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종합운동장역 (r5판)

편집일시 :

富川綜合運動場驛 / Bucheon Stadium Station
부천종합운동장
파일:Seoulmetro7_icon.svg
미개통 전철 노선 보기
파일:SeohaeLine_icon.svg
서해선
(S15)
(미개통)
송도국제도시 방면
부 평

← -.- ㎞
GTX-B(착공 예정)
서부급행
(계획중)
시종착

다국어 표기
영어Bucheon Stadium
한자富川綜合運動場
중국어富川综合运动场
일본어プチョン·チョンハブンドンジャン
주소
경기도 부천시 길주로 지하 502 (춘의동 15-1번지)
운영 기관
7호선파일:서울교통공사_Logo.svg
서해선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파일:서부광역철도-로고.png
개업일
7호선2012년 10월 27일
서해선2023년 상반기
역사 구조
지하 2층
승강장 구조
복선 섬식 승강장
[ 미개통 노선거리표 보기 ]
대곡소사선
부천종합운동장
(미개통)


1. 개요
2. 역 정보
3. 역 주변 정보
4. 일평균 이용객
5. 승강장



1. 개요[편집]


서울 지하철 7호선 752번, 경기도 부천시 길주로 지하 502 (춘의동 15-1번지) 소재. 장암역 기점 50.3km.
수도권 전철 서해선 S15번, 경기도 부천시 소사로 지하 (여월동 151-1번지) 소재 예정.


2. 역 정보[편집]


파일:44 부천종합운동장(최신).jpg

역 안내도.

역세권으로 바로 앞에 부천종합운동장이 있어서 최종적으로 지금의 역명으로 확정되었다. 북쪽으로는 여월택지지구와 인접해 있다.

미래에 서해선GTX-B선과 서부권 광역급행철도가 개통되어 기존 7호선 포함 총 4개의 노선이 경유하는 대형 환승역이 된다. 부천시에서 역세권 종합개발을 추진하고 있으나, 인근 여월지구 주민들이 환경 훼손을 이유로 반대하고 있다.

7호선 부천종합운동장역은 역이 위치한 종합운동장사거리를 지나는 당아래지하차도와 통합 시공되었으며, 당아래지하차도 바로 아래에 대합실과 승강장이 있다. 승강장은 섬식 승강장이나, 신중동역부천시청역처럼 넓지 않다.

개통 당시 4번과 5번 출구에는 캐노피(출구 덮개 구조물)를 설치하지 않았으나, 민원 발생으로 인해 결국 1월 초에 설치되었다. 이 때문에 4번과 5번 출구가 2012년 12월 동안 캐노피 설치 공사로 인해 잠시 폐쇄된 흑역사(...)가 있다. 구도시 지역인 까치울역과 춘의역의 일부 출구도 캐노피가 설치되지 않았다가 함께 설치되었다. 중동신도시상동지구 구간의 신중동역, 부천시청역, 상동역은 개통 당시부터 모든 출구에 캐노피를 설치해 놓았었기 때문에, 이로 인한 말들이 좀 많았다. 신도시와 구시가지를 차별하느냐 등등...

7호선 건설 당시 계획된 역이름은 당아래역이며 실제로 역 근처에 당아래 버스정류장이 존재한다.


3. 역 주변 정보[편집]


  • 1번 출구: 부천종합운동장 보조경기장, 부천상록학교, 까치울역 방면
  • 2번 출구: 부천종합운동장, 부천활박물관, 국궁장, 진달래동산, 부천시립원미도서관, 원미공원, 부일초등학교
  • 3번 출구: 부천종합테니스장, 원미중학교, 부천성모병원, 춘의종합사회복지관, 종합운동장공영주차장
  • 4번 출구: 도당수목원, 춘의역 방면
  • 5번 출구: 성곡동행정복지센터, 성곡치안센터, 오정경찰서, 까치울중학교, 여월중학교, 여월초등학교, 부천시박물관
  • 6번 출구: 부천옹기박물관, 부천시립 꿈여울도서관, 원종종합시장, 원종초등학교, 여월119안전센터

역명대로 부천 FC 1995의 홈구장인 부천종합운동장이 있다. 바로 옆에 경인랜드가 있긴 하지만 폐쇄되었다.

서울교통공사 부천종합운동장역별관이 3번 출구 쪽에 있다.

부천종합운동장에서 5분정도 거리에 부천시립도서관이 있다.

소사로 2.5km 남쪽에 소사역이 있다. 걸어가면 40분 걸리므로 서해선 연장 구간 개통 전에는 버스를 타야 한다.


4. 일평균 이용객[편집]


부천종합운동장역을 이용하는 도시철도 일일 승객 수이다. 아래 표는 승차객 + 하차객의 총합이다.

서울 지하철 7호선
2012년2013년2014년2015년2016년2017년2018년2019년2020년
7,452명9,133명10,426명10,802명10,830명10,609명9,730명9,572명6,957명
  • 7호선의 2012년 자료는 개통일인 10월 27일부터 12월 31일까지 66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 출처: 서울교통공사 자료실

2018년 하루 평균 이용객은 9,730명으로 7호선 역들 중 최하위권에 속한다. 7호선에서 이보다 수요가 적은 역은 장암역 단 한 개로, 이 역은 7호선 51개 역 중 50위의 승하차객을 기록하고 있고, 장암역이 차량기지에 딸린 역이라는 걸 생각해 보면 실질적으로 부천종합운동장역이 꼴찌다.

이 곳의 역세권을 보면 승객이 적을 수밖에 없는 이유를 알게 될 것이다. 역의 북쪽은 야트막한 산으로 둘러싸인 구릉지이며, 남동쪽에는 종합운동장만 덜렁 있을 뿐 역시 구릉지대가 이어진 숲이다. 개발된 곳은 오로지 남서쪽 구역이지만, 이쪽은 공단지역과 춘의테크노파크로 거주지가 아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역세권에 사는 주민은 많지 않다고 볼 수 있다. 오히려 저런 약한 역세권에도 불구하고 의외로 이용객이 많은 편이라 할 수 있다. 춘의동 외에 여월휴먼시아 및 성곡동, 원종동에서 오는 수요가 있고, 도보 5~10분 거리에 있는 여월지구 아파트와 연립주택에서 넘어오는 수요가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서해선이 연장 개통되면 부천~김포공항 방면의 수요가 생겨서 승하차객이 더 늘어날 것이다. 특히 서해선은 7호선과 십자로 교차하기 때문에 이용객이 줄어들 이유는 없을 것이다.


5. 승강장[편집]



5.1. 서울 지하철 7호선[편집]


파일:부천종합운동장역1.jpg

부천종합운동장역은 1면 2선 섬식 승강장의 지하역이며, 안전문이 설치되어 있다. 안전문이 닫힐 때 경고음이 추가되었다.

까치울
춘의



5.2. 수도권 전철 서해선[편집]


파일:bucheonstadiumst.png
수도권 전철 서해선 부천종합운동장역 조감도.

원종
소사



5.3.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B노선[편집]


부평
1234
오류동신도림오류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