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재현(1979)

덤프버전 :

김재현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
[ 펼치기 · 접기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color=#ff6600><tablebgcolor=#ff6600> 1985 || 1986 || 1987 || 1988 || 1989 ||
||<width=20%><rowbgcolor=#f7f7f7,#191919>
(4명)
이상군
전대영
황종선(1)
민문식
||<width=20%>
(10명)
김상국
한희민
이효봉
곽영진
김수길
김현태
윤홍식
유해덕
한연대
이원일(1)
||<width=20%>
(3명)
||<width=20%>
(3명)
||<width=20%>
(3명)
||
|| 1990 || 1991 || 1992 || 1993 ||<bgcolor=#f7000d> 1994 ||
||<width=20%><rowbgcolor=#f7f7f7,#191919> 지화동
김성한 || 양용모 || 지연규 || 구대성 || 길배진 ||
||<bgcolor=#f7000d> 1995 ||<bgcolor=#f7000d> 1996 ||<bgcolor=#f7000d> 1997 ||<bgcolor=#f7000d> 1998 ||<bgcolor=#f7000d> 1999 ||
||<width=20%><rowcolor=#f7000d><rowbgcolor=#f7f7f7,#191919> 신재웅 || 홍원기
(고졸)
|| 이성갑
(고졸)
|| 김민규
(고졸)
|| 박정진
(고졸)
문용민
||
||<bgcolor=#f7000d> 2000 ||<bgcolor=#f7000d> 2001 ||<bgcolor=#f7000d> 2002 ||<bgcolor=#f7000d> 2003 ||<bgcolor=#f7000d> 2004 ||
||<width=20%><rowbgcolor=#f7f7f7,#191919> 조규수 || 김태균 || 신주영 || 안영명 || 김창훈 ||
||<bgcolor=#f7000d> 2005 ||<bgcolor=#f7000d> 2006 || 2007 || 2008 || 2009 ||
||<width=20%><rowbgcolor=#f7f7f7,#191919> 윤근영 || 유원상 || 장필준(1)
최진호 || 박상규 || 김회성 ||
||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width=20%><rowbgcolor=#f7f7f7,#191919> 김용주(2) || 유창식(2) || 하주석(2) || 조지훈(2) || 황영국 ||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width=20%><rowbgcolor=#f7f7f7,#191919> 김범수 || 김주현 || 김병현 || 성시헌 || 변우혁 ||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width=20%><rowbgcolor=#f7f7f7,#191919> 신지후 || 정민규 || 문동주 || 김서현(2) || 황준서(2) ||
||<bgcolor=#000000><-5> (1) 지명 후 미입단 / 지명 거부
(2) 전면 드래프트 시행 년도 1R 지명 선수 ||



김재현의 수상 경력/ 역대 등번호
[ 펼치기 · 접기 ]

파일:KBO 퓨처스리그 엠블럼.svg
2003 KBO 퓨처스 북부리그 최우수 평균자책점

한화 이글스 등번호 76번
박완배김재현
(1998~1999)
김호
(2006~2008)
한화 이글스 등번호 36번
박성기
(1999.4.20.~1999)
김재현
(2000~2001)
가르시아
(2002)
LG 트윈스 등번호 66번
정재복
(2003~2004)
김재현
(2005~2006)
윤성길
(2007~2008)
LG 트윈스 등번호 17번
안상준
(2004~2006)
김재현
(2007~2008)
김광수
(2009~2011)
한화 이글스 등번호 63번
김회권
(2009)
김재현
(2010)
박건우
(2011~2012)
한화 이글스 등번호 47번
양승진
(2008~2010)
김재현
(2011)
윤근영
(2012~2014)

김재현
金載賢 | Kim Jae-Hyeon
출생1979년 9월 7일 (44세)
강원도 춘천시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학력동춘천초 - 대구중 - 대전고
포지션투수
투타좌투좌타
프로입단1998년 고졸우선지명 (한화)
소속팀한화 이글스 (1998~2001)
삼성 라이온즈 (2002)
LG 트윈스 (2005~2008)
한화 이글스 (2010~2011)
지도자대전유천초등학교 야구부 감독
병역상무 피닉스 야구단 (2003~2004)

1. 개요
2. 선수 경력
3. 지도자 경력
4. 여담
5. 연도별 성적
6.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한화 이글스, 삼성 라이온즈, LG 트윈스 등에서 활동했던 좌완투수.


2. 선수 경력[편집]


1998년 고졸우선 지명으로 한화 이글스에 입단했지만 2001년까지 단 1승만을 올리고 2001 시즌이 끝난 후 방출되었다. 좌완투수라는 이점이 있어 삼성에 입단했지만 역시 1년만에 방출, 이후 2003년 초 상무 야구단에 입대해[1] 군 복무를 마친 뒤 LG 트윈스에 신고선수로 입단했다.

당시 LG에는 좌완투수가 귀했기 때문에 어느 정도 기회를 얻었다. 하지만 끝내 고질적인 약점인 제구력이 잡히지 않았고, 때문에 2007년에는 사이드암으로 전향하기도 했다. 그럼에도 류택현의 재기와 오상민의 영입으로 자리가 없어져 2008 시즌 후 또다시 방출당하는 아픔을 겪었다.

이후 1년간 개인 운동을 하면서 소속팀 없이 보냈다. 나이가 어린 것도 아니고 기량이 나아질 기미도 보이지 않았지만, 2010년 친정 팀 한화 이글스에 신고선수로 다시 입단했다. 그러나 2010년 15경기에 나오는데 그쳤고, 2011년에는 1군에 올라오지 못한 채 시즌 중 웨이버 공시되어 방출되었다.


3. 지도자 경력[편집]


은퇴 후 오랜 기간 근황이 알려지지 않았다가 2021년 소소경의 후임으로 대전유천초등학교 야구부 감독으로 부임했다는 게 알려졌다.



4. 여담[편집]


  • 동명이인이자 LG, SK에서 뛰었던 좌타자 김재현을 상대로 강한 모습을 보였다. 실제로 2006년까지 투수 김재현과 타자 김재현과의 맞대결 통산 성적은 9타수 2안타(타율 0.222)로 투수 김재현이 우세했었다. 묘하게도 2005 시즌을 앞두고 타자 김재현이 친정팀 LG와의 갈등 끝에 FA 자격을 얻어 SK로 이적했는데, 투수 김재현은 2005년부터 LG 유니폼을 입게 되면서 간발의 차이로 엇갈린 바 있다.


5. 연도별 성적[편집]


역대 기록
연도소속팀경기수이닝ERA피안타피홈런사사구탈삼진WHIP
1998한화42⅔100-3.3830211.88
19991군 기록 없음
200041⅓00006.7520414.50
20011군 기록 없음
연도소속팀경기수이닝ERA피안타피홈런사사구탈삼진WHIP
2002삼성1군 기록 없음
연도소속팀경기수이닝ERA피안타피홈런사사구탈삼진WHIP
2005LG8200019.0060224.00
2006573712094.3829124271.38
20072210⅓01026.10173852.42
2008165⅔00017.9470852.29
연도소속팀경기수이닝ERA피안타피홈런사사구탈삼진WHIP
2010한화158⅔10025.19102481.39
KBO 통산
(7시즌)
12667⅔330155.1974652491.77


6. 관련 문서[편집]



[1] 입대 동기로 조동화, 박재상, 오윤, 이성우, 박종윤 등이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6 19:22:42에 나무위키 김재현(1979)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