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헌창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진덕왕조중시죽지
무열왕조중시문충 | 김문왕
문무왕조중시문훈 | 진복 | 지경 | 예원 | 천광 | 춘장 | 천존
신문왕조중시순지 | 대장 | 원사 | 선원
효소왕조중시원선 | 당원 | 순원
성덕왕조중시원훈 | 원문 | 신정 | 문량 | 위문 | 효정 | 사공 | 문림 | 선종 | 윤충
효성왕조중시의충 | 신충
경덕왕조중시유정 | 대정
시중대정* | 조량 | 김기 | 염상 | 김옹 | 양상
혜공왕조시중김은거 | 정문 | 김순 | 주원
원성왕조시중제공 | 종기 | 준옹 | 숭빈 | 언승 | 지원 | 김삼조
소성왕조시중충분
애장왕조시중수승 | 김헌창
현덕왕조시중양종 | 원흥 | 장여 | 김충공 | 영공
흥덕왕조시중김우징 | 윤분 | 김명
희강왕조시중이홍
민애왕조시중헌숭
문성왕조시중의종 | 양순 | 김여 | 위흔 | 김계명
경문왕조시중위진 | 인흥
헌강왕조시중예겸 | 민공
정강왕조시중준흥
효공왕조시중계강 | 효종
경명왕조시중유렴 | 언옹
* 경덕왕 6년 중시를 시중으로 고쳐 부름.




[ 펼치기 · 접기 ]
진한 6부 촌장 | 개국공신
문열왕
고허촌 촌장
은열왕
양산촌 촌장
감문왕
진지촌 촌장
문의왕
대수촌 촌장
장무왕
고야촌 촌장
장렬왕
가리촌 촌장

갈문왕
사요 갈문왕허루 갈문왕마제 갈문왕일지 갈문왕
지소례 갈문왕아도 갈문왕세신 갈문왕구도 갈문왕
이칠 갈문왕내음 갈문왕파호 갈문왕습보 갈문왕
지도로 갈문왕
국왕 즉위
입종 갈문왕복승 갈문왕음갈문왕
선덕여왕 국서
진정 갈문왕국반 갈문왕만천 갈문왕
추존 국왕
세조왕태조 성한왕
문헌상 언급
문흥왕
문흥 갈문왕
흥무왕
비 왕족
개성왕현성왕신영왕흥평왕
명덕왕혜충왕
태자
익성왕선강왕
태자 / 갈문왕
혜강왕성덕왕의공왕혜성왕
진성여왕 국서
선성왕흥렴왕성무왕성희왕
의흥왕신흥왕
왕태자
우로태자동륜태자
동륜왕
효상태자헌평태자
태자
헌덕왕의 아들
태자
문성왕의 아들
마의태자
제후 및 비정통 국왕
김인문
괴뢰왕
김주원
명주군왕
김헌창
장안국왕
박언창
후사벌왕







장안국 초대 국왕
헌창왕[1] | 憲昌王
출생연대 미상
신라
사망822년
신라 웅천주
재위장안왕
822년
[ 펼치기 · 접기 ]
본관강릉 김씨
헌창(憲昌)
부친김주원
아들김범문
왕호장안왕(長安王) / 헌창왕(憲昌王)
골품진골(眞骨)
관등이찬(伊飡)
직위시중(侍中)[1]
무진주 도독(武珍州 都督)
청주 도독(菁州 都督)
웅천주 도독(熊川州 都督)
연호경운(慶雲, 822년)
[1] 제2 등위인 이찬 관등에 최고위직 시중 직위까지 받았지만 왕가의 견제로 한직에 밀려난다.
1. 개요
2. 생애
3.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신라 말기의 귀족. 무열왕계의 유력 인물이자 원성왕과의 왕위 다툼에서 밀려나 명주로 좌천된 김주원의 아들이자 김헌창의 난의 주도자. 장안국의 왕.


2. 생애[편집]


애장왕(800~809) 대에 이찬(伊飡)이었다가 807년 시중(侍中)이 되었으며 이후 다시 이찬을 지냈다. 헌덕왕(809~826)대에 813년 무진주(武珍州, 지금의 광주광역시) 도독이 되었다가 8월에 중앙으로 부름을 받아 시중이 되었다. 816년 외직으로 나가게 되면서 청주[2]도독이 되었다.

821년 웅주(지금의 충청남도 공주시, 옛 백제 웅진) 도독이 되었고 822년 아버지 김주원이 왕이 되지 못했다는 이유로 군사를 일으킨다. 다만 시점을 보면, 정말 아버지가 왕이 되지 못한 것이 아니라 흥덕왕(826~836)이 태자가 된 것이 더 불만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아버지 김주원이 왕이 되지 못한 건 이미 수십 년 전의 일이고[3]김헌창은 그동안 정계에서 잘 있다가 이제 와서 명분으로 내세우기에는 좀 뜬금없기 때문이다. 이를 보면 사서에는 나와있지 않지만, 원래는 모종의 이유로 헌덕왕 바로 다음 순번으로서 왕위를 계승할 수 있는 위치에 있었던 모양. 원성왕의 차남 김의영과 혈연관계로 연관되어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

김헌창은 본인이 도독으로 부임해 있던 공주에서 신라 조정에 대항해 장안국이란 이름으로 나라를 세우고 무진, 완산, 청주, 사벌 등 4주의 도독들과 국원소경, 서원소경, 금관소경의 사신들과 여러 군현의 수령을 위협해 부하로 삼는 등 크게 세력을 확대했다.

그러나 녹진(祿眞)의 지휘 아래 한산주(漢山州), 우두주(牛頭州), 삽량주(歃良州), 패강진(浿江鎭), 북원소경(北原小京) 등의 여러 성에서 김헌창이 군사를 일으킨 것을 알고 성을 지켰으며 헌덕왕이 파견한 신라군과 맞서 싸웠지만 도동 고개, 삼년산성, 속리산, 성산 등 여러 곳에서 패해 도망가서 웅진에서 농성했다가 10일만에 함락되려고 하자 패배를 직감하고 자결했다. 김헌창이 자결하자 김헌창을 따르던 사람들이 그의 명예를 지켜주기 위해 머리와 몸을 따로 묻었지만, 웅진성을 함락한 신라 중앙군은 반역자 김헌창의 무덤에서 시체를 꺼내 다시 부관참시했다.

청주 태수의 청사 남쪽 연못에 이상한 가 나타나 4일만에 죽었는데 김헌창이 패망할 징조였다고 한다.

아들 김범문은 피신해 북한산에서 산적에 의탁해 3년간 지내고 남평양에서 아버지의 뜻을 이어 재차 난을 일으켰지만 크게 호응이 없었는지 한산주 도독에게 토벌당했다고 한다.


3. 둘러보기[편집]


장안국의 역대 국왕
건국초대 김헌창김범문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7 04:27:00에 나무위키 김헌창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정식 묘호시호가 없는 군주는 왕호로 그냥 휘호가 사용됐다.[2] 지금의 충청북도 청주시가 아니라 경상남도 진주시를 중심으로 한 서부 경남 일대이다. 한자로는 청주(菁州)이다. 경덕왕대에 강주(康州)가 되었으나 그 뒤에도 청주 명칭은 계속 사용되었다.[3] 김주원은 김경신과의 갈등 끝에 김경신(원성왕)이 왕위에 오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