-2001동의대건국대
-2002한양대동의대
-2003원광대인하대
-2004건국대경성대
-2005상무경성대
-2006상무경희대
-2007상무성균관대
-2008성균관대건국대
-2009상무단국대
-2010상무건국대
-2011성균관대원광대
-2012건국대동의대
-2013동국대단국대
-2014동국대인하대
-2015영남대성균관대
-2016경성대홍익대
-2017단국대원광대
-2018동아대강릉영동대
-2019동의대강릉영동대
-2020코로나19로 인해 미개최
-2021코로나19로 인해 취소[2]
제103회2022홍익대인하대
제104회2023단국대동의대


3. 고등부 역대 우승, 준우승 구단[편집]


회수 개최 연도 우승 준우승
제45회1964마산상고, 성남고 공동 우승[3]
제56회1975군산상고대전고
제65회1984광주일고-
제70회1989유신고대전고
제75회1994부천고대전고
제76회1995인천고천안북일고
제77회1996광주일고대전고
제78회1997경남고마산용마고
제79회1998군산상고대구상원고
제80회1999대구상원고광주동성고
제81회2000대구고세광고
제82회2001광주진흥고천안북일고
제83회2002[4]천안북일고[5]인천동산고
제84회2003부산고군산상고
제85회2004부산고청주기계공고
제86회2005신일고천안북일고
제87회2006전주고, 광주일고 공동 우승[6]
제88회2007서울고마산고
제89회2008덕수고군산상고
제90회2009대구상원고천안북일고
제91회2010천안북일고대전고
제92회2011천안북일고제물포고
제93회2012천안북일고대전고
제94회2013군산상고청주고
제95회2014천안북일고광주일고
제96회2015마산용마고경북고
제97회2016군산상고세광고
제98회2017경남고마산용마고
제99회2018광주일고마산용마고
제100회2019[7]덕수고대구고
제101회2020코로나19로 인해 미개최
제102회2021강릉고대전고
제103회2022인천고강릉고
제104회2023덕수고강릉고


4. 중등부 역대 우승, 준우승 구단[편집]


회수 개최 연도 우승 준우승
제24회1995대전 충남중충북 세광중
제29회2000충남 공주중전남 순천이수중
제30회2001부산 경남중알수없음
제31회2002강원 설악중광주 충장중
제32회2003알수없음경기 인창중
제33회2004알수없음강원 경포중
제34회2005경기 성일중전남 여수중
제35회2006부산 대동중알수없음
제36회2007경남 내동중알수없음
제37회2008알수없음알수없음
제38회2009전북 전라중알수없음
제39회2010대구 경복중전북 군산중
제40회2011서울 자양중대구 경복중
제41회2012광주 무등중경남 신월중
제42회2013경기 매송중, 경북 포항제철중[8]
제43회2014부산 경남중충북 청주중
제44회2015대구 경상중부산 경남중
제45회2016경남 마산동중경기 부천중
제46회2017광주 충장중서울 양천중
제47회2018대구 대구중대전 한밭중
제48회2019충북 세광중전북 군산중
제49회2020코로나19로 인해 미개최
제50회[9]2021서울 충암중경기 대원중
제51회2022경남 원동중광주 충장중
제52회2023전북 전라중경북 포항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7 22:55:20에 나무위키 전국체육대회/야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실제로는 여자 18세부도 있기 때문에 이렇게 표기했다.[2] 당초 정상적으로 치를 예정이었으나 모든 종목이 19세 이하 경기만 치르도록 축소되었다.[3] 시상식 직전까지 경기가 종료되지 않아 공동우승 처리됐다. 기사[4] 편파판정, 빈볼시비에 나주환이 홈런을 치고 동산고 응원석에 주먹감자를 날리는 등 순탄치 않았던 대회였다.[5] 황금사자기, 화랑대기, 봉황대기, 전국체전 등 4관왕 기록[6] 우천으로 인해 공동우승 처리[7] 고척 스카이돔 개최[8] 7회 마지막까지 0:0 접전을 펼치다 무승부로 인해 공동우승 처리[9] 전국중학야구선수권대회 겸 소년체전으로 대회를 개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