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함/배수량별 목록/현대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군함/배수량별 목록



1. 개요
4.1. 15,000톤~20,000톤
4.2. 25,000톤~30,000톤
5. 항공모함, 헬기항모, 강습상륙함[1]
6.1. 1,000톤 미만
6.2. 1,000톤~1,500톤
6.3. 1,500톤~2,000톤
6.4. 2,000톤~2,500톤
6.5. 2,500톤~3,000톤
6.6. 3,000톤~5,000톤
6.7. 5,000톤~8,000톤
6.8. 8,000톤~10,000톤
6.9. 10,000톤~15,000톤
6.10. 15,000톤 이상
7. 관련 항목



1. 개요[편집]


이 항목은 1950년부터 취역한 군함을 기입하는 문서이다.


2. 잠수함[편집]



3. 호버크래프트[편집]



4. 상륙함, LPD, LST, LSM, LC[편집]



4.1. 15,000톤~20,000톤[편집]



제조 국가/운용국이름/급만재 배수량경하 배수량취역 시작
중국유자오급 강습상륙함18,000톤2007년 11월 30일


4.2. 25,000톤~30,000톤[편집]



제조 국가/운용국이름/급만재 배수량경하 배수량취역 시작
미국샌 안토니오급25,298톤2006년


5. 항공모함, 헬기항모, 강습상륙함[2][편집]




6. 전투 수상함: 고속정, 초계함, 호위함, 구축함, 순양함, 전함[편집]



6.1. 1,000톤 미만[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Caspian_Corvette_Astrakhan.jpg.jpg
러시아부얀급(Project 21630 Buyan)

제조 국가/운용국이름/급만재 배수량기준 배수량최대 방공망취역
북한사리원급650톤450톤1960년대[3]
러시아나누추카급660톤560톤15km1978년~1991년
러시아부얀-M급 21631형949톤4~5km2012년
러시아파르킴급950톤800톤4~5km1986년~1990년


6.2. 1,000톤~1,500톤[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Project_1124M_Suzdalets_2009_G1.jpg
러시아그리샤급 대잠 초계함.

제조 국가/운용국이름/급만재 배수량기준 배수량최대 방공망취역
러시아그리샤급1,200톤950톤15km1970년~1994년
대한민국포항급1,200톤0~5km1984년 11월 18일
프랑스데스티엔도르브급1,250톤[4]1,100톤1973년
이탈리아미네르바급1,250톤[5]1,100톤20~40km1987년
이탈리아시리오급1,285톤[6]20~40km2002년
중국장다오급(Type 056)1,440톤6km2013년
이탈리아카시오페아급1,499톤[7]1,100톤1989년 10월 21일
이탈리아코만단티급1,520톤[8]2002년


6.3. 1,500톤~2,000톤[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ARA_Gomez_Roca_%28P-46%29.jpg
아르헨티나A RA Gomez Roca (P-46) Espora-class(에스포라급) corvette (만재 1,790톤)

제조 국가/운용국이름/급만재 배수량기준 배수량최대 방공망취역
영국/이란알반드급1,540톤1,100톤1971년~1972년[9]
네덜란드/인도네시아시그마급 9113 초계함1,692 톤5km2007년 7월 5일
북한나진급1,800톤1,200톤4km1973년
러시아게파르트급 초계함1,930톤1,500톤15km2003년


6.4. 2,000톤~2,500톤[편집]


파일:TE0MnF7.jpg
호주 시드니항을 방문한 FFK-958 울산급 제주함 (2005년 12월)

제조 국가/운용국이름/급만재 배수량기준 배수량최대 방공망취역
네덜란드/모로코시그마급 9813 초계함2,075 톤20km2012년 2월 5일
러시아스테레구시급 초계함2,200톤1,200톤10km~40km2006년
중국장웨이급 호위함2,250톤2,393톤8km~15km2009년 9월 19일
네덜란드/모로코시그마급 10513 초계함2,335 톤20km2011년 8월 5일
네덜란드/인도네시아시그마급 10514 초계함2,335 톤20km2013년 이후
대한민국울산급 호위함2,350톤1,500톤5km1981년 1월 1일
벨기에/불가리아윌루에겐급2,350톤[10]1,850톤20km1976년~2005년


6.5. 2,500톤~3,000톤[편집]



제조 국가/운용국이름/급만재 배수량기준 배수량최대 방공망취역
영국/방글라데시레오파드급 호위함[11]2,560톤2,337톤1957년~1978년
터키/독일퀼른급2,750톤1961년 4월 15일
프랑스프로레알급2,950톤2,600톤1992년 5월 27일
인도닐기리급2,962톤3km1972년 6월 23일
이탈리아루포급2,986톤20km1977년7월 20일


6.6. 3,000톤~5,000톤[편집]



제조 국가/운용국이름/급만재 배수량기준 배수량최대 방공망취역
이탈리아마에스트랄레급3,040톤20km~40km1982년 3월 7일
싱가포르/프랑스포미더블급 호위함3,200톤30km~120km2007년 5월 5일
대한민국인천급 Batch-1 호위함3,251톤10km2013년 1월 17일
아르헨티나알미란테 브라운급3,360톤1983년
프랑스라파예트급3,600톤3,200톤11km~16km1996년 3월 22일
독일/호주앤잭급 호위함3,600톤20km~50km1996년 5월 18일
중국루다급(Type 051)3,670톤1971년 12월
브라질니테로이급[12]3,707톤3,355톤20km~40km1976년 11월 20일
네덜란드/칠레야콥 반 헴스케르크급[13]3,750톤3,000톤38km 미만1986년~2009년
독일브레멘급3,750톤[14]2,900톤20km1982년 5월 7일
대한민국광개토대왕급 구축함3,885톤20km2000년 7월
독일/그리스히드라급4,000톤[15]3,360톤50km1992년 11월 12일
일본하츠유키급 구축함4,000톤2,950톤20km1982년 3월 23일
러시아어드미럴 그리고로비치급 호위함4,035톤50km2013년 10월
미국올리버 해저드 페리급4,200톤38km1977년
중국장카이급4,300톤50km2005년 2월
영국/아르헨티나42형 구축함 Batch 1 아른헨티나형4,350톤3,600톤74~150km1976년 7월 12일
러시아/폴란드카신급 구축함4,390톤3,400톤35km1964년
러시아어드미럴 고르쉬코프급 호위함4,500톤50km2013년
프랑스조르쥬 레그급4,500톤3,550톤11km~16km1979년 12월 10일
캐나다핼리팩스급4,770톤50km1992년 6월 29일
영국23형 호위함4,900톤3,500톤10km1990년 6월 1일
일본아사기리급 구축함4,900톤3,500톤20km1988년
프랑스카사드급 호위함4,950톤38km1988년


6.7. 5,000톤~8,000톤[편집]


파일:D653-Languedoc-1.jpg
(베르가미니급)Prima uscita in mare di Nave Bergamini

제조 국가/운용국함급만재 배수량기준 배수량최대 방공망취역
인도라지푸트급5,000톤4,750톤35km1980년 9월 30일
중국루후급(Type 052)5,300톤1994년 5월
영국42형 구축함 Batch 35,350톤3,600톤74~150km1982년 12월 16일
이탈리아듀란드 드 라 펜급5,400톤4,500톤38~40km1993년 3월 18일
대한민국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5,520톤4,400톤167 km2002년 5월 22일
이탈리아/프랑스아키텐급 호위함5,800톤30km~120km2012년 11월 23일
일본하타카제급 구축함5,900톤4,674톤38km1986년 3월 27일
중국선전급(Type 051B)6,100톤1998년
일본무라사메급 구축함6,198톤4,623톤50 km1996년 3월 12일
인도/러시아시발릭급6,200톤[16]5,300톤30km2010년 4월 29일
호주/스페인호바트급6,250톤2016년
일본다카나미급6,401톤4,725톤50 km2003년 3월 12일
이탈리아/프랑스베르가미니급 호위함6,500톤30km~120km2013년 12월
중국광저우급(Type 052B) 구축함6,500톤2004년 7월
일본아키즈키급 구축함6,800톤5,000톤50 km2012년 3월 14일
인도델리급 구축함6,900톤6,700톤1997년 11월 15일
인도콜카타급 구축함7,000톤6,800톤2013년 3월
중국란저우급(Type 052C)7,000톤2004년 7월 18일
이탈리아/프랑스호라이즌급 호위함7,050톤5,600톤30km~120km2007년 12월 22일
이탈리아Andrea Doria급7,050톤5,600톤30km~120km2007년 12월 22일
중국루저우급(Type 051C) 구축함7,100톤2006년 1월 1일
중국052D급(Type 052D) 구축함7,300톤미정
일본시라네급 구축함7,500톤5,200톤20km1980년 3월 17일
러시아우달로이급 구축함 I7,900톤6,200톤12km1982년
러시아우달로이급 구축함 II7,900톤6,200톤12km1999년
러시아소브레멘니급 구축함7,940톤6,200톤30km1989년


6.8. 8,000톤~10,000톤[편집]



제조 국가/운용국함급만재 배수량기준 배수량최대 방공망취역
영국45형 구축함8,000톤30km~120km2009년 6월 23일
미국알레이버크급 플라이트 I 구축함8,315톤1991년 7월 4일
미국알레이버크급 플라이트 II 구축함8,400톤1998년 2월 2일
러시아프로젝트 21956 구축함9,000톤2016년
미국알레이버크급 플라이트 IIA 구축함9,200톤2000년 8월 19일
일본공고급 구축함9,500톤7,500톤160 km 이상1993년 3월 25일
미국타이콘데로가급 순양함9,800톤1993년
러시아카라급 순양함9,900톤1969년 12월 19일


6.9. 10,000톤~15,000톤[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16px-ROKS_Sejong_the_Great_%28DDG_991%29.jpg
대한민국의 세종대왕급

제조 국가/운용국함급만재 배수량기준 배수량최대 방공망취역
미국알레이버크급 플라이트 III 구축함10,000톤2016년 이후
일본아타고급 구축함10,000톤7,700톤160 km 이상2007년 3월 15일
프랑스콜베르급 순양함11,100톤[17]9,085톤1959년 5월 5일
프랑스드 그라스급 대항모 순양함11,545톤[18]9,380톤1956년 9월 10일
영국타이거급 경순양함11,700톤[19]9,550톤1959년 3월 18일
네덜란드/페루더 제번 프로빈시엔급 순양함/알미란테 그라우급12,165톤[20]9,681톤1953년 6월 26일~1973년
프랑스잔 다르크급 헬기순양함12,365톤10,575톤1964년
러시아슬라바급 순양함12,500톤9,800~10,000톤120km1982년
대한민국세종대왕급 구축함13,000톤8,500톤167 km2008년 12월 22일
소련차파예프급 순양함14,300톤11,310톤1950년 4월 19일



6.10. 15,000톤 이상[편집]




제조 국가/운용국함급만재 배수량기준 배수량최대 방공망취역
미국줌왈트급 구축함15,995톤14,500톤2016년 8월 15일
소련스베르들로프급 순양함[21]16,640톤13,600톤1951년 12월 31일
러시아키로프급 핵추진 순양함28,000톤24,300톤150km1980년 12월 30일


7. 관련 항목[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4 14:02:32에 나무위키 군함/배수량별 목록/현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LPD 형태 제외[2] LPD 형태 제외[3] http://en.wikipedia.org/wiki/Sariwon-class_corvette[4] http://en.wikipedia.org/wiki/D%27Estienne_d%27Orves_class[5] http://da.wikipedia.org/wiki/Minerva-klassen[6] http://en.wikipedia.org/wiki/Sirio_class_patrol_vessel[7] http://en.wikipedia.org/wiki/Cassiopea_class_patrol_vessel[8] http://www.intelijen.co.id/wawasan/1292-commandante-class-korvet-canggih-italia[9] http://fa.wikipedia.org/wiki/%D9%86%D8%A7%D9%88%DA%86%D9%87_%DA%A9%D9%84%D8%A7%D8%B3_%D8%A7%D9%84%D9%88%D9%86%D8%AF[10] http://nl.wikipedia.org/wiki/Wielingenklasse[11] http://en.wikipedia.org/wiki/Leopard_class_frigate[12] http://en.wikipedia.org/wiki/Niteroi_class_frigate[13] http://en.wikipedia.org/wiki/Jacob_van_Heemskerck_class_frigate[14] http://it.wikipedia.org/wiki/Classe_Bremen_(fregata)[15] http://en.wikipedia.org/wiki/Hydra_class_frigate[16] http://en.wikipedia.org/wiki/Shivalik_class_frigate[17] 콜베르급 순양함 만재 배수량 정보[18] 데 그라스급 대항모 순양함 자료[19] 타이거급 경순양함 만재 배수량 정보[20] http://en.wikipedia.org/wiki/De_Zeven_Provinci%C3%ABn-class_cruiser[21] http://en.wikipedia.org/wiki/Sverdlov_class_cruiser