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노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비노(동음이의어) 문서
비노(동음이의어)번 문단을
비노(동음이의어)#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민주당계 진영 관련 문서 파일:노란 깃발 이미지.png
[ 펼치기 · 접기 ]

집권정부장면 내각 (보수) · 국민의 정부 · 참여정부 · 문재인 정부
사상자유주의 · 사회자유주의 · 참여민주주의 · 실용주의 · 중도개혁주의 · 중도실용주의 · 보수자유주의 · 질서자유주의 · 제3의 길 · 신자유주의 · 사회보수주의 · 민족주의 · 리버럴 페미니즘
정치인대통령윤보선 (보수) · 김대중 · 노무현 · 문재인
부통령이시영 · 김성수 · 장면 (보수)
국무총리장면 (보수) · 김덕수 · 고건 · 이해찬 · 한명숙 · 한덕수 · 이낙연 · 정세균 · 김부겸
국무위원장면 내각 · 국민의 정부 · 참여정부 · 문재인 정부
소속 정치인국회의원 · 광역자치단체장 · 당대표
지식인진보파일:1px 투명.png시민사회김상조 · 조희연 · 최장집 · 조국 · 김동춘
자유주의유시민 (진보) · 황석영 (보수) · 조순 (보수) · 장하성 · 이근식
단체 · 정파친노/친문친문 · 친노 · 정세균계 · 이낙연계 · 박주민계 · 양승조계
동교동계비문 · 동교동계 · 호남계 · 박지원계
제3지대친안 · 손학규계
진보파민평련 · 이재명계 · 정동영계
노동조합 · 시민단체참여연대 (진보) · 민달팽이 유니온 (진보) ·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진보) · 한국노동조합총연맹 (보수) ·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보수) 한국여성단체연합 (진보) · 호남향우회 · 민주언론시민연합 · 개혁 국민운동본부 ·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 정의기억연대 · 노사모 · 희망제작소 · 민주화실천가족운동협의회 ·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 (진보)
언론 제도권한겨레 (진보) · JTBC (진보) · CBS(노컷뉴스) (진보)
비제도권오마이뉴스 (진보) · 민중의소리 (진보) · 아주경제신문 · 부산일보 · TBS · 딴지일보 · 진짜가 나타났다 · 시사타파 TV · 미디어몽구 · 서울의소리 · 굿모닝충청 · 새가 날아든다 · 팩트TV · 다스뵈이다 · 김어준의 파파 이스 · 친민주당계 유튜버
정당연대더불어시민당 · 중도민주 인터내셔널 (탈퇴) · 진보동맹 (탈퇴) · DJP연합 (해체) · 평화와 정의의 의원 모임 (해체)
역사제1공-제4공 · 제5공-문민 · 국민-참여 · 이명박 · 박근혜 · 문재인 · 계파 역사
싱크탱크민주연구원 · 열린정책연구원 · 국민미래연구원 · 혁신과미래연구원 · 민주평화연구원 · 희망제작소 · 한겨례경제사회연구원 (진보)
창작물e-민주양
관련 문서민주당계 정당 · 제3지대 정당 · 민주당계 틀 · 제3지대 정당 틀 · 더불어민주당의 계파 분류 · 민생당의 계파 분류
인터넷 커뮤니티루리웹 · 오늘의유머 · 클리앙 · 82쿡 · 레몬테라스 · 쭉빵카페 · 보배드림 · 디미토리 · 더쿠 · 더불어민주당 마이너 갤러리 · 이재명 마이너 갤러리 · 유튜브 갤러리
관련 정당
(중도, 원외 등)
시대전환 · 직능자영업당 · 국가부패척결당
다른 진영 관련 문서 (진보 · 민주당계 · 보수)



[ 펼치기 · 접기 ]
민주당 창당 ~ 장면 제2기 내각
신파 (민주당)구파 (구파동지회)
장면 제2기 내각 ~ 장면 제3기 내각
소장파노장파합작파신민당통일당
장면 제3기 내각 ~ 장면 제4기 내각
신풍회노장파정안회신민당통일당
장면 제4기 내각 ~ 5.16 군사정변
신풍회중도파노장파정안회신민당통일당
5.16 군사정변 ~ 민정당 창당
정치 활동 금지
민정당 창당 ~ 1차 진산 파동
민주당민정당자민당국민의당
1차 진산 파동 ~ 신민당 창당
민주계 유진산계 신한당
신민당 창당 ~ 2차 진산 파동
신파계구파계유진산계국민당민중당
2차 진산 파동 ~ 10.26 사건
신파계구파계이철승계민주통일당
10.26 사건 ~ 5.17 내란
동교동계상도동계 이철승계민주통일당
5.17 내란 ~ 11대 총선
정치 활동 금지
11대 총선 ~ 12대 총선
민한당
12대 총선 ~ 이민우 구상
동교동계상도동계 이철승계 민한당
이민우 구상 ~ 13대 대선
동교동계상도동계 신민당 민한당
13대 대선 ~ 3당 합당
동교동계상도동계
3당 합당 ~ 14대 총선
한겨레신민당 꼬마민주계박찬종계
14대 총선 ~ 새정치국민회의 창당
동교동계 잔류파새한국
새정치국민회의 창당 ~ 15대 대선
동교동계 민주계
15대 대선 ~ 16대 대선
동교동계 민주계이인제계
16대 대선 ~ 열린우리당 창당
친노동교동 신파동교동 구파후단협이인제계
열린우리당 창당 ~ 17대 총선
친노민주
17대 총선 ~ 4회 지선
민평련친노비노민주
4회 지선 ~ 17대 대선
민평련친노정동영계민주김한길계
17대 대선 ~ 18대 총선
민평련친노정동영계민주손학규계김한길계창조
18대 총선 ~ 국민참여당 창당
민평련정동영계정세균계구민주계손학규계창조
국민참여당 창당 ~ 민주통합당 창당
정동영계참여계민평련친노정세균계구민주계손학규계창조
민주통합당 창당 ~ 19대 총선
정동영계혁통계민평련정세균계구민주계손학규계김한길계창조
19대 총선 ~ 18대 대선
정동영계민평련친문정세균계박지원계구민주계손학규계김한길계
18대 대선 ~ 14년 재보선
민평련친문정세균계구민주계손학규계김한길계친안
14년 재보선 ~ 새정치민주연합 분당
김민석계민평련친문정세균계천정배계구민주계친안
새정치민주연합 분당 ~ 20대 총선
김민석계친문정세균계구민주계친안
20대 총선 ~ 국민의당 분당
박원순계친문안희정계평화 친안
국민의당 분당 ~ 민생당 창당
친명친문비문평화대안손학규계
민생당 창당 ~ 21대 총선
민주민생
21대 총선 ~ 20대 대선
열린친명친문이낙연계민생
20대 대선 ~ 현재
친명친문비명
정당별 계파 (기타 진보정당 · 진보 · 정의 · 민주 · 민생 · 국민의힘 · 극우정당)
계파 역사 (진보정당 · 민주당계 · 보수정당)



비노무현
비노 / 반노
형성2002년
해체2015년
수장김한길, 정동영, 김종인
정치적 이념자유보수주의[A]
중도개혁주의
경제적 이념경제적 자유주의[A]
신자유주의[A]
주요 정치인박지원
이낙연
추미애
천정배
이인제[1]

1. 개요
2. 상세



1. 개요[편집]


친노의 반대 개념. 민주당계 정당 정치 세력 중에서 친노 계파가 아닌 노무현 세력에 속하는 정치인들을 일컫는다. 주로 동교동계 정치인들이 비노 세력으로 알려져 있다. 대체로 "중도개혁주의" 성향을 드러내며[2][3], 현재는 비문세력으로 불린다. 다만 친노세력에서도 친문과 비문으로 나뉜다.


2. 상세[편집]


2009년 노무현 전 대통령 자살 사건 이후, 문재인제18대 대통령 선거에 나오면서 비문으로 많이 옮겨간 상태다.

몇몇은 친노를 경계하지 않는 경우도 있어서 일명 '범친노'로 분류되기도 하는데, 종종 '범친노'는 친노 성향이 너무 짙지 않은 경우를 칭하는 말이라 이 표현을 '친노를 경계하지 않는 비노'에게 쓰는 것이 적절한 가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다만 친박을 파트너로 여기는 비박 홍준표를 '범친박'이라고 부르듯이, 이런 류의 비노를 '범친노'라고 부르는 것은 이상하지는 않다.

여느 계파들이 그렇듯 비노도 매우 다양하게 존재한다. 그 중에서도 범친노 계통은 정동영계, 김한길계 등이 있다. 김종인계의 경우는 완전한 비노이고, 2014년 전후로는 일명 친안철수가 등장하면서 비노계의 주류로 자리잡았다. 이중 친안철수는 바른미래당으로, 정동영계를 비롯한 비안철수는 민주평화당으로 다시 흩어진다.

2016년 언론에서는 박영선, 김영춘, 김부겸, 송영길을 민주당내 대표적인 비노 출신 정치인으로 꼽았다.

그런가하면 비노이면서도 친문 성향을 보이는 경우 또한 있는데 대표적으로 열린우리당 창당에 참여하지 않았던 이낙연, 추미애, 김효석, 김영호나 아예 보수정당에서 넘어온 진영[4], 권민호, 양동인, 혹은 표창원, 김병관, 조응천[5], 양향자를 비롯한 영입인사 등이 있다.

그 외에도 노무현과 친노를 결사반대하는 반노도 있는데 예전에는 자주 사용했으나 지금은 그리 많이 사용되지 않는 편이다. 대표적으로 노무현과 대선 경선후보로 경쟁했던 이인제노무현 탄핵 소추를 이끌었던 조순형 등이 있다. 친노에서 반노로 전향한 탈노도 있는데, 김경재, 함승희, 이해성 등이 대표적인 예. 반노, 탈노의 상당수는 지금 오히려 국민의힘과 같은 보수정당에서 활동하는 경우가 많다.

[A] A B C 동교동계 성향.[1] 잠시 새천년민주당 소속이었으나 자유민주연합으로 넘어가며 현재는 계파를 이탈했다.[2] 반면에 친노, 친문참여민주주의, 사회자유주의 성향을 드러내고 있다.[3] 3당 합당 이전에는 모든 정당이 중도 - 중도보수 성향임을 감안하면 전혀 이상하지 않다. 실제로 대한민국에서 중도좌파 성향이 일정세를 확보하는 것은 평화민주당이 고립되고 김대중이 진보개혁 인사를 등용하고 거기에 국민승리21 등 진보계열 정당이 나온 이후다.[4] 보수 정당 시절에는 친박이였으나, 이후 노인 기초 연금을 두고 박근혜 대통령 및 친박계와 갈등을 빚고 비박으로 전향했다.[5] 다만, 조응천의 경우 문재인 당시 대표가 영입한 인사이긴 하지만 본인이 친문이 아니라고 했고, 더불어민주당 내 소장파인 조금박해의 일원이기도 하기 때문에 친문 성향을 보인다고 하긴 어렵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비노(동음이의어) 문서의 r3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비노(동음이의어) 문서의 r3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1 14:50:23에 나무위키 비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