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보고의 딸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혁거세 후남해 후유리 후
알영부인운제부인이리생부인사요왕의 딸 김씨
탈해 후파사 비지마 후일성 후
아효부인사성부인애례부인지소례왕의 딸 박씨
아달라 후벌휴 후내해 후조분 후
내례부인석골정의 모후아루부인아이혜부인
조분 후미추 후흘해 후내물 후
운소부인광명부인석공한의 모후보반부인
실성 후눌지 후자비 후소지 후
아류부인차로부인
1}}} 복호의 딸 김씨
2}}} 미사흔의 딸 김씨
1}}} 습보의 딸 김씨
2}}} 선혜부인
3}}} 벽화부인
지증왕 후법흥왕 후진흥왕 후진지왕 후
연제부인보도부인지도부인
진평왕 후무열왕 후문무왕 후신문왕 후
문명왕후자의왕후
성덕왕 후효성왕 후경덕왕 후
1}}} 왕비 박씨
3}}} 정종의 딸 김씨
폐}}}사량부인
경수태후
혜공왕 후선덕왕 후원성왕 후소성왕 후
1}}} 신보왕후
2}}} 창창부인
구족부인숙정부인계화부인
애장왕 후헌덕왕 비흥덕왕 후희강왕 후
왕후 박씨귀승부인정목왕후문목왕후
민애왕 후신무왕 후문성왕 후헌안왕 후
윤용왕후정계부인
1}}} 소명왕후
문의왕후의 모후
경문왕 후헌강왕 비효공왕 후신덕왕 후
의명부인왕비 박씨의성왕후
경명왕 후경애왕 후경순왕 후
왕비 김씨왕비죽방부인





신라 문성왕의 정혼자
신라 장보고의 딸
생몰년미상
성씨장(張)
부모부친: 장보고
부군문성왕
자녀슬하 1남?
아들 - 궁예추정
봉작차비(次妃)

1. 개요
2. 왕비?



1. 개요[편집]


신라의 여성. 문성왕의 차비가 될 뻔했지만 협상이 결렬되어 사서에서 어떠한 공식 직함도 갖지 못하게 된 비운의 여성이다.

김우징(후일 신무왕)이 장보고의 군대를 통해 민애왕을 몰아내고 왕위를 빼앗는 대신, 그의 딸을 맞아 왕비로 삼는 것을 장보고에게 제안했고, 이로서 왕위 탈환에 성공했다. 그러나 약속한 신무왕은 즉위 후 얼마 되지 않아 사망했고, 뒤이어 즉위한 문성왕은 그의 딸을 차비[1]로 삼으려고 했으나 신하들이 장보고 가문의 미천한 신분을 문제로 삼아 혼인은 결렬되었다. 이에 장보고는 신무왕이 약속을 어긴 것을 원망하여 반란을 시도하였으나 장군 염장에 의해 결국 암살당한다.


2. 왕비?[편집]


일반적으로는 위와 같이 알려져 있으나, 사실 그녀가 궁예의 생모라는 설이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5 13:53:47에 나무위키 장보고의 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후궁이 아니라 두 번째 정실 부인이다. 동아시아 사회에서 임금은 여러 명의 정실 부인을 둘 수 있었고 정실 부인을 반드시 한 명만 두어야 한다고 정한 것은 조선 태종 이후의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