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음전환

덤프버전 :

1. 개요
2. 예시
3. 유사 개념
4. 매체에서
5.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두음전환(頭音轉換, Spoonerism)은 두 단어의 초성을 서로 바꿔서 발음하는 말실수 또는 말장난으로 애너그램의 일종이다.

대화 도중 짧은 시간 안에 충분히 어휘를 떠올리지 않고 급하게 말할 때 자주 발생한다. 물론 청자는 언어의 맥락을 유추하면서 이야기를 듣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의사소통에 문제가 일어나지는 않는다. #

두음전환은 인간의 머리 속에 음절이 심리적인 실체로서 존재한다는 근거가 되는데, 이는 두음전환 현상이 음절 단위의 동일한 위치에서만 발생하기 때문이다. 즉 초성-초성, 혹은 중성-중성, 종성-종성 식으로 서로 바뀌는 경우는 있지만 초성-종성 등 음절 내부에서 다른 위치에 있는 소리가 바뀌는 경우가 없다는 것이다.

두음전환의 영어명인〈스푸너리즘〉이라는 말은 옥스퍼드 뉴 칼리지의 학장을 지냈던 윌리엄 아치볼드 스푸너(William Archibald Spooner)라는 사람이 이런 종류의 말실수를 자주 했다는 데서 왔다고 한다. 기사 그가 보여준 원조 스푸너리즘의 예로는 아래와 같은 것들이 있다.
  • rate of wages→weight of rages
임금(돈)의 비율→분노의 무게
  • dear old queen→queer old dean
늙은 여왕께→기묘하고[1] 늙은 학과장
  • crushing blow→blushing crow
강렬한 타격→홍조를 띄우는 까마귀
  • "Do you have a magnifying glass? (No, I don't.) Oh well, it does not signify."→"Do you have a signifying glass? (No, I don't.) Oh well, it does not magnify."
돋보기 안경이 있습니까? (아니요, 없습니다.) 뭐 상관 없습니다.→중요한 안경이 있습니까? (아니요, 없습니다.) 오, 이거 확대가 안 되는군요.

미국의 인지과학자 더글러스 호프스태터는 이와 비슷하게 두 단어의 중성이나 종성을 서로 바꿔서 발음하는 경우를 가리키기 위해 'kniferism'과 'forkerism'이라는 말을 쓰기도 했다.[2]

말실수 외에 의도적으로 두음전환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대표적인 경우로 창작물에서 기존 인물이나 사명 등의 이름을 사용하거나 유추되게 하고 싶은 경우 이런 방법을 쓴다. 이 계열의 대표주자는 아르센 뤼팽 시리즈헐록 숌즈가 있다. 셜록 홈즈의 성과 이름의 두음을 서로 바꾼 것.


2. 예시[편집]


한국어에서도 두음전환이 가능하며 이를 이용한 유머글도 있다. 부가적으로 알아보기 쉬우며 검열되는 효과도 있다.[3]
어느 학원 원장이 한식당에서 된장찌개를 주문했는데
나중에 된장찌개가 다 되고 나서 종업원 왈
"장님, 장찌개 나왔어요."
어 추워라. 들어온다, 바람 닫아라. 마른다, 들어라.(춘향전, 변학도)

  • 일반
    • 자칩
언더케이지의 리뷰어 F717이 감자칩 먹방을 진행하던 도중 저지른 말실수이다.
'공동'과 '운명'의 위치가 서로 바뀌어 자주 쓰인다. 원래는 한 배를 탄 처지라는 뜻인 '운명 공동체'이다.
감스트의 말실수 중 하나이다.
제대로 된 스푸너리즘이다.
예전 쿵쿵따 38회에서 이휘재가 기술씨름을 잘못 얘기했다.
생방송 게임천국 941029 방송분에서 손범수가 출연자 소개를 실수한 방송사고였다.
서세원의 좋은 세상 만들기 장수퀴즈 48화에서 정봉원 할아버지(1912년 생)가 외쳤던 오답이다#.
이 문서 맨 위의 영상. 나는 가수다에서 대기실에서 동료 무대를 관전하던 임재범이 외친 말이다.
가족오락관 020216(891회) 방송분에서 이용식이 모나리자를 말하려는 실수였다.
  • 의 전
퍼즐특급열차 950403 방송분에서 정재환이 문장의 전체라고 말하려는 실수였다.
1박 2일 시즌 1 욕지도편에서 강호동의 말실수다. 그것도 2번이나 실수했다.
기쁜 우리 토요일 MC 대격돌 우리가 한다 991016 방송분에서 유리가 사자성어 대결 중 자신만만하게 "백중백발"이라 말하고 의미까지 설명하며 도대체 뭐가 문제인 것인지 인지하지 못했는데(..) 후에 알고서 망신을 당했다.
이계진 전 아나운서가 쓴 뉴스를 말씀드리겠습니다, 딸꾹!이라는 서적에 소개가 된 유서깊은(?) 아나운서 방송 사고 사례. 2011년 뉴시스 기사에서도 등장.
두시탈출 컬투쇼에서 소개되었던 사연. 할머니와 함께 마트에 수박을 사러 간 5살 아이가 수박이 진열된 코너 점원에게 '시원한 수박 주세요'라고 말한다는 것을 저렇게 이야기했다고.
실제로 이렇게 잘못 아는 경우도 은근히 있다.
실제로 과목명 혼동으로 낭패를 보는 사례가 많다.
가족오락관 001223(836회) 방송분에서 이태현이 천고마비를 천마고비로 실수했다.
볼드체가 없으면 '피자치즈'로 읽힐 수도, '치즈피자'로 읽힐 수도 있다.
룰라 이상민이 신인시절 '좋은 친구들' 로고송 방송사고 에피소드였다.
퍼즐특급열차 931220 방송분에서 시선집중퍼즐에서 나온 문제로 원래는 키친문화가 올바른 표현이다.
원어 표기를 살려 이라 하기도 한다. 영어로도 heam and drope라고 하면 이쪽은 비슷하게 들어맞는다.

IZ*ONE 활동 시절 팬들 사이에서 생긴 별명이나, 이후에 멤버들도 이걸 별명으로 불렀다.[4]
'고 노무현 전 대통령'에서 일부 글자의 위치를 바꾸었다.
가족오락관 991006 스피드게임에서 윤철형이 이 인물을 설명하는데 쥐 흉내를 내면서 암시했는데 이용식이 생쥐텍페리로 잘못 말하다가 다시 생텍쥐페리로 정답을 말했다.
  • 리나
  • 오코 노요, 오요 코노, 오코 요노, 오노 요코
  • 프라 프리[5]
  • 현동
브레인 서바이버 124회에서 민경훈이 정형돈을 잘못 부른 실수였다. 정형돈 曰: 카페 있다고 자랑하는 거야? 카페도 없고 이름도 모르고~

  • 4케이 딸라!
    • 4케이 큐 혹은 케이
  • 자 사러 자.[6]
  • 무위키
영화 도둑들의 등장인물. 원래는 씹던 껌이다. 놀라운 토요일에서 강민경이 말실수 한 것. #
실제로 이 이름으로 모바일 게임도 하나 나와있다.
맘이 아파 밤을 새워.
원명은 모나자이트. 광물 이름 중에 XX나이트(예: 탄자나이트)가 많기에 혼동하기 쉽다.
실제로 이 이름을 가진 전 프로게이머의 별명으로 애용된다.
다단계로 유명한 애터미의 다단계 헬스장의 이름이 애터미짐(Atomy Gym)이다. 패드립이 연상된다는 유머가 있다.
/r/ 음운과 /j/ 음운의 교환이다.

퀴즈 대한민국 2010년 방송분에 나왔다.
아리스토텔레스가 너무 유명하다보니 생기는 착각.

미드 오피스굿 플레이스에서 등장.
원래는 1998년에 나온 메탈리카의 라이브 비디오 Cunning Stunts. 제임스 롤프가 90년대의 어느 날 라디오를 듣던 중 DJ가 이 비디오를 소개하고 있었는데, 발음이 꼬여서 Stunning Cunts라고 읽어버렸고 롤프는 지금(영상을 올린 2021년)까지도 그걸 기억하고 있다고 한다. (AVGN 194화 중)

꽤나 자연스럽지만 원래 '마탄의 사수'이다.
원래는 가나하 히비키. 번역 실수가 발생한 이후 이렇게 불린다. 예시
단 원문인 '모래고양이'는 합성어이므로 붙여 쓴다.
'영원히 붉은 어린 달'을 이렇게 착각하는 경우가 대다수.


3. 유사 개념[편집]


  • 자질 교체
소리 자체가 아니라 소리의 자질(된소리, 거센소리, 성대 진동의 유무 등)을 서로 바꿔 발음하는 경우도 넓은 의미에서 두음전환의 일종으로 볼 수 있다. 김태형이 '더블넥 포지'를 \'터블넥 X'로 잘못 말한 것도 이쪽에 속한다.

  • 한 단어 내에서 자리가 바뀌는 것
한 단어 내에서 자리가 바뀌는 것은 두음전환에 해당되지 않는다. 두음전환은 두 단어 이상에서 머리글자가 서로 위치가 바뀌어 발음되는 것을 가리키는 현상이기 때문이다.#

중고로운 평화나라와 같이 음성과는 무관하게 단어 단위로 교체하는 경우도 있다. 이런 것들은 러시아식 유머와 유사하다.

두음전환은 둘 이상의 단어 사이에서 초성인 음운이 도치되는 것인데 비해 캠릿브지 대학의 연결구과에서 캠릿브지는 하나의 단어에서 글자가 서로 바뀌었고 바뀐 것도 초성의 음운이 아니라 음절이며, 연결구과는 두 단어로 본다 해도 역시 음운이 아니라 음절이 도치된 것이기 때문에 서로 다르다. 또한, 초성은 초성끼리 바뀌는 스푸너리즘과 달리 캠릿브지 대학의 연결구과는 첫 글자와 마지막 글자를 두고 가운데가 서로 뒤바뀐다.
하필이면 두음전환의 장본인이 옥스퍼드 대학장이라는 시점에서, 그 라이벌격인 케임브리지 대학과 대비되기 때문에 더더욱 뭔가 관계가 있을 것처럼 착각하기 쉽다.

이러한 이동들을 통틀어 음운도치(metathesis)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이동들은 일시적인 실수이므로 언어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는 거의 없지만 실제로 영향을 미치는 경우도 있다. 고대 교회 슬라브어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다. 비슷한 일로 고대 그리스어의 /ps/ 자음군이 특정 방언에선 /sp/으로 일정하게 바뀌는 일이 있었다. 본 현상에 대해 자세히 알고 싶다면 Jeffors와 Lehiste가 저술한 "Principles and Methods for Historical Linguistics"라는 책을 참고하면 좋다.


4. 매체에서[편집]



  • 메탈기어 솔리드 2의 가짜 게임오버 화면에 나오는 Fission Mailed[7][8]도 비디오 게임에 쓰인 두음전환의 훌륭한 예시.



  • 소설 마틸다에서도 주인공 마틸다네 집에 방문한 허니 선생이 집 앞에 적힌 Cosy nook(포근한 구석)이라는 문구를 보고 Nosey cook(참견쟁이 요리사)이 더 나아보일 것 같다고 생각하는 장면이 나온다. 참고로 번역본에서는 각각 '아담한 오두막'과 '암담한 부뚜막'으로 두음전환은 없지만 적절하게 번역되었다.


5.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4 09:22:00에 나무위키 두음전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성소수자를 퀴어라고 부르는 것은 20세기 후반에 나온 이야기이므로 여기에선 본 뜻대로 "기묘한"으로 해석해야 한다.[2] 이해 못한 사람을 위해 설명하자면 Spoonknifefork로 바뀌었다.[3] 그런데 이 문서에 예시된 사례 중에는 엄밀히는 두음전환(초성 교체)에 해당하지 않는 음절 교체 사례가 다수임에 주의[4] 고유색이 한국식 이름처럼 만든 별명인 나북희에서 따온 나부키하늘일 때부터 이름을 바꿔서 부를 조짐이 있었다(...). 그리고 이 별명은 본진 HKT48에도 역수출되어 HKT48 후배들도 덩달아 "나부키 야코" 라고 부르는(...) 상황이다. 그래서 졸업공연에서 후배 운죠 히로나가 실수를 가장한 개그로 나부키 야코라고 부르는 바람에 웃음거리가 되기도 했다.#[5] 원래 이름을 ORPHA로 지었는데 착오로 OPRAH가 되었다.[6] "과자", "사러", "가자" 를 아무 순서대로 바꿔도 뜻이 이상하지는 않지만 이 문장은 특이하게 이상하다.[7] 그런데 웃기게도 두 단어 모두 사전에 등재되어 있다. 각각 핵분열과 편지를 보내다라는 의미다. #[8] 이 문장은 헨리 스틱민 콜렉션에서도 패러디로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