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년산성

덤프버전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의 사적 제235호
보은 삼년산성
報恩 三年山城
Samnyeonsanseong Fortress, Boeun

[ 펼치기 · 접기 ]
소재지
충청북도 보은군 보은읍 성주1길 104 (어암리)
분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성 / 성곽
면적
232\,655㎡
지정연도
1973년 5월 25일
제작시기
삼국시대
위치




파일:1651673.jpg

삼년산성 전경[1]
1. 개요
2. 역사
3. 구조
4. 고분군
5. 관련 유적
6. 외부 링크
7. 사적 제235호



1. 개요[편집]


보은 삼년산성은 충청북도 보은군 보은읍에 있는 화강암으로 쌓은 산성으로 신라 자비 마립간 13년(470)에 축조되었고, 소지 마립간 8년(486)에 고쳐 세웠다. 삼국사기에 성을 쌓는 데 3년이 걸렸기 때문에 삼년산성이라 부른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세종실록지리지』에는 오항산성, 『신증동국여지승람』, 『충청도읍지』에는 오정산성으로 기록되었다.

삼년산성은 1973년 5월 25일 사적 제235호로 지정되었다.



2. 역사[편집]


신라가 삼국통일의 전초기지로 쓰려고 심혈을 기울여 축조한 요새였다. 성을 쌓는 데 화강암 약 1천만 개가 사용되었다고 한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3년간 노동하여 자비 마립간 13년(470)에 완공하였다. 5세기 한반도는 백제와 신라가 연합해 고구려의 남진을 저지하던 시대였고, 그래서 견고한 성이 필요했으므로 삼년산성을 축조한 것.

삼국사기는 삼년산성이 3년에 걸쳐 만들어 자비 마립간 13년(470)에 완공되었다고 할 뿐, 투입한 노동력의 규모가 얼마나 되는지는 적지 않았다. 다만 삼국사기의 소지 마립간 8년(486)조에 일선(一善: 현 경북 구미) 지방의 장정 3천 명을 동원해서 삼년성과 굴산성을 개축했다는 기록이 있을 뿐이다.

진흥왕은 재위 15년(554) 이곳에서 조련한 군대를 몰고 관산성 전투(현 옥천)에서 백제 성왕을 죽였다. 백제를 멸망시킨 김유신의 5만 군대도 삼년산성에서 훈련을 받았다. 무열왕은 신라와 당나라 간 동맹을 위한 국제회의를 이곳에서 열었는데, 당나라에게 무력시위를 하기 위해서였다.

이후 후백제가 충북 일대로 확장하면서 후백제의 판도에 들어갔는데, 심지어 고려 태조 왕건도 후백제가 차지한 삼년산성을 재위 11년(928)에 빼앗으려다 크게 패한 바 있다. 그야말로 불굴의 천년요새였다. 이때, 후백제가 고려의 삼년산성의 일부인 오어곡성을 공략할때 호족의 배신으로 패하게 되자, 왕건은 배신으로 인한 분노로 배신자 가족들을 철퇴로 때려 죽인적도 있었다.

난공불락요새답게 기록상 149승 1패라는 무시무시한 성과를 남겼다.[2] 백제는 물론, 수나라, 당나라도 꺾은 고구려조차 이 성 앞에선 답이 안 나왔다. 유일한 1패는 통일신라 헌덕왕 14년(822) 김헌창반란을 일으켰다가 삼년산성에서 관군에 패해서 함락당한 것.

위공과 제릉이 장웅의 군대에 합세해 삼년산성(三年山城)을 공격해 승리하였다.

삼국사기》, 〈신라본기〉, 헌덕왕 14년(822)

전해지는 기록은 이게 전부라서 성이 함락된 유일한 사건인데도 불구하고 어떻게 함락되었는지는커녕 전투과정, 심지어 김헌창이 이 성에 있었는지조차 알 수 없다. 한국의 수많은 성들 중에서도 탑급으로 난공불락이라 내부배신일 확률이 크지만, 어디까지나 추측이다.

참고로 김헌창은 초기엔 우세했으나 신라군의 반격에 패전을 거듭하다가 본거지였던 웅진이 신라 관군에게 포위되자 자결했다.

고려가 통일한 뒤로는 더이상 최전방 요새가 아니었기 때문에, 이후 전쟁사에선 거의 등장하질 않는다. 특히 고려는 거란, 몽골, 홍건적, 왜구 등 수많은 외적의 침입을 받았고, 조선 역시 임진왜란이란 큰 전쟁을 겪었지만, 삼년산성에서는 큰 전투가 벌어진 적이 없다.

3. 구조[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0px-Samnyeon_sanseong4.jpg

삼년산성 성벽
특별한 전적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엽기적인 방어력 때문에 인터넷 커뮤니티 등지에서 의외로 널리 알려진 곳이다. 신라가 말 그대로 철옹성으로 만들겠다고 작정한 티가 나는 곳이다. 성의 둘레는 약 1.8 km이고 성벽은 납작한 돌을 이용해서 한 층은 가로 쌓기를 하고, 한 층은 세로 쌓기를 하여 튼튼하며, 성벽의 높이는 지형에 따라 다르지만 대체로 10 m 이상으로 대단히 높다. 조선시대의 산성이 산 정상을 두르는 형태로 대체로 낮은 편인 것과 비교했을 때 그야말로 요새라고 불러도 부족함이 없을 정도. 이처럼 성벽이 높고 크기 때문에 하중도 막대하므로, 성벽 모퉁이의 하중이 큰 부분에는 기초를 견고하게 하고자 4중 계단식으로 쌓았다.

성벽의 동쪽과 서쪽은 안쪽은 다진 흙으로, 바깥쪽은 돌로 쌓는 내탁외축(內托外築) 방법을, 남쪽과 북쪽은 모두 석재를 이용하여 축조하는 내외협축(內外夾築) 방법을 이용했다.

가장 유명한 것은 성문으로, 군사나 전술에 대해 전혀 모르는 사람이 봐도 혀를 내두를 법한 악랄한 구조를 자랑한다. 정문으로 사용한 서문은 성벽이 안쪽으로 휘어진 위치에 있어서 잘 보이지 않고, 남북으로 치성도 2개가 배치되어 있어 공격하는 적을 쉽게 반격할 수 있다. 여기에 더해 문 앞이 낭떠러지라 성벽 아래를 쭉 따라와야 진입할 수 있고, 성문을 어떻게 파고들어서 열어도 성문 바로 뒤에 호수가 있어서 공격자 입장에서는 성벽 통과했더니 해자가 하나 더 나오는 환장할 상황에 놓이게 된다. 남, 북, 동문은 치성을 설치하는 것은 물론이고 아예 사다리를 타고 올라가야만 접근할 수 있게 만들었다.[3] 동문은 현문식인 데다 내부에 옹벽을 만든 특이한 구조다. 서문만 현문식이 아닌 이유는 그렇게 하지 않아도 방어하기 쉬운 데다, 물자 보급 등의 이유로 멀쩡한 성문을 최소한 하나는 만들 필요가 있었기 때문이다.

성내에는 연못터와 우물터가 있고 주위 암벽에는 글을 새겼다. 옥필(玉筆)·유사암(有似巖)·아미지 등 글씨를 오목새김하였는데, 김생(金生)의 필체라고 전한다. 삼국시대에서 고려·조선시대까지의 토기조각과 각종 유물이 발견되어 성을 오랫동안 이용했음을 알 수 있다.

5세기 후반 신라의 축성기술을 대표하는, 우리나라에서 돌을 이용하여 쌓은 대표적인 산성이라고 평가받는다.


4. 고분군[편집]


파일:경주 천마총 장니 천마도.png 5~6세기 신라의 고총 고분군

[ 펼치기 · 접기 ]




주변에는 무덤 수천 기가 있는데, 행정명을 기준으로 '대야리 고분군'이라고 하지만 최근에는 '삼년산성 고분군'이라고도 한다. 유명한 고총 고분군이 아니다보니 상대적으로 관심이 떨어져 도굴에 무방비 상태로 놓여져 있었다. 그러나 2010년대에 들어서 지자체 대부분이 그렇듯 지역 내 역사문화 관련 유적의 정비 일환으로 삼년산성 고분군에 현황조사 및 발굴조사를 했다. # 5세기 후반-6세기 초반에 삼년산성 고분군이 형성되었다고 추정한다.

경주김씨 판도판서공파의 직계 조상들일 가능성이 가장 크다.(조선시대 군역과 부역을 면제받기위해 경주의 경순왕 후손으로 위조했다는 의심을 받고 있는 보은 지역 경주김씨 일파이다.) 법주사에는 이들의 족보 목판이 보관되어 있다.

신라에게 산성+고분군 조합은 거점적 역할을 했던 곳으로 추정한다. 삼년산성과 삼년산성 고분군은 5세기 신라의 전통적인 활동반경인 경상도[4]에서 벗어나서 생겨나는 대표적인 사례로써 신라가 가야 지역에 대한 지배력을 관철시킬 무렵부터 북방으로 진출을 꾀했다는 물적 증거로 볼 수 있을 듯하다.


5. 관련 유적[편집]


충북, 대전 일대는 소위 중원지역이라고 지칭되며 삼국시대 5~6세기의 각축장이었던 만큼 관방시설이 굉장히 많다. 중원지역의 삼국시대 산성들이 실제로 유네스코에 등재될 가능성은 낮지만 중부내륙 산성군이라는 이름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 잠정등재 목록에 포함되어 있다.



6. 외부 링크[편집]




7. 사적 제235호[편집]



문화재청 소개글
삼년산성은 돌로 쌓은 산성으로 신라 자비왕 13년(470)에 쌓았으며, 소지왕 8년(486)에 고쳐 세웠다.
『삼국사기』에는 성을 쌓는데 3년이 걸렸기 때문에 삼년산성이라 부른다고 기록되어 있고 『세종실록지리지』에는 오항산성으로, 『신증동국여지승람』, 『충청도읍지』에는 오정산성으로 기록되어 있다.
성의 둘레는 약 1,800m이고 성벽은 납작한 돌을 이용해서 한 층은 가로 쌓기를 하고, 한 층은 세로 쌓기를 하여 튼튼하며, 성벽의 높이는 지형에 따라 다르다. 남쪽과 북쪽은 안팎을 모두 돌을 이용하여 쌓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문터는 4곳에 있으나 모두 그 형식이 다르다. 성내에는 연못터와 우물터가 있고 주위 암벽에는 글이 새겨 있다. 삼국시대에서 고려·조선시대까지의 토기조각과 각종 유물이 발견되어 성을 오랫동안 이용했음을 알 수 있다.
5세기 후반 신라의 성 쌓는 기술을 대표하는 산성으로 주변에는 수 천기의 무덤들이 있다. 우리나라에서 돌을 이용하여 쌓은 대표적인 산성으로 평가되는 곳이다.
※(삼년산성 → 보은 삼년산성)으로 명칭변경 되었습니다.(2011.07.28 고시)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2 15:40:11에 나무위키 삼년산성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2] 승률을 계산해보면 99.3333...%라는 말도 안되는 수치다.[3] 이러한 형태를 현문식(縣門式), 또는 현문식 구조라고 하는데, 신라의 성문의 전형적인 모습이다. 이전엔 성문이 모두 형식이 다른 것으로 조사되었고 흔히 커뮤니티에도 그렇게 알려져 있지만, 2013년 2차 발굴조사 때 서문을 제외하면 전부 현문식인 것으로 밝혀졌다. 후대에 개축하며 형태가 바뀐 것.[4] 물론 경상도 말고도 영동 지방에도 일찍이 신라의 영향권 아래에 편입시켰었다. 강릉이나 삼척 등지가 대표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