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두아르 발라뒤르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부르봉 왕정복고|

왕정복고
]]
초대제2대제3대제4대
샤를모리스 드 탈레랑페리고르아르망에마뉘엘 뒤 플레시 드 리슐리외장조제프 데솔엘리 드카스
(제2대)제5대제6대제7대
아르망에마뉘엘 뒤 플레시 드 리슐리외조제프 드 빌리에장바티스트 실베르 게 드 마르티냐크쥘 드 폴리냐크
제8대
카지미르루이빅투르니앙 드 로슈슈아르 드 모르트마르
[[7월 왕정|

7월 왕정
]]
제9대제10대제11대제12대
자크 라피트카지미르 페리에니콜라 장드듀 술트에티엔 모리스 제라르
제13대제14대제7대제16대
위그베르나르 마레에두아르 모르티에빅토르 드 브로이아돌프 티에르
제17대(제11대)(제16대)(제11대)
마티외 몰레니콜라 장드듀 술트아돌프 티에르니콜라 장드듀 술트
제18대(제17대)
프랑수아 기조마티외 몰레
[[프랑스 제2공화국|

제2공화국
]]
제19대제20대제21대제22대
자크 샤를 뒤퐁 드 뢰르프랑수아 아라고루이외젠 카베냐크오딜롱 바로
제23대제24대
알퐁스 앙리 도풀레옹 포셰
[[프랑스 제2제국|

제2제국
]]
제25대제26대
에밀 올리비에샤를 쿠쟁몽토방
[[프랑스 제3공화국|

제3공화국
]]
제27대제28대제29대제30대
루이 쥘 트로쉬쥘 아르망 뒤포르알베르 드 브로이에르네스트 쿠르토 드 시셰
제31대(제28대)제32대(제29대)
루이 뷔페쥘 아르망 뒤포르쥘 시몽알베르 드 브로이
제33대(제28대)제34대제35대
가에탕 드 로슈부에쥘 아르망 뒤포르기욤 워딩턴샤를 드 프레이시네
제36대제37대(제35대)제38대
쥘 페리레옹 강베타샤를 드 프레이시네샤를 뒤클레르
제39대(제36대)제40대(제35대)
아르망 팔리에르쥘 페리앙리 브리송샤를 드 프레이시네
제41대제42대제43대제44대
르네 고블레모리스 르비에피에르 티라르샤를 플로케
(제43대)(제35대)제45대제46대
피에르 티라르샤를 드 프레이시네에밀 루베알렉상드르 리보
제47대제48대(제47대)(제46대)
샤를 뒤피장 카지미르페리에샤를 뒤피알렉상드르 리보
제49대제50대(제40대)(제47대)
레옹 부르주아쥘 멜린앙리 브리송샤를 뒤피
제51대제52대(제42대)제53대
피에르 발데크루소에밀 콩브모리스 루비에페르디낭 사리앵
제54대제55대제56대제57대
조르주 클레망소아리스티드 브리앙에르네스트 모니조제프 카요
제58대(제55대)제59대제60대
레몽 푸앵카레아리스티드 브리앙루이 바르투가스통 두메르그
(제46대)제61대(제55대)(제46대)
알렉상드르 리보르네 비비아니아리스티드 브리앙알렉상드르 리보
제62대(제54대)제63대제64대
폴 팽르베조르주 클레망소알렉상드르 밀랑조르주 레이그
(제55대)(제58대)제65대제66대
아리스티드 브리앙레몽 푸앵카레프레데리크 프랑수아마르시알에두아르 에리오
(제62대)(제55대)(제66대)(제58대)
폴 팽르베아리스티드 브리앙에두아르 에리오레몽 푸앵카레
(제55대)제67대제68대(제67대)
아리스티드 브리앙앙드레 타르디외카미유 쇼탕앙드레 타르디외
제69대제70대(제67대)(제66대)
테오도르 스테그피에르 라발앙드레 타르디외에두아르 에리오
제71대제72대제73대(제68대)
조제프 폴봉쿠르에두아르 달라디에알베르 사로카미유 쇼탕
(제72대)(제60대)제74대제75대
에두아르 달라디에가스통 두메르그피에르에티엔 플랑댕페르낭 부아송
(제70대)(제73대)제76대(제68대)
피에르 라발알베르 사로레옹 블룸카미유 쇼탕
(제76대)(제72대)제77대제78대
레옹 블룸에두아르 달라디에폴 레노필리프 페탱
[[비시 프랑스|

비시 정권
]]
(제70대)(제74대)제79대(제70대)
피에르 라발피에르에티엔 플랑댕프랑수아 다를랑피에르 라발
[[프랑스 임시정부|

임시정부
]]
제80대제81대제82대(제76대)
샤를 드골펠릭스 구앵조르주 비도레옹 블룸
[[프랑스 제4공화국|

제4공화국
]]
제83대제84대제85대(제84대)
폴 라마디에로베르 슈만앙드레 마리로베르 슈만
제86대제87대(제86대)제88대
앙리 쾨유조르주 비도앙리 쾨유르네 플레뱅
(제86대)(제88대)제89대제90대
앙리 쾨유르네 플레뱅에드가르 포르앙투안 피네
제91대제92대제93대(제89대)
르네 마예르조제프 라니엘피에르 망데스 프랑스에드가르 포르
제94대제95대제96대제97대
기 몰레모리스 부르제스모누리펠릭스 가야르피에르 플림랭
(제80대)
샤를 드골
[[프랑스 제5공화국|

제5공화국
]]
제98대제99대제100대제101대
미셸 드브레조르주 퐁피두모리스 쿠브 드뮈르빌자크 샤방델마스
제102대제103대제104대제105대
피에르 메스메르자크 시라크레몽 바르피에르 모루아
제106대(제103대)제107대제108대
로랑 파비위스자크 시라크미셸 로카르에디트 크레송
제109대제110대제111대제112대
피에르 베레고부아에두아르 발라뒤르알랭 쥐페리오넬 조스팽
제113대제114대제115대제116대
장피에르 라파랭도미니크 드빌팽프랑수아 피용장마르크 에로
제117대제118대제119대제120대
마뉘엘 발스베르나르 카즈뇌브에두아르 필리프장 카스텍스
제121대
엘리자베트 보른



프랑스 제91대 총리
에두아르 발라뒤르
Édouard Balladur
파일:edouardballadur.jpg
출생1929년 5월 2일 (95세)
튀르키예 이즈미르
학력엑스마르세유 대학
파리 정치대학
국립행정학교
정당
직업정치인
배우자마리조제프 들라쿠르
약력대통령비서실 사무차장 (1969 ~ 1973)
대통령 비서실장 (1973 ~ 1974)
재무부 장관 (1986 ~ 1988)
프랑스 총리 (1993 ~ 1995)
1. 개요
2. 생애
3.1. 우파의 내분
3.2. 시라크의 반격
3.3. 패배
4. 이후



1. 개요[편집]


프랑스의 정치인으로, 1993년부터 1995년까지 총리를 지냈다. 프랑스 최초의 귀화자 출신 총리이며, 동시에 1995년 대선의 후보 중 하나였다. 2022년 기준 93세로 아직은 프랑스에서 가장 오래 산 총리로 기록되어 있다. 한때는 차기 대통령으로 유력했으나, 네거티브 공세에 밀려 낙선한 비운의 인물로 마이클 두카키스와 비교된다.

2. 생애[편집]


튀르키예 이즈미르아르메니아인 집안에서 태어났으며, 1930년대 중반 마르세유로 이주했다. 1957년 마리조제프 들라쿠르와 결혼하였으며 슬하에 4명의 아들을 두고 있다.

1964년 당시 총리였던 조르주 퐁피두의 조언자로 등용되었으며, 5년 후 퐁피두가 대통령이 되자 대통령실 부실장이 되었다. 1973년 실장으로 승진했으나, 이듬해 퐁피두가 서거하였고 동시에 여당이었던 공화국민주연합이 대선에서 참패하면서 동시에 그 직에서 물러나야만 했다.[1] 1976년 개편된 공화국연합에 합류했으나, 약한 당세 때문에 별 힘을 쓰지 못하면서 본인도 중앙 정치에서 다소 멀리 있었으나, 1986년 총선에서 승리하면서 그의 입지는 더욱 더 강화되기 시작했다. 대통령 프랑수아 미테랑사회당 소속인데, 총리로 공화국연합의 자크 시라크가 선출된 것. 이 때 시라크는 발라뒤르를 재무장관으로 지명했는데, 이 시절 국영기업들을 대거 민영화하는 조치를 취했다가 광역 어그로를 끌었다. 결국 시라크는 1988년 대선에서 패한다.

대선 패배 이후 공화국연합은 내분에 직면했고, 재선에 승리한 미테랑이 조기총선을 치르면서 사회당이 압승하는 바람에, 공화국연합은 침체기를 맞게 되었다. 그러나 미테랑 정권의 세가 약해지기 시작했고, 1993년 시라크가 총리 후보로 다시 나서면서 대거 쇄신에 들어갔고, 덕분에 공화국연합은 총선에서 대거 압승을 거두었다. 하지만 시라크가 일전에 저질렀던 실책들이 다시 발목을 잡을 가능성이 있었고, 결국 당 내부의 압력 등으로 시라크는 총리 자리를 기어이 거절한다. 대신 발라뒤르를 추천했는데 덕분에 발라뒤르는 프랑스 최초의 귀화자 출신 총리가 되었다.


3. 1995년 대통령 선거[편집]


이후 총리로서 무난히 업무를 수행하면서 금방 대권주자로서의 입지를 키우게 되었고, 당 내부에서도 발라뒤르의 출마를 요구하는 이들이 많았다. 다만 시라크는 발라뒤르에게 총리 자리를 넘겨주는 대신 대선에 출마하지 않을 것을 미리 약속했는데, 이 때문에 본인도 처음에는 출마를 고사했다. 그러나 그간 시라크가 저지른 실책들을 감안하면 행여 시라크가 당선될 경우 무슨 일이 터질지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었고, 결국 발라뒤르는 출마를 선언한다.

각종 여론조사에서 1위를 기록하면서 차기 대통령으로서 확실했었고, 사회당에서도 상대적으로 약체급인 리오넬 조스팽이 나오면서, 결선에서 접전이 있어도 결국 발라뒤르가 무난하게 될 것이라고 다들 보았다. 이 때만해도 크게 문제가 되지는 않았는데...


3.1. 우파의 내분[편집]


가만히 넘어갈 시라크가 아니었다.

본디 공화국연합은 드골주의를 바탕으로 한 정당이었고, 시라크 또한 드골의 후계자를 자처한 드골주의자였다. 그러나 발라뒤르는 비드골주의자였고, 실제로도 성향 또한 비드골주의계 중도우파 정당인 프랑스 민주연합에 가까웠다는 평을 들었다.

당초 시라크는 총리를 하지 않는 대신 대통령을 할 마음을 굳힌 상태였고, 미리 약속까지 했었기 때문에 발라뒤르를 크게 문제삼지 않았다. 하지만 발라뒤르가 약속을 깨고 출마를 선언하자, 시라크도 어김 없이 출마를 선언했다. 이에 따라 당초 발라뒤르를 후보로 전략공천하려던 공화국연합은 경선을 치러야만 했는데, 문제는 둘 다 경선을 원치 않았었고, 갈등이 극에 달한 상태에서 만에하나 경선을 치를 경우 분명 한 쪽은 나갈 수 없게 되는데, 문제는 패자가 인정할 리가 없었던 것.

비슷하게 민주연합 또한 1988년 대선에 출마했던 레몽 바르 등을 검토하고 있었으며 그의 재출마 가능성이 높았는데, 문제는 지지율이 꽝이었던지라 당 내에서도 바레를 재출마시키는 것에 회의적이었다. 이어 바레 또한 출마를 유보하는 등 상황이 좋지 않았다. 사실 7년 후에 출마하게 되는 프랑수아 바이루도 있었는데 당시만 해도 바이루는 매우 약체급이었으며, 바이루 또한 출마를 고심했다. 결국 마땅한 후보가 없는 상태에서 발라뒤르를 영입하려고 했으나...

발라뒤르가 잔류를 선언했다. 결국 공화국연합은 단일후보를 선출하지 못하게 되었고, 한 당에서 두 명의 후보가 나가는 상황이 발생했다.

다만 발라뒤르가 그래도 여전히 대세였고 후보를 찾지 못한 민주연합이 발라뒤르 지지를 선언하는 등, 상대적으로 지지세가 넓은 발라뒤르가 그래도 무난히 결선에 진출할 것으로 보였다. 하지만...


3.2. 시라크의 반격[편집]


시라크가 대반격에 나섰다.

발라뒤르에게는 쉽게 설명할 수 없는 커다란 딜레마가 있었는데, 그것은 즉슨 드골주의 정당의 비드골주의 후보라는 점이었다. 당의 주류 출신이었던 시라크는 이러한 점을 빌미로 발라뒤르를 집중적으로 공격했으며, 동시에 발라뒤르가 본인과의 약속을 깨고 출마를 강행한 것을 두고 집요하게 물고 늘어졌다.

보통 강력한 네거티브 공세를 퍼붓는 후보들은 상대적으로 비호감 이미지가 생겨 대선에서 불리한 이미지를 낳기 십상이다. 멀리 갈 것 없이 1987년부터 치러지는 대한민국의 역대 대선에서 2위로 떨어진 사람들은 죄다 네거티브 전략을 취했다. 그런데 여기는 그게 아니었다. 1988년 미국 대선에 출마했던 조지 H. W. 부시처럼, 그 네거티브 공세가 먹혀들기 시작한 것!

발라뒤르는 공화국연합의 후보였음에도 불구하고, 후보를 내지 못해 그를 지지한 민주연합의 후보처럼 활동했다. 실제로 언론에서도 시라크에는 공화국연합 로고를 넣었지만, 발라뒤르는 민주연합으로 분류하는 등 그는 민주연합 후보로 간주되었다. 그러나 이는 명백한 해당행위였다. 오히려 이러한 행위가 발라뒤르에게 일종의 철새 이미지를 남겨 버렸고, 본인의 정체성을 똑바로 밝힌 시라크에게 서서히 유리한 구도가 형성되었다.

게다가 그는 태생적 시민이 아니라 귀화자였는데, 물론 귀화한 시기가 아주 어렸을 때였기 때문에 큰 의미는 없었다고 하나, 그것도 인종적으로도 유럽계가 아니었던지라, 프랑스인들로서는 그를 차마 찍기에 뭣해 하는 사람들이 많았다. 말하는데 미국 같았으면 애초에 있었을 수도 없는 일이었다![2] 프랑스였으니까 허락했던 것. 당연히 장마리 르 펜 등을 비롯한 극우파들에게는 심심하면 공격의 대상이 되었다.

그럼에도 발라뒤르는 내가 이길 것이라며 호언장담했으나...


3.3. 패배[편집]


막상 출구조사가 나오자 3위로 탈락했다. 이를 접한 발라뒤르는 예상치 못한 결과라고 생각했는지 충격에 빠졌고, 결국 3위 탈락이 확정되자 기자회견을 열고 패배를 인정했다. 이 때 본인은 예상치도 못한 일이었다면서 쩔쩔매는 목소리로 말했지만, 그 앞에 있던 지지자들이 대놓고 야유를 보냈을 정도.

그런데 본인이 무슨 선생님인 듯마냥, 자신에게 야유를 보낸 지지자들에게 "조용히 하세요!"라고 경고하는 바람에, 광역 어그로를 끌었다.


4. 이후[편집]


어쨌거나 공화국연합은 시라크로 단일대오를 구축했고, 시라크는 조스팽을 누르고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당연히 시라크는 발라뒤르를 총리로 유임시킬 생각은 안 했으며, 곧바로 자신의 측근인 알랭 쥐페를 지명했다. 이후 시라크가 취임하자 그는 총리직에서 물러났다. 하지만 시라크가 1997년에 조기총선을 치렀다가 사회당에 밀려 참패하는 바람에 일종의 자폭수가 되어버렸고, 일부를 중심으로 이를 계기로 추락한 시라크를 대신에 발라뒤르를 차기 주자로 내세우자는 설을 제기하기도 했다.

이를 감안한 발라뒤르는 대권주자로서의 이미지를 다시 키우고자 1998년 일드프랑스의 지역의장으로 도전했으나, 이마저도 낙선하고 말았다. 게다가 1999년부로 칠순을 맞이하면서 고령, 건강 문제 등에서 자유로울 수도 없었고, 2002년 대선에는 도전하지도 않고 사실상 정계에서 은퇴했다. 다만 국회에서 일하면서 그나마 정치 활동을 하기는 했지만, 2007년 재출마하지 않기로 결심하면서 정치 일선에서 완전히 물러났다.

2010년대에 들어서는 근황도 알 수 없다. 그나마 시라크는 2012년과 2017년 대선 때 일부 활동도 했었고, 조스팽 또한 2018년 저서 관련 강의에 나온 것으로 근황을 알리기는 했지만, 발라뒤르는 딱히 알린 것이 없다.

2020년 9월 15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검사에서 양성 반응을 보였다고 한다. #

1993∼1995년 파키스탄과 사우디아라비아에 잠수함과 호위함을 판매하는 과정에서 뒷돈을 챙긴 혐의로 지난 2017년 기소됐다. 최종적으로 무죄가 선고되었다.#

[1] 이때는 비드골주의 계통의 중도우파 정당인 독립공화당발레리 지스카르데스탱이 당선되었다. 정작 공화국민주연합은 4위로 광탈했다.[2] 미국이었으면 애초에 태생적 미국 시민, 즉 태어날 때부터 미국인이 아니었기 때문에 애초에 출마 자격이 없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9 02:31:11에 나무위키 에두아르 발라뒤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