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능재부

덤프버전 :

파일:G_PARK.png
[ 발매 음반 ]
파일:Change.jpg
파일:Dr. Park.jpg
파일:바람의 아들.jpg
파일:We love 독도.jpg
파일:탈랄라.jpg
정규 1집}}}
Change
1999. 07. 16.
정규 2집}}}
Dr. Park
2000. 08. 16.
정규 3집}}}
바람의 아들
2002. 08. 09.
싱글}}}
We love 독도
2005. 03. 29.
정규 4집}}}
탈랄라
2005. 06. 02.
파일:박명수 롱다리.jpg
파일:바보에게 바보가.jpg
파일:Fyah.jpg
파일:230780.jpg
파일:꿈이었을까.jpg
싱글}}}
롱다리
2006. 08. 08.
싱글}}}
바보에게... 바보가
2008. 04. 04.
싱글}}}
Fyah
2010. 04. 05.
싱글}}}
고래
(with 니콜)
2010. 07. 20.
싱글}}}
꿈이었을까
(with 정엽)

2012. 10. 25.
파일:You're My Girl.jpg
파일:아쿠아 파라다이스.jpg
파일:명수네떡볶이.jpg
파일:Don't Go.jpg
파일:Goodbye PMS.jpg
싱글}}}
You're My Girl
2013. 06. 12.
싱글}}}
아쿠아 파라다이스
2013. 07. 29.
싱글}}}
명수네 떡볶이
2014. 07. 16.
싱글}}}
Don’t Go
(ft. DJ찰스)

2014. 12. 01.
싱글}}}
Goodbye PMS
(with 리지)

2015. 02. 13.
파일:바보야.jpg
파일:타잔.jpg
파일:avatars-000294819578-wcsqeu-t500x500.jpg
파일:Saxophone Magic.jpg
파일:20163521.jpg
싱글}}}
바보야
(with 소찬휘)

2015. 03. 31.
싱글}}}
타잔
(ft. 유재환 & 혜성)

2016. 03. 29.
G-PARK 싱글}}}
Mantra
2017. 02. 10.
싱글}}}
Saxophone Magic
(ft. 딘딘 & 대니 정)

2017. 03. 22.
싱글}}}
독사과
(with 박나래)

2018. 11. 19.
파일:SNS_G-PArk_Hyojung.jpg
파일:artworks-000530671812-z05lz8-t500x500.jpg
파일:bomb bomb.jpg
파일:G-PArk.jpg
싱글}}}
SNS
(with 효정 of 오마이걸)

2018. 11. 09.
G-PARK 싱글}}}
Party Yeah
(Original Mix)

2019. 05. 07.
G-PARK 싱글}}}
Bomb Bomb
(Original Mix)

2019. 08. 26.
G-PARK 싱글}}}
Let Me Dance
2020. 07. 15.
>
[ 방송 활동 ]




1. 개요
2. 용례
3. 여담
4.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자주 틀리는 한국어 중 하나. 재능기부의 잘못된 말이다. 방송에서 처음 나온 것은 무한도전 못친소 페스티벌로, 구청에 강연하러 간다는 김제동의 이야기에 박명수가 내뱉은 말이다. 그런데 묘하게 말이 되는 것 같은 느낌 때문인지 박명수는 물론 김제동조차 이상함을 전혀 인지하지 못했고, 이어진 유재석의 핀잔을 듣고서야 알아챘다.


2. 용례[편집]


포털사이트 기사검색에 기능재부를 쳐보면 많은 기사가 검색된다. 600여 건 중 '틀린 단어임을 설명하는 기사'는 50건도 안 된다.

포털사이트 통합검색만 들어가 봐도 의외로 잘못 사용하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는 걸 알 수 있다. 드립으로 사용하는게 아니라 진짜로 진지하게 재능기부를 하면서도 기능재부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사람들도 많다.

여담으로, 기능재부를 기능+재부로 해석하여 각각의 단어를 사전에서 찾아보면 다음과 같다. (편의상 빈도수가 높은 것만 기재)
  • 기능
    • 技能: 육체적, 정신적 작업을 정확하고 손쉽게 해 주는 기술상의 재능.[1]
    • 機能: ①하는 구실이나 작용을 함. 또는 그런 것. ②권한이나 직책, 능력 따위에 따라 일정한 분야에서 하는 역할과 작용.
  • 재부
    • 財富: ①재물이 많음. 또는 그런 사람. ②가치 있고 소중한 것.

그러니까 기능재부의 기능을 技能으로 해석하여 억지로 풀이해 보면 '기술 상 재능이 재물처럼 많음' 정도.

더 나아가면 '기능기부'나 '재능재부'라는 표현까지 등장하기도 한다. 그나마 전자는 '기능(技能) 기부'라고 해석하면 대충 말이 되는데 후자는...

사실 이건 '재능 기부'라는 단어가 워낙에 낯설어서, 재능+기부로 받아들이지 못하고 '재.능.기.부'라는 4개의 낱단어가 모인 완전히 새로운 단어로 인식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두음전환이 작동한 것이다.

결국, 언론에서도 이 문제에 대한 기사가 나왔다. 기사 내용이 본 항목과 캠릿브지 대학의 연결구과 항목을 많이 참조한 것 같이 느껴지는 건 착각이다. 다만 결론이 좀 괴이한데, 이걸 넷 용어에 익숙해져서라는데, 기능재부는 억지로 이해한다고 해도, 스튜어디스가 무슨 넷 용어겠는가. 단순히 기자들이 단어 자체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고, 해당 기사에 대한 편집부 교정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증거일 뿐이다. 기사 하나를 단어 수준에서 수정해서 다시 올리는 소위 '우라까이'[2] 문제도 있을 것이고.


3. 여담[편집]


틀린 단어임을 알면서도 의도적으로 '기능재부'라는 말을 쓰는 경우도 있다. 노동착취를 재능기부라는 이름으로 정당화하는 일부들(예를 들면 팝픽이라든가...)을 비꼴 때 쓰인다.[3]

김영만, 안정환도 방송에서 이 말을 사용했다.

강호동1박 2일 삼척 편에서 '무장해제'를 '해장무제'라고 한 적이 있다. 욕지도 편 클로징 멘트에서는 '맑은 바닷가'를 '밝은 마닷가'로 계속 실수해 진행을 터트리기도.

1년 뒤에 방영된 무한도전 숫자야구 특집에서 박명수가 우선선택권을 우선권선택이라고 한 적이 있다.

택연삼시세끼 정선 편에서 '역할분담'을 '분담역할'이라고 한 적이 있다.


4.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5 11:17:49에 나무위키 기능재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기능장, 기능사, 기능대학, 국제기능올림픽대회 할 때 기능이 바로 이걸 말하는 거다.[2] 우라까이는 일본어로 '베껴 쓰기'라는 뜻이다.[3] 이때는 '남의 기능(技能)을 이용해서 부를 쌓는다(재부, 載富)'라고 해석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