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마네현 제1구

덤프버전 :


주고쿠 지방 국회의원
[ 중의원 의원 ]
{{{-1 {{{#fff 홋카이도 · 도호쿠 · 기타칸토 · 미나미칸토 · 도쿄 · 호쿠리쿠신에쓰 · 도카이 · 긴키 · 주고쿠 · 시코쿠 · 규슈-오키나와
}}}}}}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선거구
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
시마네현 제1구>
島根県第1区
파일:shuinsen_Shimane1.svg
선거인 수268,337명 (2021)
상위 도도부현시마네현
하위 행정구역마츠에시, 야오시, 운난시, 니타군
이시군, 오키군
국회의원
[[공석|
공석
]]




1. 개요[편집]


시마네현의 동부 지역을 관할하는 일본의 중의원 선거구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공석이다.[1]


2. 상세[편집]


주코쿠 지방의 여느 선거구들이 대부분 그렇듯, 자민당의 초강세 지역이다. 다만 48회 총선 당시 2위를 기록한 입헌민주당 가메이 아키코 후보[2]가 비례대표로 구제되어 당선되었다.

가메이 후보는 5대 조부가 메이지 유신의 주역인 이와쿠라 도모미이며, 외고조부는 천황가의 방계집안이라는 사기적인 혈통 빨을 받고 있다. 게다가 그녀의 먼 친척이 바로 한때 자민당에서 활동하다가 탈당 후 본인과 본인의 아버지와 함께 국민신당을 창당한 가메이 시즈카 전 중의원 의원이다. 또 독도 문제에 대해 철저하게 일본의 땅이라고 주장하고 있다.[3]

실제로 가메이 후보가 이 선거구에 나오기 전에는 민주당계 정당 후보의 득표율이 빌빌대고 있었지만, 첫 출마를 하자마자 2배의 득표를 뽑아냈다. 이런 점에서 미루어 볼 때 야당이라서 뽑아준 게 아니라 야당의 지지율이 낮음에도 후보 개인의 경쟁력으로 표를 받고 있다고 봐야 한다. 그런데 49회 총선에서는 가메이 아키코가 비례대표 순위에서 밀리면서 낙선했다.

여담으로 일본이 독도를 이 선거구에 속하는 오키군 오키노시마초의 부속 섬이라고 주장하지만 당연히 독도는 시마네 1구가 아닌 포항시 남구·울릉군 선거구 관할 지역에 속한다.


3. 역대 국회의원[편집]




4. 역대 선거 결과[편집]



4.1.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시마네현 제1구
마츠에시, 야스기시, 야츠카군, 노요군, 오키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호소다 히로유키73,907표1위

52.12%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6년) 로고.svg이시바시 다이키치46,481표2위

32.78%비례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나카바야시 요시코21,416표3위

15.10%낙선
유효표 수204,347표투표율
선거인 수


4.2.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시마네현 제1구
마츠에시, 야스기시, 야츠카군, 노요군, 오키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호소다 히로유키74,163표1위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3CA324,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자유민주당)]50.92%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이시바시 다이키치37,323표2위

25.63%낙선
無所会이와모토 히사토25,671표3위
'''
무소속회
'''
17.63%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요시카와 하루오8,484표4위

5.83%낙선
유효표 수264,330표투표율
선거인 수

4.3.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시마네현 제1구
마츠에시, 야스기시, 히라타시, 야츠카군, 노요군, 인타군, 오오하라군, 오키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호소다 히로유키117,897표1위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3CA324,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자유민주당)]61.02%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하마구치 가즈히사61,071표2위

31.61%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주다이 요시오14,237표3위

7.37%낙선
유효표 수264,330표투표율
선거인 수

4.4.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시마네현 제1구
마츠에시, 야스기시, 히라타시, 야츠카군, 노요군, 인타군, 오오하라군, 오키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호소다 히로유키125,401표1위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3CA324,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자유민주당)]60.52%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하마구치 가즈히사59,334표2위

28.64%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주다이 요시오12,786표3위

6.17%낙선
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가노 카즈미9,675표4위

4.67%낙선
유효표 수264,330표투표율
선거인 수

4.5.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시마네현 제1구
마츠에시, 야스기시, 히라타시, 야츠카군, 노요군, 인타군, 오오하라군, 오키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호소다 히로유키122,595표1위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3CA324,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자유민주당)]57.19%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코무로 히사아키80,789표2위

37.69%비례당선[4]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이시토비 이쿠히사8,923표3위

4.16%낙선
파일:행복실현당 로고.svg이케다 켄이치로2,060표4위

[[행복실현당|
행복실현당
]]
0.96%낙선
유효표 수264,330표투표율
선거인 수

4.6.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시마네현 제1구
마츠에시, 야스기시, 히라타시, 야츠카군, 노요군, 인타군, 오오하라군, 오키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호소다 히로유키112,605표1위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3CA324,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자유민주당)]64.67%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코무로 히사아키47,343표2위

27.19%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요시기 케이코14,173표3위

8.14%낙선
유효표 수264,330표투표율
선거인 수

4.7.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시마네현 제1구
마츠에시, 야스기시, 운난시의 옛 오오하라군 지역, 이즈모시의 옛 히라타시 지역, 니타군, 오키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호소다 히로유키100,376표1위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3CA324,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자유민주당)]64.26%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와다 쇼이치로38,346표2위
24.55%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쥬다이 요시오17,479표3위
11.19%낙선
유효표 수264,330표투표율
57.94%
선거인 수275,513인

4.8.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시마네현 제1구
마츠에시, 야스기시, 운난시의 옛 오오하라군 지역, 이즈모시의 옛 히라타시 지역, 니타군, 오키군
이름소속정당득표수
(득표율)
순위당선 여부비고
호소다 히로유키
(細田博之)
자유민주당95,513
(59.4%)
1위당선공명당 추천
가메이 아키코
(亀井亜紀子)
입헌민주당65,285
(40.6%)
2위낙선
당선(석패율제)
사회민주당, 민진당 현련 추천
유효표 수160,798투표율 59.17%
유권자 수276,774


4.9.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시마네현 제1구
마츠에시, 야스기시, 운난시의 옛 오오하라군 지역,
이즈모시의 옛 히라타시 지역, 니타군, 오키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호소다 히로유키90,638표1위
56.0%당선
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가메이 아키코[5]66,847표2위
[6]41.3%낙선
가메이 아키코[7]4,318표3위
2.7%낙선
유효표 수161,804표투표율
61.23%
선거인 수268,337인

49회 중원선 시마네현 제1구 개표 결과
정당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격차투표율[8]
후보호소다 히로유키가메이 아키코(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90,368
(56.02%)
66,847
(41.31%)
23,521
(△14.71)
161,803
(61.23%)
마츠에시54.53%43.07%△ 11.4658.20%
이즈모시62.72%35.78%△26.9464.52%
야스기시53.71%41.92%△11.7961.89%
운난시55.54%40.85%△14.6968.74%
오쿠이즈모초62.06%35.27%△26.7969.19%
오키노시마초61.53%36.62%△24.9169.60%
니시노시마초58.70%38.86%△19.8470.03%
아마초62.39%33.92%△28.4779.80%
치부무라64.87%33.84%31.0378.73%


비례대표 결과[9]
정당
득표수
(득표율)
6,068.835
(3.78%)
8,676
(5.40%)
64,599
(40.20%)
4,621
(2.86%)
12,208
(7.60%)
2,903
(1.81%)
37,949.177
(23.62%)
21,078
(13.51%)
1,936
(1.20%)
시 지역
마츠에시4.33%6.05%38.28%3.08%8.55%1.68%23.45%13.21%1.37%
이즈모시[10]3.02%4.76%46.92%2.76%6.36%1.57%21.40%12.13%1.07%
야스기시3.47%4.73%41.68%2.76%6.98%2.02%26.00%11.24%1.12%
운난시[11]2.92%4.99%41.01%2.72%5.80%2.58%25.73%13.43%0.84%
정촌 지역
오쿠이즈모초2.46%3.67%40.38%1.74%4.40%1.71%21.99%22.98%0.71%
오키노시마초2.52%3.43%45.48%2.45%6.08%1.88%22.20%15.12%0.85%
니시노시마초2.54%3.82%45.44%2.46%8.48%2.03%22.15%12.01%1.05%
아마초2.30%3.01%40.27%3.49%6.10%1.23%19.00%23.56%1.03%
치부무라3.18%3.55%47.99%3.78%6.38%1.89%22.58%9.93%0.71%

현직 의원인 자유민주당 호소다 히로유키와 입헌민주당 가메이 아키코간 재대결이 벌어진다.

그런데 무소속 후보로 한자 표기만 다르지 이름이 가메이 아키코로 입헌민주당 후보와 동일한 사람이 출마하였다. 그런데 이 후보자는 평범한 주부인데다 정계와는 인연이 전혀 없던 일반인이였기에, 일각에서는 안분표를 통한 표분산을 노린 공작이 아니냐는 음모론을 제기하기도 했다. 호소다 히로유키는 자민당 텃밭인 시마네에서 편하게 정치를 해오다 저번 총선에서 현지의 명사인 가메이 가문의 아키코가 첫 출마하자 바로 비례 부활을 허용해 버린 터라 위기감을 느낀 호소다 진영의 공작이라는 것이다. 게다가 호소다가 너무 고령이기도 하다.[12] 하필 야당 후보랑 이름 읽는 방법이 같은 평범한 주부가 3백만엔의 공탁금을 내고 출마해놓고 선거 포스터는 제대로 붙여놓지도 않고 오로지 안분표로 입헌 가메이 후보의 표를 갈아먹으러 나온 거라고 의심해볼 수 있는 문제다.

개표 결과, 자민당 호소다 후보와 입헌민주당 카메이 후보의 득표율 격차는 저번 선거보다 줄어들었다. 2020년 일본 국회의원 보궐선거시즈오카 4구의 동명이인 후보처럼 정말 NHK당의 지지자들이 표를 줬을 가능성을 배제못하는 경우와는 달리 이 선거구의 경우에는 무소속 카메이 후보의 표는 전부 입헌민주당 가메이 후보의 표로 봐도 무방하다는 점을 고려할때, 표 차이는 14.7%로 저번 선거의 18.8% 차이보다 많이 줄어든 것이다. 그러나 돗토리 2구오카야마 4구의 입헌민주당 후보들이 득표율을 끌어올리며 높은 석패율을 기록한 바람에 가메이 후보는 이번에는 비례 부활을 받지 못하고 낙선했다. 사실 가메이 후보는 지난 중유니선에서도, 주코쿠 지역 야권 후보들이 거의 대부분 입헌민주당이 아닌 희망의 당 후보로 출마했기에 운좋게 당내에서 높은 비례대표 순위를 차지할 수 있었다. 이번에는 거의 모든 야권 후보들이 입헌민주당 후보로 출마했기에 석패율 순위에서 밀렸다.

선거 이후, 호소다 히로유키는 새로 열린 국회에서 제78대 중의원 의장으로 선출되었다.


4.10. 2024년 일본 국회의원 보궐선거[편집]


이 곳에서 관할하던 이즈모시 북동부 지역을 2구로 조정하면서 이즈모시의 분할이 해소되었다. 또한 2023년 11월 10일에 호소다 의원이 사망하면서 자민당에서 새 인물을 옹립하게 됐다.

자유민주당에서는 11월에 공모를 시작하여 12월 1일 이후에 후보를 선출한다.#

일본공산당에서는 호소다 사망 전에 무라호 에리코를 공천하였다.

[1] 제78대 중의원 의장이었던 자유민주당 소속 호소다 히로유키 의원이 임기 중 사망하면서 공석이 되었다.[2] 아버지는 과거 자유민주당 소속 중의원이었던 가메이 히사오키. 가메이 히사오키는 과거 존재했던 시마네 3구가 지역구였는데 시마네 3구가 인구 감소로 2003년 선거에서 없어진 뒤 배려 차원에서 비례대표로 의원 생활을 하다가 2005년 선거에서는 자민당을 탈당 후 국민신당에 들어가 시마네 2구에 출마했으나 낙선 후 비례대표로 당선되어 당 간사장을 맡았으나 2009년에는 같은 선거구에서 비례대표 구제도 받지 못하고 낙선하여 정계를 은퇴했다. 가메이 아키코 본인은 2007년 참의원 선거에서 아버지와 같은 국민신당 당적으로 민주당의 추천을 추가로 받아 참의원 시마네현 선거구(당시에는 돗토리현과 선거구가 통합되기 전이었다)에서 당선되었으나 2013년 참의원 선거에서 낙선 후 민진당에 합류하여 중의원으로 전향하게 되었다. 여담으로 가메이 시즈카 전 국민신당 대표가 그녀의 먼 친척이다.[3] 다만 독도일본 정부 주장에 따르면 자신의 선거구에 속하므로, 다른 입헌민주당 정치인들보다 영토문제에 더 강경하게 나올 수 밖에 없다.[4]
추천
[5] 亀井 亜紀子[6] 현련 추천, 현위원회 지지[7] 亀井 彰子[8] #[9] 비례대표 결과 이곳에서 확인 가능[10] 舊 히라타시 일대[11] 舊 오오하라군 일대[12] 노다 다케시처럼 너무 늙고 오래 정치한 사람은 설사 텃밭이라도 판세가 밀리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